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베트남 최후의 왕조인 구엔조의 수도, 훼에 전승되고 있는 궁정음악을 수집하여 그 음악의 구조나 양식에 따라 장르별로 분류하고, 궁정의 악사로 활동했던 현역음악가들의 증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443896
大阪 : 大阪大學, 1997
1997
일본어
398780 판사항(20)
일본
xⅷ, 145 leaves : ill. ; 30 cm.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베트남 최후의 왕조인 구엔조의 수도, 훼에 전승되고 있는 궁정음악을 수집하여 그 음악의 구조나 양식에 따라 장르별로 분류하고, 궁정의 악사로 활동했던 현역음악가들의 증언...
본 논문은 베트남 최후의 왕조인 구엔조의 수도, 훼에 전승되고 있는 궁정음악을 수집하여 그 음악의 구조나 양식에 따라 장르별로 분류하고, 궁정의 악사로 활동했던 현역음악가들의 증언과 문헌 자료 및 도상자료의 대조 비교, 분석을 통하여 현존하는 베트남의 궁정음악 개념을 명확히 하고 있다.
냐냑(雅樂)은 15세기 이후 베트남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음악용어로 현재 궁정음 악전반을 칭하거나 띠우냑 (小樂) 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등 다의적인 음악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欽定大南會典事例』나 『大越史記全書』등에 의하면 궁정에서는 띠층과 띠칸, 띠코, 떼냑, 느냑, 관냑 등 여러 연주집단이 궁정의식 및 대소연회를 담당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장로음악가들의 증언에 따르면 20세기 중반 궁정의례에서는 대음량의 다이냑(大樂)과 소음량의 띠우냑이 배치연주되었는데 현재 다이냑은 종교의식음악, 궁정음악 혹은 무용반주음악 등 다양하게 연주되고 있는 반면 띠우냑은 '무어이반따오'와 '남구우'만이 대표적인 곡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들 변호의 주된 요인으로서 베트남 궁정의 폐망과 사회적 변혁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인으로 인하여 궁정음악문화는 필연적인 탈궁정화와 구조상의 변질과정을 겪게 되고 결과적으로 취사선택된 음악만으로 기존의 음악문화가 재정비되는 등의 변동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특정사회적 맥락에 의해 좌우되는 음악문화의 변동은 그 잔존형태에 따라 마크로 변동과 미크로 변동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음악문화의 마크로 변동은 음악기능의 축소, 타 음악문화와의 융합, 존재이유의 상실 및 전수의 단절과 소멸, 응용의 형태로 출현하는 재생, 부활 등의 제양상을 포함하는데 제양상은 베트남 전통음악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음악문화의 축소현상은 띠우냑의 경우, 융합현상은 다이냑, 소멸현상은 느냑과 관냑, 음악문화의 포괄적 재생은 냐냑의 경우이다. 한편 음악관습의 변화 등 미크로 변동은 그 일례로 띠우냑의 대표적인 악곡인 '무어이반따오'를 들 수 있다. 이 현상은 금세기 전반에 한국의 궁정음악이 맥락변화를 겪은 경우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