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외교로서 한국발레의 역할 -우리나라 주요 발레단의 수교기념공연을 중심으로- = Role of Korea ballet as Cultural diplomacy -The center of culture diplomacy celebrate performances of major ballet compan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7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which influence Korean ballet had influence upon diplomatic activity and discussed which influence it will have upon diplomacy among countries in the fu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licited. First, national cultural exchange was begun right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 cultural exchange in the pioneer days concentrated on introducing our country``s culture to the world. Second, the time when our country``s ballet was introduced to the world and began to play a role of cultural exchange or diplomatic role is the 1990s. It was formed focusing on Korea National Ballet, Universal Ballet, and Seoul Ballet Theater, which are our country``s major ballet troupes. It was steadily led to exchange with performance and event and brought about positive effect on diplomacy such as promotion in friendship of both countries. Korean ballet is now fulfilling a role loyally as cultural diplomacy. It is considered to be likely able to realize globalization by being further developed in the future, to be exported a Korean ballet work as well, and to be developed complementarily with having influence even upon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aspects through cultural diplomacy.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d on which influence Korean ballet had influence upon diplomatic activity and discussed which influence it will have upon diplomacy among countries in the fu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licited. First, national cultural excha...

      This study focused on which influence Korean ballet had influence upon diplomatic activity and discussed which influence it will have upon diplomacy among countries in the fu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licited. First, national cultural exchange was begun right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 cultural exchange in the pioneer days concentrated on introducing our country``s culture to the world. Second, the time when our country``s ballet was introduced to the world and began to play a role of cultural exchange or diplomatic role is the 1990s. It was formed focusing on Korea National Ballet, Universal Ballet, and Seoul Ballet Theater, which are our country``s major ballet troupes. It was steadily led to exchange with performance and event and brought about positive effect on diplomacy such as promotion in friendship of both countries. Korean ballet is now fulfilling a role loyally as cultural diplomacy. It is considered to be likely able to realize globalization by being further developed in the future, to be exported a Korean ballet work as well, and to be developed complementarily with having influence even upon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aspects through cultural diploma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헤럴드 경제. 2012년 3월 22일자"

      2 송영우, "한국의 외교" 평민사 2000

      3 이승곤, "한국외교의 재발견" 기파랑 2009

      4 외교통상부, "한국외교 60년" 외교통상부 2009

      5 김당택, "한국대외교류의 역사" 일조각 2009

      6 "한겨레. 2012년 11월 27일자"

      7 "한겨레. 1997년 6월 17일자"

      8 "컨슈머타임스. 2013년 10월 23일자"

      9 "주간한국. 2010년 9월 30일자"

      10 "조선일보. 1983년 5월 22일자"

      1 "헤럴드 경제. 2012년 3월 22일자"

      2 송영우, "한국의 외교" 평민사 2000

      3 이승곤, "한국외교의 재발견" 기파랑 2009

      4 외교통상부, "한국외교 60년" 외교통상부 2009

      5 김당택, "한국대외교류의 역사" 일조각 2009

      6 "한겨레. 2012년 11월 27일자"

      7 "한겨레. 1997년 6월 17일자"

      8 "컨슈머타임스. 2013년 10월 23일자"

      9 "주간한국. 2010년 9월 30일자"

      10 "조선일보. 1983년 5월 22일자"

      11 "제임스전 인터뷰"

      12 유니버설발레단, "제 2회 정기공연 프로그램"

      13 "정책뉴스. 2010년 3월 31일자"

      14 "유니버설발레단 홈페이지"

      15 "외교통상부 홈페이지"

      16 신승빈, "예술교류를 통한 문화외교 연구 :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17 "영상자료관 홈페이지"

      18 "연합뉴스. 2012년 3월 17일자"

      19 "연합뉴스. 2012년 11월 27일자"

      20 김지연, "안무가로 본 한국창작발레(Korean Ballet)의 변천 과정"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21 "아이컬쳐뉴스. 2010년 9월 5일자"

      22 "아시아경제. 2013년 10월 23일자"

      23 "세계일보. 2012년 11월 29일"

      24 "문화일보. 2013년 10월 29일"

      25 김휘정, "문화외교와 국제문화교류 부문 조율 기능 확보의 쟁점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6 (26): 226-253, 2012

      26 외교통상부, "문화외교 매뉴얼"

      27 손태룡, "매일신문 음악기사색인"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2

      28 "매일경제. 1983년 5월 10일자"

      29 "로열발레단초청대공연 프로그램"

      30 "동아일보. 2013년 6월 10일자"

      31 "동아일보. 2013년 10월 29일자"

      32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자"

      33 "동아일보. 2011년 2월 8일자"

      34 "동아일보. 2010년 3월 25일자"

      35 "동아일보. 2010년 10월 9일자"

      36 "동아일보. 2007년 9월 20일자"

      37 "동아일보. 1997년 6월 27일자"

      38 "대한뉴스. 1983년 5월 21일자"

      39 "대한뉴스. 1983년 5월 21일자"

      40 "대한뉴스. 1958년 5월 6일자"

      41 "대한뉴스. 1957년 5월 6일자"

      42 "대한뉴스. 1957년 5월 6일자"

      43 "뉴시스. 2011년 8월 24일자"

      44 "뉴시스. 2010년 9월 16일자"

      45 유니버설발레단, "남아프리카공화국수교기념공연 프로그램"

      46 "김인희 인터뷰. 2013년 10월 28일"

      47 "국민일보. 2012년 11월 25일자"

      48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49 "경향일보. 2011년 7월 18일자"

      50 "경향신문. 1999년 9월 3일자"

      51 "경향신문. 1997년 9월 6일자"

      52 "경향신문. 1997년 6월 24일자"

      53 "경향신문. 1983년 5월 18일자"

      54 "경향신문. 1960년 11월 8일자"

      55 "경기일보. 2007년 8월 28일자"

      56 "Tonight Review. 2012년 3월 20일"

      57 "The Sowetan. 2012년 3월 20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K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KCI등재
      2021-07-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Phyd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8 0.73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