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연계전공과정의 설치 및 운용시안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고, 교육 수요자의 연계전공에 대한 욕구와 공급자의 학제간 접목을 통한 새로운 교육서비스의 공급 가능성을 찾아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590130
2005년
Korean
연계전공 ; 학제간 협동과정 ; 국제비지니스 연계전공 ; 국제학 연계전공 ; 테크노경영 연계전공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연계전공과정의 설치 및 운용시안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고, 교육 수요자의 연계전공에 대한 욕구와 공급자의 학제간 접목을 통한 새로운 교육서비스의 공급 가능성을 찾아 이...
이 연구는 연계전공과정의 설치 및 운용시안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고, 교육 수요자의 연계전공에 대한 욕구와 공급자의 학제간 접목을 통한 새로운 교육서비스의 공급 가능성을 찾아 이를 연결시켜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연계전공 제도의 정착을 위해 기존의 전공 및 교육지원 체제에 어떠한 점들이 추가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여러 다전공제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개선하는 방향에서 연계전공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연계전공 개설의 기본원칙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 교육목표상의 이념적인 참여 유도 요인 외에 교육 공급자 측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유인 요소들을 찾아보았다. 한편으로는 연계전공제도의 해외 사례에 대한 면담한 결과를 요약하여 보고하였고, 국내에서 연계전공 시행의 성공적 사례로 일컬어지는 연세대, 서울대, 영남대의 경우를 비교하여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현재 본교에서 연계전공 신설에 대한 수요가 많고 공급도 비교적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는 소수의 연계전공 후보를 제시하였다. 또 새로운 전공과정의 도입을 위하여 정책적으로 필요한 선결사안에 대하여 다루었다.
국문 초록 (Abstract)
I.서론 II.연계전공 개설의 배경 및 필요성 1.다전공제도의 문제점 2.연계전공의 필요성 III.연계전공 개설의 기본 원칙 1.개설의 기본원칙 2.개설요건 3.전공의 ...
I.서론
II.연계전공 개설의 배경 및 필요성
1.다전공제도의 문제점
2.연계전공의 필요성
III.연계전공 개설의 기본 원칙
1.개설의 기본원칙
2.개설요건
3.전공의 운영
4.학생의 소속
5.학위수요
6.교과목 구성과 이수학점
7.정원
8.학사관리
9.행정지원
10.평가
11.개설계획
12.교육과정의 구성
Ⅳ.연계전공의 해외사례
1.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Dartmouth(미국)
2.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Lowell(미국)
3.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영국)
4.Oxford University(영국)
5.Technical University of Dresden(독일)
V.연계전공의 국내사례
1.연세대학교의 연계전공
2.서울대학교의 연합전공
3.영남대학교의 연합전공
VI.연계전공 신설(안)
1.국제비지니스(International Business)연계전공
2.국제학(국제협력,국제통상)연계전공
3.테크노경영 (MT경영,IT경영)연계전공
VII.결론
1.추진방향
2.정책과제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