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부자유아동을 위한 교육이 보조공학, 보완대체의사소통 등과 같이 정차로 많은 관련전문인들과의 협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감에 따라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팀 구성과 운영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체부자유아동을 위한 교육이 보조공학, 보완대체의사소통 등과 같이 정차로 많은 관련전문인들과의 협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감에 따라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팀 구성과 운영에 ...
지체부자유아동을 위한 교육이 보조공학, 보완대체의사소통 등과 같이 정차로 많은 관련전문인들과의 협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감에 따라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팀 구성과 운영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팀 접근법에 관한 기초적 개념과 최근 지체부자유아 교육에 팀접근법이 어떻게 도입 및 발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팀 접근법 운영의 방해요인들을 구성원간의 관계에 관련된 요인, 팀의 구조적 요인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또한 지체부자유아교육에 있어서의 최상의 실제중 한 요인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러한 팀 접근법을 한국 지체부자유아 교육 상황에서 적용하고자 할 때의 문제점을 관련서비스의 개념 및 전문인 양성, 교육전달체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al Team Approach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ently, professionals have largely redefined what constitutes an appropriat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any of these changes include adoption of a collaborat...
Educational Team Approach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ently, professionals have largely redefined what constitutes an appropriat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any of these changes include adoption of a collaborative, rather than individualistic approach to service provision. This paper examin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eam approach and current trend in educational team approach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irst, overview of team approach, including definitions, rationale, and description of subtypes, was provided. Second, as a best practice of educational team approach for students with physical and severe disabilities, transdisciplinary team approach was discussed. Third, based on transdisciplinary team model, critical features and challeng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 Finally, implication for Korean special education practice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 협력 방안 고찰
인성교육을 위한 인터넷 기반의 협력적 딜레마 해결 학습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