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관계 = An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s and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Urban Dweller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43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지역사회 건강조사 2019년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지역사회 건강조사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거주 성인남녀 만 19세 이상 응답자 19,646명(여성:11,117; 남성:8,529 )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인식은 만족과 불만족으로 구분하였으며, 지난 1년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한 경험 유무에 따라 미충족 의료 경험유무 집단을 분류하고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불만족할 경우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1.9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 의료의 이유에 따라 개인적 요인과 시스템 요인으로 층화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의료이용 장애와 개인적 사유에 따른 미충족 의료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미충족 의료 개선을 위해서는 보건의료제도와 물리적 접근성의 개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s and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urban dwellers in Seoul. Methods :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s and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urban dwellers in Seoul.
      Methods :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CHS) were utilized, and a total number of 19,646 residing in Seoul were included in the analytic models.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 number of physician per 1,000 people by 25 districts.
      Results :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a poor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s was associated with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In addition, a poor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was associated with personal reason-, and systematic reason-related unmet healthcare need.
      Conclusions :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dividual’s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based policy development for improving social aspect of healthcare services in addition to physical condi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창우, "홍콩 이주 한인의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1 (41): 107-121, 2015

      2 김태현, "의료보장유형별 미충족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7) : 41-69, 2020

      3 허순임, "우리나라 성인의 미 충족의료 현황: 연령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3 (13): 1-16, 2007

      4 김수정, "우리나라 가구 의료비부담과 미충족 의료 현황: 의료보장 형태와 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7 (17): 47-70, 2011

      5 황종남, "소득 수준에 따른 미충족 의료: 형평성의 함의"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4 (34): 83-97, 2017

      6 이연희, "성인의 우울감 발병 예측모형 개발"

      7 조홍준, "보건의료에서의 형평성: 우리나라의 현황" 대한의사협회 56 (56): 184-194, 2013

      8 유광민, "미충족 의료의 영향요인 분석 -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탐색적 정책연구 -" 한국정책학회 25 (25): 269-300, 2016

      9 김희언, "대도시 미충족의료와 지역 맥락효과에 관한 다수준 분석: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4 (24): 111-141, 2018

      10 정현우, "과부담의료비 지출 경험이 경제적 이유에 의한 미충족의료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3 (23): 27-51, 2017

      1 손창우, "홍콩 이주 한인의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1 (41): 107-121, 2015

      2 김태현, "의료보장유형별 미충족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7) : 41-69, 2020

      3 허순임, "우리나라 성인의 미 충족의료 현황: 연령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3 (13): 1-16, 2007

      4 김수정, "우리나라 가구 의료비부담과 미충족 의료 현황: 의료보장 형태와 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7 (17): 47-70, 2011

      5 황종남, "소득 수준에 따른 미충족 의료: 형평성의 함의"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4 (34): 83-97, 2017

      6 이연희, "성인의 우울감 발병 예측모형 개발"

      7 조홍준, "보건의료에서의 형평성: 우리나라의 현황" 대한의사협회 56 (56): 184-194, 2013

      8 유광민, "미충족 의료의 영향요인 분석 -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탐색적 정책연구 -" 한국정책학회 25 (25): 269-300, 2016

      9 김희언, "대도시 미충족의료와 지역 맥락효과에 관한 다수준 분석: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4 (24): 111-141, 2018

      10 정현우, "과부담의료비 지출 경험이 경제적 이유에 의한 미충족의료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3 (23): 27-51, 2017

      11 우세린, "고용형태별 및 성별에 따른 미충족 의료경험의 차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592-616, 2020

      12 Allin, S., "Unmet Need as an Indicator of Health Care Access" 15 (15): 7-9, 2009

      13 Bryant, T., "Unmet Healthcare Need, Gender, and Health inequalities in Canada" 91 (91): 24-32, 2009

      14 Hwang J, "Understanding Reasons for Unmet Health Care Needs in Korea : What are Health Policy Implications?" 18 (18): 557-, 2018

