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 Program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n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72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program participation aimed at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universitystudents on the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study included 2,302 students enrolledin a university located in Region D, and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March 2 to December 31, 2022. Comparing the experimentalgroup(75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improvement with the control group(1551 students),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0.24-point increase, whereas the control group showed a 0.08-point increase, demonstrating a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34.89, p<.001). Furthermore, in the post-hoc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scores based on the frequency of program participati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participated in 1 to 3 programsand those engaged in 4 to 6 programs was 0.067 points(p<.001). The mean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in 4 to 6 programs andthose in 7 or more programs was -0.135 points(p<.001),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ose involved in 1 to 3 programs andthose in 7 or more programs was 0.067 points(p<.001).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self-directed learningabilities as a crucial competency in higher education and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efforts to promote program participationand increase participation frequency.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program participation aimed at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universitystudents on the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study included 2,302 stude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program participation aimed at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universitystudents on the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study included 2,302 students enrolledin a university located in Region D, and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March 2 to December 31, 2022. Comparing the experimentalgroup(75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improvement with the control group(1551 students),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0.24-point increase, whereas the control group showed a 0.08-point increase, demonstrating a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34.89, p<.001). Furthermore, in the post-hoc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scores based on the frequency of program participati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participated in 1 to 3 programsand those engaged in 4 to 6 programs was 0.067 points(p<.001). The mean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in 4 to 6 programs andthose in 7 or more programs was -0.135 points(p<.001),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ose involved in 1 to 3 programs andthose in 7 or more programs was 0.067 points(p<.001).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self-directed learningabilities as a crucial competency in higher education and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efforts to promote program participationand increase participation frequen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균 ; 이기성, "한국 전문대학의 미래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69-90, 2010

      2 박민정 ; 최임숙,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소 33 (33): 1-30, 2012

      3 박혜진 ; 차승봉, "학사경고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성과 분석" 인문사회 21 13 (13): 2755-2770, 2022

      4 최재정,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필요한 ‘미래역량 교육’의 방향과 원리 탐색" 한독교육학회 23 (23): 39-67, 2018

      5 도희주 ; 박성희, "전문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조절효능감, 협력지향성,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 (23): 741-758, 2023

      6 정창숙,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319-329, 2017

      7 박성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의사소통과 협동능력에 대한 영향"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1 (11): 115-136, 2015

      8 김지연 ; 김기홍,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소통역량과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73-187, 2022

      9 임이랑,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향상 학업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97-309, 2020

      10 권재환 ; 권성복 ; 박유미, "대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19-338, 2020

      1 이용균 ; 이기성, "한국 전문대학의 미래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69-90, 2010

      2 박민정 ; 최임숙,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소 33 (33): 1-30, 2012

      3 박혜진 ; 차승봉, "학사경고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성과 분석" 인문사회 21 13 (13): 2755-2770, 2022

      4 최재정,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필요한 ‘미래역량 교육’의 방향과 원리 탐색" 한독교육학회 23 (23): 39-67, 2018

      5 도희주 ; 박성희, "전문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조절효능감, 협력지향성,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 (23): 741-758, 2023

      6 정창숙,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319-329, 2017

      7 박성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의사소통과 협동능력에 대한 영향"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1 (11): 115-136, 2015

      8 김지연 ; 김기홍,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소통역량과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73-187, 2022

      9 임이랑,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향상 학업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97-309, 2020

      10 권재환 ; 권성복 ; 박유미, "대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19-338, 2020

      11 윤정선 ; 박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119-141, 2014

      12 문희정, "대학생 자기주도 학습 코칭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5 (25): 45-69, 2021

      13 조유용 ; 박준성 ; 문광수, "대학생 온라인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동기, 시간관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코칭심리학회 6 (6): 33-55, 2022

      14 손연정 ; 김선희 ; 김선희 ; 송은경, "노인 심부전 환자의 인지기능 수준이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0 (10): 61-70, 2010

      15 M. H. Yang,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16 K. Kim, "The relationships among study skills,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djustment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23 (23): 51-73, 2004

      17 박은희 ; 송희영 ; 박수홍, "D 전문대학 신입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12 (12): 135-153, 2021

      18 조정호,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의 개선방향:인성교육과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국인격교육학회 13 (13): 75-8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