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 십팔기무술협회 형성과 수련체계 연구 = The study of formation of Deahansippalgimusoolhyeonhoy and trai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7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bout the research on the course of Koreanization of martial art from Sandong, China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ese refugees due to communizition of China in1948. At the early beginning, Chinese teachers would deliver training all just based on their own training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established more systematic training procedures mainly based on shaolim style training of Go-kwangyu and the Tanglang style training of Lim-fungjang at Seoul. Based on the above that Chinese training system, a Korean chinese martial art Sippalgi was introduced with added efforts from many Korean teachers, including Hwang-soohwan. The ‘Jungkukmususippalisamsipyukkyeheonhoy’ which consists mainly of Chinese trainers at 1967, was later extended to include many Korean teachers to consolidate a new committee called ‘Deahansippalgi(kung-fu)musulhyeonhoy’ at 1968. The training mechanism and procedures from that time later formed the basis for training of future Hanguk sippalgi. As shown above, the Hanguk sippalgi which stemmed from ‘Deahansippalgi(kung-fu)musulhyeonhoy’ with over 50 years of improvements in Korea and also domesticated for Korea, may now be recognized as one of the streams of Korean martial arts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bout the research on the course of Koreanization of martial art from Sandong, China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ese refugees due to communizition of China in1948. At the early beginning, Chinese teachers would deliver tra...

      This thesis is about the research on the course of Koreanization of martial art from Sandong, China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ese refugees due to communizition of China in1948. At the early beginning, Chinese teachers would deliver training all just based on their own training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established more systematic training procedures mainly based on shaolim style training of Go-kwangyu and the Tanglang style training of Lim-fungjang at Seoul. Based on the above that Chinese training system, a Korean chinese martial art Sippalgi was introduced with added efforts from many Korean teachers, including Hwang-soohwan. The ‘Jungkukmususippalisamsipyukkyeheonhoy’ which consists mainly of Chinese trainers at 1967, was later extended to include many Korean teachers to consolidate a new committee called ‘Deahansippalgi(kung-fu)musulhyeonhoy’ at 1968. The training mechanism and procedures from that time later formed the basis for training of future Hanguk sippalgi. As shown above, the Hanguk sippalgi which stemmed from ‘Deahansippalgi(kung-fu)musulhyeonhoy’ with over 50 years of improvements in Korea and also domesticated for Korea, may now be recognized as one of the streams of Korean martial ar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기, "화수도교본" 조선문화교육출판사 1950

      2 차명환, "합기도 발전과제에 대한 해석적 접근"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2

      3 윤대중, "합기도 단체의 조직형성 과정과 기술 비교"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2

      4 박철희, "한국합기도의 형성 및 발전에 관한 고찰"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5

      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무예 단체현황" 도서출판 무지개 2003

      6 어준, "한국에 전승된 당랑권의 무술적 가치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7 김산, "한국 십팔기연구" ㈜한구학술정보 2012

      8 이재학, "한국 무도의 근대적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6

      9 이성동, "한․중․일 무예에 나타나는 流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6 (16): 287-303, 2008

      10 박철희, "파사권법" 一文社 1959

      1 황기, "화수도교본" 조선문화교육출판사 1950

      2 차명환, "합기도 발전과제에 대한 해석적 접근"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2

      3 윤대중, "합기도 단체의 조직형성 과정과 기술 비교"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2

      4 박철희, "한국합기도의 형성 및 발전에 관한 고찰"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5

      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무예 단체현황" 도서출판 무지개 2003

      6 어준, "한국에 전승된 당랑권의 무술적 가치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7 김산, "한국 십팔기연구" ㈜한구학술정보 2012

      8 이재학, "한국 무도의 근대적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6

      9 이성동, "한․중․일 무예에 나타나는 流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6 (16): 287-303, 2008

      10 박철희, "파사권법" 一文社 1959

      11 이도윤, "쿵후 교본" 연합출판사 1977

      12 조은훈, "쿵후 敎範 下" 서림문화사 1980

      13 조은훈, "쿵후 敎範 上" 서림문화사 1984

      14 朴起東,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 : 「무예도보통지」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4

      15 박성철, "우슈(武術)의 국내도입과 스포츠화 과정"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6

      16 소신당, "쌍풍권" 서림문화사 1986

      17 황기, "수박도대감" 삼광출판사 1970

      18 소신당, "비안장권" 서림문화사 1999

      19 이근채, "무예도보통지의 편찬과정과 무예사적 가치"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6

      20 최복규, "무예 십팔기" 초록배 매직스 2001

      21 소신당, "매화수" 서림문화사 1999

      22 소신당, "매화로" 서림문화사 1987

      23 소신당, "매화권" 서림문화사 1987

      24 전만중, "동양 무예의 근대화 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25 황기, "당수도교본" 계량문화사 1958

      26 소신당, "금강권" 서림문화사 1986

      27 허인욱, "관을 중심으로 살펴본 태권도 형성사" 한국학술정보 2008

      28 한병철, "고수를 찾아서" 영언문화사 2003

      29 허인욱, "金體乾과 武藝圖譜通志에 실린 倭劍" 11 : 2003

      30 나영일, "武藝圖譜通志의 武藝" 91 : 2001

      31 나영일, "武藝圖譜通志에 나오는 武藝의 도입 過程" 6 (6): 2001

      32 "武藝圖譜通志"

      33 허인욱, "本國劍의 起源에 관한 硏究" 11 : 2003

      34 "朝鮮王朝實錄"

      35 허인욱, "朝鮮後期의 雙劍" 12 : 2003

      36 손수범, "外來 武道의 流入過程(일본무도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사학회 17 : 101-120, 2006

      37 김창우, "外來 <武道身體文化>의 流入過程을 통해본 韓國 武道의 現代的 意義"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49-67, 2007

      38 朴鐘吉, "合氣道의 歷史定立에 關한 고찰 : 기원에서 정립까지를 중심으로"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6

      39 허일웅, "合氣道(Aikido)의 성립에 관한 고찰" 10 : 1996

      40 金利洙, "合氣術의 韓國流入에 關한 武藝史的 硏究"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6

      41 윤명환, "十八技(쿵후) 敎本" 善瓊圖書出版社 1976

      42 康戈武, "中國武術實用大全" 今日中國出版社 1995

      43 "三國史記"

      44 최복규, "<무예도보통지> 편찬의 역사적 배경과 무예론" 서울大學校 大學院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K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KCI등재
      2021-07-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Phyd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8 0.73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