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중탄나트륨(NAHCO??)투여에 대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1)중탄산나트륨(300mg/kg.wt)의 섭취는 염기성증(alkalosi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07613
1992
Korean
692
학술저널
101-113(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중탄나트륨(NAHCO??)투여에 대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1)중탄산나트륨(300mg/kg.wt)의 섭취는 염기성증(alkalosis)...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중탄나트륨(NAHCO??)투여에 대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1)중탄산나트륨(300mg/kg.wt)의 섭취는 염기성증(alkalosis)의 유발을 촉진시키는가?
2)중탄산나트륨(300mg/kg.wt)의 섭취는 1500m 런닝기록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는가?
3)중탄산나트륨(300mg/kg.wt)의 섭취는 1500m 런닝수행시 심박수 및 혈중 pH, HCO????, 젖산농도에 유의한 효고를 나타내는가?
중탄산나트륨 투여 전,후간 심박수 및 1500m 런닝기록은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혈중 pH는 중탄산나트륨 투여후 1500m 런닝직후에서 유의한 효과(P<0.01)를 나타내었으며 HCO????농도의 경우에 있어서도 투여 60분후(pre-running, P<0.0001)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증명 되었다. 또한 중탄산나트륨 투여후 혈중 젖산농도는 투여전에 비해 투여후에 더욱 크게 증가된 수준(P<0.01)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Ergogenic aids로서 중탄산나트륨(300mg/kg.wt)의 투여는 생체내 알카리성 유발을 촉진시키며 혈중 pH, HCO???? 및 젖산농도에 유의한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1500m 런닝기록에 단축효과는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바는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NaHCO?? 섭취는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NaHCO??의 투여량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ypothesis as follows : Firstly, Does the ingestion of sodium bicarbonate(NaHCO??) result. in induce of alkalosis? Secondly, Does the ingestion of sodium bicarbonate result in improving 1500m running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ypothesis as follows :
Firstly, Does the ingestion of sodium bicarbonate(NaHCO??) result. in induce of alkalosis?
Secondly, Does the ingestion of sodium bicarbonate result in improving 1500m running records?
Lastly, Does the ingestion of sodium bicarbonate result significant effet during 1500rn running in the variables such as heart rate, venous pH, HCO????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Record of 1500m running and heart rate before and after the sodium bicarbonate ingestion was not shown a significant effect, but it was proved a significant effect, in case after sodium bicarbonate ingestion of venous pH and HC0??
Also,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as displayed a significantly increased ievels after sodium bicarbonate treatment, compared with sodium bicarbonate treatment before.
Conclusively, Treatment of sodium bicarbonate as ergogenic aids results in increasing a alklosis inducing, and a physiological effect of venous pH, HCO????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but it was not improved a record of 1500m running.
We concluded that NaHCO?? ingestion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was closely related to factors such as total dosage of NaHCO?? and exercise protocol.
Rings운동에서의 Giant swing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중·장거리 선수들의 강력한 스프린트성 반복운동후 혈장 젖산, 젖산탈수소효소 및 젖산탈수소 동위효소의 변화
아미노산 투여가 운동중 싸이클선수의 젖산 및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아미노산 투여가 중장거리 운동선수의 최대 및 최대하운동시 젖산생성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