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 Internal Control of Financial Institutions - Focused on Enactment of the Act on Govern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3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이하 “지배구조법”)이 2015년 7월 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2016년 8월 1일자로 시행되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들은 금융회사의 위험관리기능과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있는데 지배구조법 시행은 이러한 국제적 논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내부통제가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지배구조가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내부통제와 지배구조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배구조법은 내부통제 관련 여러 요건과 절차 및 새로운 개념들을 도입하고 있다. 금융회사들은 강화된 내부통제 관련 규정을 단지 비용을 증가시키는 추가 부담으로만 여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금융회사의 단기적인 성과보다 장기적인 성과를 고려한다면 금융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내부통제의 강화는 금융업의 영위라는 회사의 목적과 금융시스템의 안정이라는 거시적인 목적상 필수적인 과제임을 금융회사 내부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지배구조법의 구체적 조항의 해석에 있어서 서로 일관되지 않고 제도의 취지가 불분명한 규정들은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지배구조법이 효율적인 내부 통제를 정착하는데 기여하는 실효적인 법이 되기 위해서는 법이 현실을 개선하고 또한 현실이 법에 반영될 수 있도록 규제당국이 실무를 모니터링하고 과도한 규제인 경우 금융업계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대화채널과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이하 “지배구조법”)이 2015년 7월 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2016년 8월 1일자로 시행되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들은 금융회사의 위험관리...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이하 “지배구조법”)이 2015년 7월 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2016년 8월 1일자로 시행되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들은 금융회사의 위험관리기능과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있는데 지배구조법 시행은 이러한 국제적 논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내부통제가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지배구조가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내부통제와 지배구조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배구조법은 내부통제 관련 여러 요건과 절차 및 새로운 개념들을 도입하고 있다. 금융회사들은 강화된 내부통제 관련 규정을 단지 비용을 증가시키는 추가 부담으로만 여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금융회사의 단기적인 성과보다 장기적인 성과를 고려한다면 금융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내부통제의 강화는 금융업의 영위라는 회사의 목적과 금융시스템의 안정이라는 거시적인 목적상 필수적인 과제임을 금융회사 내부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지배구조법의 구체적 조항의 해석에 있어서 서로 일관되지 않고 제도의 취지가 불분명한 규정들은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지배구조법이 효율적인 내부 통제를 정착하는데 기여하는 실효적인 법이 되기 위해서는 법이 현실을 개선하고 또한 현실이 법에 반영될 수 있도록 규제당국이 실무를 모니터링하고 과도한 규제인 경우 금융업계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대화채널과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t on Govern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hereinafter, the “Governance Act”) took effective as of August 1, 2016 following the passage of the bill by the National Assembly on July 6, 2015.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major developed countries have strengthened risk management and internal control functions of financial institutions. The enactment of the Governance Act is significant in that the Governance Act reflects issues internationally discussed and systemizes regulations for the govern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 As the effective internal control depends on sensible governance, internal control and governance are closely related. The Governance Act introduces various requirements and process related to internal control and new concepts. There is a concern that financial institutions could consider the enhanced internal control regulations as only additional burden causing increase of cost. The long-term perform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 is far more important than their short-term performance. As such the enhancement of internal control to prevent financial incidents in advance is an essential task for the purpose of a financial institution such as engagement in financial business and macro objective such as financial system stabilit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hat financial institutions acknowledge internal control is a essential task given the above. There are cases where provisions of the Governance Act are inconsistent or the purpose of certain provisions are not clear. One of solutions to make the Governance Act support effective internal control system would includ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channel and system to monitor practice and reflect view and suggestions of financial institutions.
      번역하기

      The Act on Govern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hereinafter, the “Governance Act”) took effective as of August 1, 2016 following the passage of the bill by the National Assembly on July 6, 2015.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major developed ...

