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麥類의 物理的 特性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eat and Barl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46572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建國大學校 農畜大學院, 199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 농업공학과 , 1999. 2

      • 발행연도

        199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24.3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31p. : 삽도 ; 26cm .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30-31

      • 소장기관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곡물종합처리장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맥류의 조곡인 겉보리, 쌀보리 및 밀과 정맥인 겉보리쌀, 쌀보리쌀에 대한 함수율별로 산물밀도, 정안식각, 동안식각, 다짐계수 등 곡물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겉보리의 산물밀도는 함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쌀보리, 밀, 겉보리쌀, 쌀보리쌀 등 비교적 공극이 작은 맥류는 함수량이 증가됨에 따라 밀도가 감소하였다.
      2. 조곡인 겉보리, 쌀보리, 밀, 정맥인 쌀보리쌀, 겉보리쌀의 정안식각은 함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고, 특히 겉보리는 정안식각 중 경사각에서 함수율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안식각 증 경사각이 배출각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함수량이 클수록 배출각과 경사각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조곡과 정맥을 4종류의 바닥판 재료(스테인레스강, 갈바늄, 플라스틱, 양철판)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함수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맥류에서 동안석각은 증가 하였으나, 정맥은 조곡에 비해 함수량 증가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바닥판 재료별로 겉보리, 쌀보리, 밀, 겉보리쌀, 쌀보리쌀의 동안식각을 측정한 결과, 각각의 재료에 있어서 갈바늄판이 가장 큰 각도를 나타내었고 양철판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밀의 경우는 갈바늄판에서 가장 작은 각도를 나타냈다.
      6. 맥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다짐계수의 차이는 미미했으나 함수율이 높은 것이 낮은 것 보다 다짐계수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밀이 함수율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곡물종합처리장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맥류의 조곡인 겉보리, 쌀보리 및 밀과 정맥인 겉보리쌀, 쌀보리쌀에 대한 함수율별로 산물밀도, 정안식각, 동안식각, 다짐...

      본 연구는 곡물종합처리장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맥류의 조곡인 겉보리, 쌀보리 및 밀과 정맥인 겉보리쌀, 쌀보리쌀에 대한 함수율별로 산물밀도, 정안식각, 동안식각, 다짐계수 등 곡물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겉보리의 산물밀도는 함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쌀보리, 밀, 겉보리쌀, 쌀보리쌀 등 비교적 공극이 작은 맥류는 함수량이 증가됨에 따라 밀도가 감소하였다.
      2. 조곡인 겉보리, 쌀보리, 밀, 정맥인 쌀보리쌀, 겉보리쌀의 정안식각은 함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고, 특히 겉보리는 정안식각 중 경사각에서 함수율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안식각 증 경사각이 배출각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함수량이 클수록 배출각과 경사각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조곡과 정맥을 4종류의 바닥판 재료(스테인레스강, 갈바늄, 플라스틱, 양철판)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함수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맥류에서 동안석각은 증가 하였으나, 정맥은 조곡에 비해 함수량 증가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바닥판 재료별로 겉보리, 쌀보리, 밀, 겉보리쌀, 쌀보리쌀의 동안식각을 측정한 결과, 각각의 재료에 있어서 갈바늄판이 가장 큰 각도를 나타내었고 양철판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밀의 경우는 갈바늄판에서 가장 작은 각도를 나타냈다.
      6. 맥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다짐계수의 차이는 미미했으나 함수율이 높은 것이 낮은 것 보다 다짐계수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밀이 함수율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review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bulk density, static angle of repose, dynamic angle of repose, and compaction factor by barley's variety and moisture content to get basic data required for the grain processing complex design. They were calculated by moisture content of unpolished grain of barley (barley, naked barley and wheat) and polished barley (polished barley, polished naked barley).
      The result of test is as follows.
      1. The bulk density of barley was apt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water content, contrarily barley with relatively small pore space such as naked barley, wheat, polished barley and polished naked barley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increase of water content.
      2. The static angle of repose of unpolished grain (barley, naked barley, and wheat) and polished-barley (polished barley and polished naked barley) was apt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especially barley was apt to be considerably influenced on variation of water content in the tilt angle of the static angle of repose.
      3. In the static angle of repose, the tilt angle was apt to be larger than the outlet angle, and the larger moisture content showed the larger difference between the outlet angle and the tilt angle.
      4. According to an experiment of unpolished grain and polished barley using four kinds of bottom plate materials (stainless steel, galvanized steel, plastic, and tin plate), the dynamic angle of repose of all barley was increase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and polished barley was apt to be influenced on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larger than unpolished grain.
      5. According to measuring the dynamic angle of repose of barley, naked barley, wheat, polished barley, and polished naked barley by bottom plate materials, a galvanized steel plate of each materials showed the maximum angle, meanwhile a tin plate showed the minimum angle, and wheat showed the minimum angle in the galvanized steel plate.
      6. The difference of the of compaction factor by variation of moisture content was minute regardless of variety of barley, but what has the high moisture content showed the compaction factor greater than what has the low moisture content, especially wheat was apt to be most influenced on the moisture content.
      번역하기

      This research review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bulk density, static angle of repose, dynamic angle of repose, and compaction factor by barley's variety and moisture content to get basic data required for the grain processing complex design. They w...

      This research review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bulk density, static angle of repose, dynamic angle of repose, and compaction factor by barley's variety and moisture content to get basic data required for the grain processing complex design. They were calculated by moisture content of unpolished grain of barley (barley, naked barley and wheat) and polished barley (polished barley, polished naked barley).
      The result of test is as follows.
      1. The bulk density of barley was apt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water content, contrarily barley with relatively small pore space such as naked barley, wheat, polished barley and polished naked barley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increase of water content.
      2. The static angle of repose of unpolished grain (barley, naked barley, and wheat) and polished-barley (polished barley and polished naked barley) was apt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especially barley was apt to be considerably influenced on variation of water content in the tilt angle of the static angle of repose.
      3. In the static angle of repose, the tilt angle was apt to be larger than the outlet angle, and the larger moisture content showed the larger difference between the outlet angle and the tilt angle.
      4. According to an experiment of unpolished grain and polished barley using four kinds of bottom plate materials (stainless steel, galvanized steel, plastic, and tin plate), the dynamic angle of repose of all barley was increase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and polished barley was apt to be influenced on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larger than unpolished grain.
      5. According to measuring the dynamic angle of repose of barley, naked barley, wheat, polished barley, and polished naked barley by bottom plate materials, a galvanized steel plate of each materials showed the maximum angle, meanwhile a tin plate showed the minimum angle, and wheat showed the minimum angle in the galvanized steel plate.
      6. The difference of the of compaction factor by variation of moisture content was minute regardless of variety of barley, but what has the high moisture content showed the compaction factor greater than what has the low moisture content, especially wheat was apt to be most influenced on the moisture cont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ABSTRACT = ⅵ
      • Ⅰ. 서론 = 1
      • Ⅱ. 연구사 = 3
      • Ⅲ. 재료 및 방법 = 5
      • 목차 = ⅰ
      • ABSTRACT = ⅵ
      • Ⅰ. 서론 = 1
      • Ⅱ. 연구사 = 3
      • Ⅲ. 재료 및 방법 = 5
      • Ⅳ. 결과 및 고찰 = 14
      • Ⅴ. 적요 = 28
      • Ⅵ. 참고문헌 = 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