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풋거름작물에 따른 차나무의 생육 및 잡초발생 비교 = Comparison of Tea Tree (Camellia sinensis L.) Growth and Weed Occurrences by a Green Manure Cro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66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친환경 차나무 재배에서 월동 풋거름작물 재배시 차나무의 생육특성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차나무 관리에 유용한 초종을 선발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기 위...

      본 연구는 친환경 차나무 재배에서 월동 풋거름작물 재배시 차나무의 생육특성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차나무 관리에 유용한 초종을 선발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무처리의경우 13종의 잡초 229주, 생체중 4,344 g (건물중 745 g)이 조사되었으며, 크림슨클로버 처리에서 가장 적은 3.7 종의 잡초 14.7주, 생체중 18.0 g (건물중 1.1 g) 조사되었으며, 모든 풋거름작물 처리구에서 98% 이상 잡초방제효과가 있었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무처리 14.1 g/kg으로 가장 낮았으며, 크림슨클로버 처리에서 가장 많은 2.2 배 증가한 30.5 g/kg 함량을 보였다. 차나무 생엽의 엽록소함량은 무처리 38.1, 들묵새 처리 38.3, 자운영 처리40.1, 크림슨클로버 처리 41.9로 조사되었으며, 엽록소형광에서도 크림슨클로버 처리 0.804 Fv/Fm로 가장 높았다. 잡초억제, 토양개선효과, 차나무 생육 등을 고려하였을 때, 차나무의 풋거름작물로 크림슨클로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een manur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weed control for tea trees in organic tea cultivation. The weed control, soil chemistry, SPAD valu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were examined with five different trea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een manur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weed control for tea trees in organic tea cultivation. The weed control, soil chemistry, SPAD valu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were examined with five different treatments [Festuca myuros (FES), Astragalus sinicus (AST), Trifolium incarnatum (TRI), mixing sowing (Astragalus sinicus 1 + Trifolium incarnatum 2) and control]. The weed occurrence was 229 weeds of 13 flora (fresh weight 4,344 g, dry weight 745 g) in control; TRI treatment was the lowest, 14.7 weeds of 3.7 flora (fresh weight 18.0 g, dry weight 1.1 g). The mulching treatment groups showed a weed inhibition effect compared to the control (over 98%). Organic matter was lowest at 14.1 g/kg, but highest at 30.5 g/kg (2.2 times) in the TRI treatment. SPAD valu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tea leaves were also highest in the TRI treatment (38.1, 41.9 Fv/Fm). Therefore, Trifolium incarnatum is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when considering weed control, soil chemical properties, growth of tea trees, and convenience of 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78 : 22-25, 2000

      2 전승호, "피복작물과 파종법에 따른 잡초발생과 수수의 생육 및 수량" 한국잡초학회 32 (32): 107-114, 2012

      3 어진우, "사과원에서 피복식물이 토양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 29 (29): 287-292, 2010

      4 윤영남,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새로운 중간기주 ‘들묵새’" 한국식물병리학회 15 (15): 63-67, 2009

      5 양창휴, "벼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지력개선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371-378, 2009

      6 전원태, "두과 피복작물과 밀 혼파 재배 시 밀의 생육과 수량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198-203, 2012

      7 서영호, "강원지역 논 잡초 발생 양상 및 제초제의 사용 실태" 한국잡초학회 32 (32): 52-56, 2012

      8 박병근, "低投入 持續性 環境保全形 農法에서 草生栽培를 응용한 淸淨 綠茶 栽培 技術 體系化" 한국차학회 15 (15): 81-85, 2009

      9 Wyland LJ, "Winter cover crops in a vegetable cropping system: Impacts on nitrate leaching, soil water, crop yield, pests and management costs" 59 : 1-17, 1996

      10 Kuo S, "Winter cover crop effects on soil organic carbon and carbohydrate in soil" 61 : 145-152, 1992

      1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78 : 22-25, 2000

      2 전승호, "피복작물과 파종법에 따른 잡초발생과 수수의 생육 및 수량" 한국잡초학회 32 (32): 107-114, 2012

      3 어진우, "사과원에서 피복식물이 토양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 29 (29): 287-292, 2010

      4 윤영남,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새로운 중간기주 ‘들묵새’" 한국식물병리학회 15 (15): 63-67, 2009

      5 양창휴, "벼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지력개선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371-378, 2009

      6 전원태, "두과 피복작물과 밀 혼파 재배 시 밀의 생육과 수량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198-203, 2012

      7 서영호, "강원지역 논 잡초 발생 양상 및 제초제의 사용 실태" 한국잡초학회 32 (32): 52-56, 2012

      8 박병근, "低投入 持續性 環境保全形 農法에서 草生栽培를 응용한 淸淨 綠茶 栽培 技術 體系化" 한국차학회 15 (15): 81-85, 2009

      9 Wyland LJ, "Winter cover crops in a vegetable cropping system: Impacts on nitrate leaching, soil water, crop yield, pests and management costs" 59 : 1-17, 1996

      10 Kuo S, "Winter cover crop effects on soil organic carbon and carbohydrate in soil" 61 : 145-152, 1992

      11 Sarrantonio M, "Tillage effects on availability of N to corn following a winter green manure crop" 52 : 1661-1668, 1988

      12 Filser J, "The role of collembolan in carbon and nitrogen cycling in soil" 46 : 234-245, 2002

      13 조현숙,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Green Manure Yield by Different Kinds of Landscape Crops Cultivated in Summer in Upland Soil" 한국토양비료학회 47 (47): 324-331, 2014

      14 Wilkinson SR, "Metal ions in biological systems" Marcel Dekker, Inc. 1990

      15 Cardina J, "Handbook of weed management systems" Marcel Dekker 279-341, 1995

      16 Sharp RE, "Growth of the maize primary root at low water potentials. 2. Role of growth and deposition of hexose and potassium in osmotic adjustment" 93 : 1337-1346, 1990

      17 Clarkson DT, "Factors affecting mineral nutrient acquisition by plants" 36 : 77-116, 1985

      18 Barnes JP, "Evidence for allelopathy by residues and aqueous extracts of rye(Secale cereale)" 34 : 384-390, 1986

      19 Gardner EH, "Crimson clover, vetch, field peas. Western Oregon-West of Cascades"

      20 Reddy KN, "Cover crop, tillage, and herbicide effects on weeds, soil properties, microbial populations, and soybean yield" 51 : 987-994, 2003

      21 Petersen J, "Comparison of sugar beet cropping systems with dead and living mulch using a glyphosate-resistant hybrid" 191 : 55-63, 2005

      22 송재은, "Benzobicyclon 혼합제의 제형에 따른 제초활성 특성" 한국잡초학회 31 (31): 384-393,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3 0.5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