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목적 및 내용 척수손상 후 그렐린/에스트로젠에 의한 척수혈관장벽 파괴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이와 관련한 신호전달과정을 연구함. 또한 척수혈관장벽의 투과성 조절 메커니즘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척수손상 후 그렐린/에스트로젠에 의한 척수혈관장벽 파괴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이와 관련한 신호전달과정을 연구함. 또한 척수혈관장벽의 투과성 조절 메커니즘을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척수손상 후 그렐린/에스트로젠에 의한 척수혈관장벽 파괴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이와 관련한 신호전달과정을 연구함. 또한 척수혈관장벽의 투과성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이차손상의 주요원인으로서 척수혈관장벽 파괴 억제를 위한 새로운 척수손상 치료 타깃을 도출하고자 함.
○ 척수손상 후 그렐린/에스트로젠의 척수혈관장벽 파괴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검증
○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한 in vitro 모델을 통해 그렐린/에스트로젠에 의한 tight junction breakdown 조절 연구(RhoA signaling중심)
○ 척수손상 후 척수혈관장벽 파괴에 미치는 RhoA signaling 역할 규명
○ 그렐린/에스트로젠에 의한 척수혈관장벽 파괴 관련 histone demethylase, JMJD3의 발현억제 기전 연구
○ RhoA 활성 및 signaling을 억제하는 후보물질 발굴 및 효능 규명
연구개발성과
○ 척수손상 후 그렐린/에스트로젠이 MMP-9과 SUR1/TRPM4를 조절함으로서 척수혈관장벽 파괴 보호함을 확인
○ 혈관내피세포 bEnd.3 cell에 OGD 자극 후 에스트로젠의 tight junction integrity 보호 효능 및 기전 연구
○ Histone demethylase, JMJD3의 척수혈관장벽 파괴에 대한 영향 및 그렐린, 에스트로젠의 JMJD3 발현억제 기전 연구
○ 척수혈관장벽 파괴 관련 인자 발굴 (A3, fluoxetine/vitamin C, glivec, mithramycine A) 및 기전연구
○ 척수손상 후 척수혈관장벽 파괴에 미치는 RhoA signaling 역할 규명
○ RhoA 활성 및 signaling을 억제하는 후보물질 (ghrelin, estrogen, fluoxetine, A3, glivec, Jmjd3 inhibitor, mithramycine A, valproic acid)발굴
○ 국내 논문 1건 게재
○ 국외 SCI 논문 9건 게재, 1건 투고, 2건 준비중
○ 국내 특허 1건 출원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혈액뇌장벽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제어 기술을 개발함.
○ 척수손상뿐만 아니라 이와 연관된 뇌일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경화증, 뇌성마비 등 다양한 중추신경계 질환의 발병기전을 이해할 수 있음.
○ 연구 성과에 따른 논문게재 및 특허출원으로 척수손상 분야에서 국가 기초과학의 기술경쟁력을 높임.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Contents ○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ghrelin / estrogen on blood-spinal cord barrier disrup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and elucidate the signal transduction process. ○ To understand the regulation mechanism of blood-spi...
Purpose&Contents
○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ghrelin / estrogen on blood-spinal cord barrier disrup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and elucidate the signal transduction process.
○ To understand the regulation mechanism of blood-spinal cord barrier permeability
○ To derive a new therapeutic target for spinal cord injury by inhibiting blood-spinal cord barrier disruption as a major cause of secondary injury
Results
○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effect of ghrelin/estrogen on blood-spinal cord barrier disruption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MMP-9 and SUR1/TRPM4
○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 of estrogen on tight junction integrity after OGD stimulation in vascular endothelial cell bEnd.3 culture
○ Study on the effect of histone demethylase, JMJD3 on blood-spinal cord barrier breakdown and determine the mechanism of ghrelin/estrogen on the expression of JMJD3 in vivo and in vitro
○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3, fluoxetine/vitamin C, glivec, mithramycine A)related to protection of blood-spinal cord barrier after spinal cord injury and study on the mechanisms
○ Determination of the role of RhoA signaling in blood-spinal cord barrier disrup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 Discovery of candidate substances that inhibit RhoA activity and signaling
○ Publication 10 papers (Domestic paper: 1 & overseas SCI paper: 9)
○ Submission to Journal (1 manuscript) & Preparation 2 manuscripts
○ Domestic patent application: 1
Expected Contribution
○ Improve the academic understanding pathological processes after SCI
○ Understand the pathogenesis of various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 Increased competitiveness of national basic science by publishing papers and applying for pa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