      15 Reinhardt, U., "The World Health Report 2000 – Health Systems : Improving Performance" 78 (78): 1064-, 2000

      16 Braveman, P.,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t's Tme to Consider the Causes of the Causes" (suppl2) : 19-31, 2014

      17 Zajacova, A.,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 Reducing Disparities Through a Contextual Approach" 39 : 273-289, 2018

      18 Allin S, "Subjective unmet need and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in Canada : what are the equity implications?" 70 (70): 465-472, 2010

      19 Hou, Z., "Social Capital, Neighbourhood Characteristics and Utilisation of Local Public Health Services among Domestic Migrants in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7 : e014224-, 2017

      20 Derose, KP., "Social Capital and Health Care Access : a Systematic Review" 66 (66): 272-306, 2009

      21 Sibley LM, "Reasons for Self-reported Unmet Healthcare Needs in Canada : a Population-based Provincial Comparison" 5 (5): 87-101, 2009

      22 Kim, ES, "Perceived Neighborhood Social Cohesion and Preventive Healthcare Use" 53 (53): e35-e40, 2017

      23 Choi, YJ, "Perceived Neighborhood Safety, Social Cohesion, and Psychological Health of Older Adults" 58 (58): 196-206, 2018

      24 Bissonnette, L., "Neighbourhoods and Potential Access to Health Care : The Role of Spatial and Aspatial Factors" 8 (8): 841-853, 2012

      25 Kirby, JB., "Neighborhood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Access to Health Care" 46 (46): 15-31, 2005

      26 Prentice, JC, "Neighborhood Effects on Primary Care Access in Los Angeles" 62 (62): 1291-1303, 2006

      27 Seung Eun Lee, "Neighborhood Deprivation and Unmet Health Care Needs: A Multilevel Analysis of Older Individuals in South Korea" 질병관리본부 10 (10): 295-306, 2019

      28 Mohnen, S. M.,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s Determinants of Healthcare Utilization – a theoretical model" 9 : 7-, 2019

      29 Law, M., "Meeting Health Need, Accessing Health Care : the Role of Neighbourhood" 11 (11): 367-377, 2005

      30 Pappa, E., "Investigating Unmet Health Needs in Primary Health Care Service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Greek Population" 10 (10): 2017-2027, 2013

      31 Kim CY, "Inequality in Health : a Korean Perspectiv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5

      32 Bernard, P., "Health Inequalities and Place : a Theoretical Conception of Neighbourhood" 65 (65): 1839-1852, 2007

      33 Manuel, JI.,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ed Unmet Treatment Needs Among Persons With and Without Co-occurring Disorders" 45 (45): 1-12, 2018

      34 Kim, J., "Factors influencing unmet need for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27 (27): NP2555-NP2569, 2015

      35 Oliver A, "Equity of Access to Health Care : Outlining the Foundations for Action" 58 (58): 655-6588, 2004

      36 Severance, JH., "Community-based Perceptions of Neighborhood Health in Urban Neighborhoods" 26 (26): 14-23, 2009

      37 Marmot, M.,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372 (372): 1661-1669, 2018

      38 Martin, KR., "Associations of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 on Health Status Outcomes in Persons with Arthritis" 62 : 1602-1611, 2010

      39 Hwang, J., "An Examination of Perceived Health Care Availability and Unmet Health Care Need in the City of Toronto, Ontario, Canada" 108 (108): e7-e13, 2017

      40 Kwon, S, "Advancing Universal Health Coverage: What Developing Countries Can Learn from the KoreanExperience?" World Bank Group 2018

      41 O’Campo, P, "Advancing Theory and Methods for Multilevel Models of Residential Neighborhoods and Health" 157 (157): 9-13, 2003

      42 Hendryx, MS., "Access to Health Care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37 (37): 85-101,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15 1.47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