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추가지정을 위한 타당성 연구 = Feasibility Study for Additional Designation of Free Trade Zone in Incheon Container 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1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천항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유무역지역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통하여 글로벌 물류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 있는 인천항 자유무역지역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

      본 연구는 인천항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유무역지역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통하여 글로벌 물류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 있는 인천항 자유무역지역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천항 항만배후물류단지 자유무역지역 추가 지정 지역을 도출한 결과 인천신항 1-1단계 1구역, 3구역, 1-2단계와 인천남항 아암물류 2단지 1-1단계 1구역이 추가적으로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무역지역으로 인천신항이 지정될 때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정한 결과 전국의 총 생산유발효과는 8,220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920억 원, 수입유발효과는 1,492억 원, 취업유발효과는 5,681명으로 분석되었다. 인천남항이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경제적 파급효과의 경우 생산유발효과는 4,038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434억 원, 수입유발효과는 743억 원, 취업유발효과는 2,791명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global logistics environment and foster a competitive free trade zone in Incheon Container Port by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additional designation of free trade zones to secure competitiv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global logistics environment and foster a competitive free trade zone in Incheon Container Port by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additional designation of free trade zones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Incheon Container Port. As a result of deriving an additional designated free trade zone for the Incheon hinterland logistics complex, Incheon New Port Phase 1-1 Zone 1, Zone 3, Phase 1-2 and Incheon Nam Port, Aam Logistics Complex 2 Phase 1-1 Zone 1 need to be additionally designated as free trade zon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 if Incheon New Port is designated as a free trade zone, the total national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s 822 billion won, the national total value-added effect is 229 billion won. In case of Incheon South Port, total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s 403.8 billion won, total value-added effect in the country is 143.4 billion w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우, "항만자유무역지역 투자유치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7 (27): 1-30, 2012

      2 한국개발연구원,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2001

      3 해양수산부, "항만배후단지 고부가가치화 발전 전략" 2015

      4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배후단지 개발관련 법제도 비교 연구" 2003

      5 이학노, "한국 자유무역지역의 외국인투자 현황과 제고 방안 연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1 (21): 33-52, 2020

      6 정태원, "평택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위한 입주기업 지원방안" 한국해운물류학회 36 (36): 419-436, 2020

      7 해양수산부, "제3차 항만배후단지개발종합계획(변경)"

      8 해양수산부, "제3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2017

      9 해양수산부,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2016

      10 국토해양부, "제3차 항만기본계획 보고서" 2011

      1 이성우, "항만자유무역지역 투자유치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7 (27): 1-30, 2012

      2 한국개발연구원,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2001

      3 해양수산부, "항만배후단지 고부가가치화 발전 전략" 2015

      4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배후단지 개발관련 법제도 비교 연구" 2003

      5 이학노, "한국 자유무역지역의 외국인투자 현황과 제고 방안 연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1 (21): 33-52, 2020

      6 정태원, "평택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위한 입주기업 지원방안" 한국해운물류학회 36 (36): 419-436, 2020

      7 해양수산부, "제3차 항만배후단지개발종합계획(변경)"

      8 해양수산부, "제3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2017

      9 해양수산부,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2016

      10 국토해양부, "제3차 항만기본계획 보고서" 2011

      11 해양수산부, "제2차 항만배후단지개발종합계획 및 항만배후단지 지정(변경) 요약"

      12 해양수산부, "입주기업 실태조사 및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2019

      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우리나라 항만배후단지의 개발방향과 전략" 2002

      14 장영태, "선박체항시간비용의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1992

      15 이원용, "상해 자유무역지역(FTZ)의 특성이 해외직접투자(FDI) 유입에 미치는 영향: 시장 환경과 자유무역협정(FTA)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역학회 39 (39): 149-176, 2014

      16 최상희, "글로벌 물류기술 국제협력 및 동향분석- 자동화 및 친환경 물류기술 개발현황및 정책동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학술지 분리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8 0.943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