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도시의 가정용수 수요 관련 가구특성 변인 분석 : 세종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ousehold-Level Variables Affecting Residential Water Demand in A Ne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 A Case Study on Sejong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5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published by IPCC said that changes in precipitation caused by global warming would increase vulnerability to floods and droughts. Despite its annual average rainfall, which is higher than the world’s average, South Korea also faces floods and droughts that have become serious due to climate change. It means that water resources management is an important policy issue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Water Statistics for 2016, residential water demand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the total water supply in South Korea.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on residential water demand is of great importance. However, several prior studies focused only on existing metropolises except Sejong City, which has been a ne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with a double-digit population growth rate year on year since 2012.
      For this reason,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set to research the household-level variables affecting residential water demand in this newly-created city and contribute to the city’s policy-making on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 employed research method 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data for the households residing in Sejong City, which are included in the 10th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for a monthly water bill(a proxy variable for residential water demand per month) are a monthly expenditure for lighting and heating, a dummy variable for annual domestic travel,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on the job, a residential area size per capi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residential water demand in newly-established Sejong City are of service to Gyeonggi-do expecting the 3rd development of new cities in its administrative district in terms of residential water saving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번역하기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published by IPCC said that changes in precipitation caused by global warming would increase vulnerability to floods and droughts. Despite its annual average rainfall, which is higher than the world’s average, So...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published by IPCC said that changes in precipitation caused by global warming would increase vulnerability to floods and droughts. Despite its annual average rainfall, which is higher than the world’s average, South Korea also faces floods and droughts that have become serious due to climate change. It means that water resources management is an important policy issue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Water Statistics for 2016, residential water demand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the total water supply in South Korea.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on residential water demand is of great importance. However, several prior studies focused only on existing metropolises except Sejong City, which has been a ne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with a double-digit population growth rate year on year since 2012.
      For this reason,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set to research the household-level variables affecting residential water demand in this newly-created city and contribute to the city’s policy-making on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 employed research method 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data for the households residing in Sejong City, which are included in the 10th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for a monthly water bill(a proxy variable for residential water demand per month) are a monthly expenditure for lighting and heating, a dummy variable for annual domestic travel,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on the job, a residential area size per capi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residential water demand in newly-established Sejong City are of service to Gyeonggi-do expecting the 3rd development of new cities in its administrative district in terms of residential water saving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4년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의 기후변화 종합보고서는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강수량의 변동이 홍수와 가뭄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견하였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 평균 수준보다 많은편이지만, 우리나라 역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홍수와 가뭄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물 관리가 중요한 정책 이슈임을 의미한다. 물 관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환경부의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2016년에는 가정용수에대한 수요가 전체 급수량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가정용수 수요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나, 선행연구들은 주로 일부 대도시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을 뿐, 2012년 출범 이래 전년 대비 두 자리 수 인구성장률을 기록하고있는 세종시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신도시인 세종시의 가정용수 수요에 영향을 주는 가구특성을 연구하여 시 차원의 가정용수 수요 관리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제10차 재정패널자료 내 세종시 가구의 소득 및 지출 정보이며, 연구방법으로는 선형회귀분석이 채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1) 월평균 광열비, 연간 국내여행 경험의 유무, 취업 중인 가구원 수, 1인당 주택전용면적이 종속변수인 월평균 수도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로 확인되었다. (2) 월평균 광열비가 1원 증가할 때 월평균 수도료는 0.028원증가한다. (3) 연간 국내여행 경험이 있는 가구일수록 월평균 수도료를 4314.188원만큼 적게 납부한다. (4) 취업 중인 가구원 수가 1명 늘어날수록 가구의 월평균 수도료는 3844.124원 증가한다. (5) 1인당 주택전용면적이 1㎡만큼 증가할수록월평균 수도료는 63.125원만큼 감소한다. 신도시인 세종시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신도시 건설을 앞두고 있는 타지역에서도 사회적·정책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2014년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의 기후변화 종합보고서는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강수량의 변동이 홍수와 가뭄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견하였다. 우리나라...

      2014년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의 기후변화 종합보고서는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강수량의 변동이 홍수와 가뭄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견하였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 평균 수준보다 많은편이지만, 우리나라 역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홍수와 가뭄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물 관리가 중요한 정책 이슈임을 의미한다. 물 관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환경부의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2016년에는 가정용수에대한 수요가 전체 급수량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가정용수 수요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나, 선행연구들은 주로 일부 대도시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을 뿐, 2012년 출범 이래 전년 대비 두 자리 수 인구성장률을 기록하고있는 세종시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신도시인 세종시의 가정용수 수요에 영향을 주는 가구특성을 연구하여 시 차원의 가정용수 수요 관리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제10차 재정패널자료 내 세종시 가구의 소득 및 지출 정보이며, 연구방법으로는 선형회귀분석이 채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1) 월평균 광열비, 연간 국내여행 경험의 유무, 취업 중인 가구원 수, 1인당 주택전용면적이 종속변수인 월평균 수도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로 확인되었다. (2) 월평균 광열비가 1원 증가할 때 월평균 수도료는 0.028원증가한다. (3) 연간 국내여행 경험이 있는 가구일수록 월평균 수도료를 4314.188원만큼 적게 납부한다. (4) 취업 중인 가구원 수가 1명 늘어날수록 가구의 월평균 수도료는 3844.124원 증가한다. (5) 1인당 주택전용면적이 1㎡만큼 증가할수록월평균 수도료는 63.125원만큼 감소한다. 신도시인 세종시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신도시 건설을 앞두고 있는 타지역에서도 사회적·정책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미화, "패널자료를 이용한 생활용수의 수요 가격탄력도 분석의 모형별 비교" 2 (2): 42-52, 2018