      The Act on Govern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hereinafter, the “Governance Act”) took effective as of August 1, 2016 following the passage of the bill by the National Assembly on July 6, 2015.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major developed countries have strengthened risk management and internal control functions of financial institutions. The enactment of the Governance Act is significant in that the Governance Act reflects issues internationally discussed and systemizes regulations for the govern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 As the effective internal control depends on sensible governance, internal control and governance are closely related. The Governance Act introduces various requirements and process related to internal control and new concepts. There is a concern that financial institutions could consider the enhanced internal control regulations as only additional burden causing increase of cost. The long-term perform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 is far more important than their short-term performance. As such the enhancement of internal control to prevent financial incidents in advance is an essential task for the purpose of a financial institution such as engagement in financial business and macro objective such as financial system stabilit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hat financial institutions acknowledge internal control is a essential task given the above. There are cases where provisions of the Governance Act are inconsistent or the purpose of certain provisions are not clear. One of solutions to make the Governance Act support effective internal control system would includ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channel and system to monitor practice and reflect view and suggestions of financial institu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4

      2 김건식, "회사법" 박영사 2014

      3 권기범, "현대회사법론" 삼영사 2015

      4 정준우, "주식회사 감사기관의 책임에 관한 비판적 검토" 한양법학회 23 (23): 181-210, 2012

      5 금융개혁 자문단, "은행의 자율성․책임성제고방안"

      6 김건식, "법적 시각에서 본 내부통제" 금융법센터 (4) : 2004

      7 안수현, "내부통제의 회사법제 정비를 위한 검토" 한국상사판례학회 20 (20): 27-78, 2007

      8 곽관훈, "기업규제의 패러다임전환과 내부통제시스템" 한국경제법학회 8 (8): 27-51, 2009

      9 정영철,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시행상 고려사항 및 앞으로의 개선사항" 금융감독원 3 (3): 2016

      10 정순섭, "금융회사의 조직규제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금융규제법상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상사판례학회 24 (24): 3-47, 2011

      1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4

      2 김건식, "회사법" 박영사 2014

      3 권기범, "현대회사법론" 삼영사 2015

      4 정준우, "주식회사 감사기관의 책임에 관한 비판적 검토" 한양법학회 23 (23): 181-210, 2012

      5 금융개혁 자문단, "은행의 자율성․책임성제고방안"

      6 김건식, "법적 시각에서 본 내부통제" 금융법센터 (4) : 2004

      7 안수현, "내부통제의 회사법제 정비를 위한 검토" 한국상사판례학회 20 (20): 27-78, 2007

      8 곽관훈, "기업규제의 패러다임전환과 내부통제시스템" 한국경제법학회 8 (8): 27-51, 2009

      9 정영철,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시행상 고려사항 및 앞으로의 개선사항" 금융감독원 3 (3): 2016

      10 정순섭, "금융회사의 조직규제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금융규제법상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상사판례학회 24 (24): 3-47, 2011

      11 정순섭, "금융회사의 내부통제제도 개선 기본방향"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08

      12 이승희, "금융회사 지배구조 연차보고서 분석-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중심으로" 경제개혁연구소 50 : 2015

      13 전성인, "금융회사 지배구조 선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금융경제연구원 2013

      14 정순섭, "금융회사 내부통제의 금융법상 지위- 규제의 내부화·민영화의 관점에서" 법무부 (49) : 87-104, 2010

      15 "금융회사 내부통제 강화방안-금융사고 근절 및 금융권 신뢰 회복"

      16 이시연, "금융정보 보안 위험 통제를 위한 리스크 지배구조의 정비 필요성과 관제" 한국금융연구원 24 (24): 2015

      17 금융감독원, "금융의 디지털화․ 글로벌화 진전과 리스크관리 혁신방향, 은행 리스크관리 선진화 워크숍 격려사"

      18 "금융위원회공고 제2016-245호,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재입법예고, 2016. 8. 8"

      19 정대, "글로벌 스탠더드로서의 내부통제: 상장회사의 준법지원인제도" 한국법학회 43 : 267-296, 2011

      20 이시연, "국내은행의 내부통제제도 개선방안" 금융위원회 2014

      21 김우진, "국내 은행의 내부통제시스템 개선방안" 한국금융연구권 23 (23): 2014

      22 이시연, "국내 금융회사 내부통제 체계의 개선방향" 한국금융연구원 2014

      23 김홍기, "건전한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원칙과 운용방안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28 (28): 3-56, 2015

      24 원동욱, "內部統制業務 關聯 遵法監視人의 地位" 한국기업법학회 22 (22): 239-270, 2008

      25 Klaus J. Hopt, "Better Govern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

      26 Michael E. Murphy, "Assuring Responsible Risk Management in Banking: The Corporate Governance Dimension" 36 :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5 0.69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