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판소리 <春香歌>를 중심으로 본 中國文學의 受容과 變容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46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文围绕“盘所里(pansori)”探讨两个问题。
      第一、本文以≪春香歌≫作为研究对象,从对中国文学的接受的角度对“盘所里”的特点进行考察。本文没有局限于单纯解释语句或考察具体典故的来源等常见的研究范围中,而是先对≪春香歌≫中引用的作品及其作家进行了考订,然后从中找出“盘所里”对中国文学的接受与改变的痕迹。本文在探讨“盘所里”对中国文学的接受与改变的过程中发现,“盘所里”具有类似于汉赋所具有的“比物连类”的特点。从“盘所里”采取汉赋固有的“比物连类”的思维方式及表达方式来看,我们可以推测≪春香歌≫是一种从中国文学中的“巫歌”发展而来的积层文学。
      第二、为了探讨“盘所里”这一艺术门类的来源,本文特别关注它与外来文化发生关系的各种可能,其中,着重对“盘所里”与汉代的辞赋进行了对比性的研究。这种研究主要是为了解决“盘所里”是自生的还是外来流入的这个问题。本文认为“盘所里”具有“比物连类”的特点,这与中国古代文学中的汉赋具有很大的共性,它对于我们认识“盘所里”的艺术源泉和艺术形式具有非常重大的意义。
      总之,为了深入了解“盘所里”这一艺术门类的真正来源,对“盘所里”的艺术特点与汉代辞赋的艺术特点进行对比研究是非常必要的,今后,要探讨“盘所里”的艺术起源与艺术形式的问题,还需要更多的与中国文学有关的研究。
      번역하기

      本文围绕“盘所里(pansori)”探讨两个问题。 第一、本文以≪春香歌≫作为研究对象,从对中国文学的接受的角度对“盘所里”的特点进行考察。本文没有局限于单纯解释语句或考察具体典故...

      本文围绕“盘所里(pansori)”探讨两个问题。
      第一、本文以≪春香歌≫作为研究对象,从对中国文学的接受的角度对“盘所里”的特点进行考察。本文没有局限于单纯解释语句或考察具体典故的来源等常见的研究范围中,而是先对≪春香歌≫中引用的作品及其作家进行了考订,然后从中找出“盘所里”对中国文学的接受与改变的痕迹。本文在探讨“盘所里”对中国文学的接受与改变的过程中发现,“盘所里”具有类似于汉赋所具有的“比物连类”的特点。从“盘所里”采取汉赋固有的“比物连类”的思维方式及表达方式来看,我们可以推测≪春香歌≫是一种从中国文学中的“巫歌”发展而来的积层文学。
      第二、为了探讨“盘所里”这一艺术门类的来源,本文特别关注它与外来文化发生关系的各种可能,其中,着重对“盘所里”与汉代的辞赋进行了对比性的研究。这种研究主要是为了解决“盘所里”是自生的还是外来流入的这个问题。本文认为“盘所里”具有“比物连类”的特点,这与中国古代文学中的汉赋具有很大的共性,它对于我们认识“盘所里”的艺术源泉和艺术形式具有非常重大的意义。
      总之,为了深入了解“盘所里”这一艺术门类的真正来源,对“盘所里”的艺术特点与汉代辞赋的艺术特点进行对比研究是非常必要的,今后,要探讨“盘所里”的艺术起源与艺术形式的问题,还需要更多的与中国文学有关的研究。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섭, 한국중국희곡학회 8 : 2000

      2 신재효, "한국판소리전집" 서문당 1996

      3 신재효, "한국판소리전집" 서문당 1996

      4 한국브리태니커 회사, "판소리다섯마당"

      5 박은옥, "중국의 서사(敍事)음악-곡예(曲藝)음악" 판소리학회 (26) : 83-111, 2008

      6 서경호, "중국문학의 발생과 그 변화의 궤적" 문학과 지성사 2003

      7 왕실보, "서상기" 삼련서점 진원 1996

      8 최동현, "교주본 춘향가 Ⅰ" 민속원 2005

      9 沈成鎬, "辭賦文學의 ‘好修’ 모티브" 한국중어중문학회 32 : 99-130, 2003

      10 中島千秋, "賦の成立と展開" 關洋紙店印刷所 1963

      1 김종섭, 한국중국희곡학회 8 : 2000

      2 신재효, "한국판소리전집" 서문당 1996

      3 신재효, "한국판소리전집" 서문당 1996

      4 한국브리태니커 회사, "판소리다섯마당"

      5 박은옥, "중국의 서사(敍事)음악-곡예(曲藝)음악" 판소리학회 (26) : 83-111, 2008

      6 서경호, "중국문학의 발생과 그 변화의 궤적" 문학과 지성사 2003

      7 왕실보, "서상기" 삼련서점 진원 1996

      8 최동현, "교주본 춘향가 Ⅰ" 민속원 2005

      9 沈成鎬, "辭賦文學의 ‘好修’ 모티브" 한국중어중문학회 32 : 99-130, 2003

      10 中島千秋, "賦の成立と展開" 關洋紙店印刷所 1963

      11 김태준, "春香傳의 現代的 解釋" 판소리학회 3 : 1992

      12 "新譯昭明文選(一)" 三民書局印行 2001

      13 張守連, "中國 說唱과 판소리 辭說의 敍事特徵 比較試論―明代 ≪成化刊本說唱詞話≫ 와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 辭說의 敍事特徵을 中心으로" 한국중문학회 (34) : 155-196, 2007

      14 김현주, "<춘향가>문체의 환유적 성격" 판소리학회 (19) : 7-2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8 0.36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