      2 박두호, "패널자료를 이용한 생활용수 수요의 가격탄력도 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 20 (20): 527-534, 2006

      3 김형건, "패널 분위수회귀 모형을 사용한 우리나라 지방 상수도 생활용수 수요의 가격탄력성 추정" 한국환경경제학회 27 (27): 195-214, 2018

      4 "통계청 홈페이지"

      5 오혜정, "충청남도 가정용수 사용량 조사 및 분석" 4 : 90-105, 2008

      6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제10차 재정패널조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7

      7 현인환, "아파트 층수와 주거인구가 생활용수량에 미치는 영향" 14 (14): 217-223, 2000

      8 김영상, "실측자료를 이용한 가정용수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H61-H70, 2006

      9 국토해양부, "신도시개발 편람·매뉴얼"

      10 김종원, "스톤-게리 모형을 이용한 생활용수에 대한 수요추정" 한국환경경제학회 16 (16): 781-802, 2007

      1 고미화, "패널자료를 이용한 생활용수의 수요 가격탄력도 분석의 모형별 비교" 2 (2): 42-52, 2018

      2 박두호, "패널자료를 이용한 생활용수 수요의 가격탄력도 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 20 (20): 527-534, 2006

      3 김형건, "패널 분위수회귀 모형을 사용한 우리나라 지방 상수도 생활용수 수요의 가격탄력성 추정" 한국환경경제학회 27 (27): 195-214, 2018

      4 "통계청 홈페이지"

      5 오혜정, "충청남도 가정용수 사용량 조사 및 분석" 4 : 90-105, 2008

      6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제10차 재정패널조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7

      7 현인환, "아파트 층수와 주거인구가 생활용수량에 미치는 영향" 14 (14): 217-223, 2000

      8 김영상, "실측자료를 이용한 가정용수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H61-H70, 2006

      9 국토해양부, "신도시개발 편람·매뉴얼"

      10 김종원, "스톤-게리 모형을 이용한 생활용수에 대한 수요추정" 한국환경경제학회 16 (16): 781-802, 2007

      11 "세종특별자치시 주요통계지표"

      12 양영석, "세종시 ‘나홀로 가구’ 줄었다…가족단위 정착 늘어" 연합뉴스

      13 윤여운, "세종시 ‘4인가구 늘고 1인가구 줄고’" 내일신문

      14 곽승준, "서울시 생활요수 수요 추정 - 오차수정모형을 적용하여 -" 한국환경경제학회 11 (11): 81-97, 2002

      15 민동기, "생활용수 수요 분석" 9 (9): 311-332, 2000

      16 환경부, "상수도통계"

      17 "상수도 통계"

      18 노상환, "상수도 사용량 결정요인 분석-기초자자체의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15 (15): 5-21, 2007

      19 표희동, "비모수추정법에 의한 부산시 가정용수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44 (44): 125-134, 2011

      20 박광수, "맞춤형 에너지지원을 위한 가구 특성별 에너지 소비지출 결정요인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21 "국토교통부 신도시 개념 및 건설 현황"

      22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23 안병기, "공주시의 생활용수 장기수급계획 연구" 5 (5): 129-154, 1993

      24 경기도의회, "경기도 상수도시설 노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경기도의회 2017

      25 명성민, "가정용수의 수요량 예측을 위한 통계적 모형 비교" 한국통계학회 24 (24): 567-573, 2011

      26 최선희, "가정용수의 사용 목적별 소비경향 특성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 22 (22): 23-29, 2008

      27 김화수, "가정용수 용도별 사용량의 통계적 특성 분석" 28 (28): 603-614, 2008

      28 유승훈, "가구 서베이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생활용수의 수요 분석" 서울연구원 6 (6): 1-16, 2005

      29 W.-H. Huang,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Taiwan:Evidence from quantile regression" 87 : 120-133, 2015

      30 노형진, "SPSS를 활용한 회귀분석" 지필출판사 2016

      31 Longhi, S., "Residential energy expenditures and the relevance of changes in household circumstances" 49 : 440-450, 2015

      32 Hung, M.F, "Residential Water Use: Efficiency, Affordability and Price Elasticity" 27 : 275-291, 2013

      33 Arbu s, F., "Estimation of residential water demand: a state-of-the-art review" 32 : 81-102, 2003

      34 Schleich, J, "Determinants of residential water demand in Germany" 68 : 1756-1769, 2009

      3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5

      36 Sebri, M, "A meta-analysis of residential water demand studies" 16 : 499-52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연구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2 1.23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