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문학과 철학의 상상력 이론과 적용 - 신화, 이미지, 환상예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97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문학과 철학의 상상력 이론과 그 적용을 고찰한다. 첫째 부분으로 현대 철학, 특히 현상학, 해석학, 그리고 문화철학의 상상력이론이 다루어진다. 현상학 영역에서는 후설, 사르트르 그리고 메를로-퐁티 등의 현상학적 상상력을, 해석학 영역에서는 하이데거의 시적 상상력, 가다머의 다층적 이미지론과 리쾨르의 상징적 동화 및 해석학적 상상력을 고찰하고, 그리고 상상력, 상징과 기호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다룬 카시러의 상징적 상상력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나아가 상상력의 적용을 생태철학적 상상력의 철학적 의미에서 숙고한다. 둘째 부분으로 이미지·상상력의 부흥과 포스터모더니즘이 다루어진다. 여기서는 우선 구술, 문자, 이미지 그리고 상상력 사이의 관계를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론, 레지스 드브레의 언설계, 기록계, 비디오계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어서 포스트 모던 사상가들의 상상력을 자크 데리다의 해체론과 장 보드리야르의 시뮐라크르와 시뮐라시옹 개념 속에서 체계화하며, 이것들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과학, 윤리, 정치, 교육 분야 등에서 숙고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문화의 균형을 이미지의 위험 요소에 대한 지적과 진정한 상상력의 회복에 대한 진단 속에서 제시한다. 셋째 부분으로 신화와 자연철학 시대에 나타난 상상력의 현대적 조망이 다루어진다. 여기서는 우선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신화 속에서 신화적 세계관을 도출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신화적 세계에 대한 자연철학자들의 비판적 입장 속에, 특히 크세노파네스의 신화비판 속에 내재된 신화적 요소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토대 위에서 신화적 상상력의 복권이 신화와 자연철학, 그리고 신화와 현대 과학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탈신화화와 신화적 요소의 갈등과 공존현상에 대한 반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논의 속에서 신화적 상상력에 대한 현대적 조망의 관점들이 체계화된다. 넷째 부분으로 상상력과 환상예술이 다루어진다. 여기서는 우선 환상문학과 이분법적 상상력 사이의 긴밀한 내적 연관성이 그르노블 학파, 프로이트, 토도로프 등의 상상력이론을 통해서 체계화된다. 그리고 환상문학 속에서 주요 테마로 소묘되는 악의 편재성, 타자성, 내면화 등이 고찰되고, 이어서 19세기의 환상소설 속에서 유행하였던 비교주의, 신비주의, 그리고 점성학 등에 대해 빌리에 드 릴라당의 환상문학이 주제로 다루어진다. 다음으로 환상문학과 신화적 상상력 그리고 환상예술 사이의 관련성을 신화와 문학, 특히 앙드레 시가노스의 문학화된 신화와 문학 신화 속에서 고찰한다. 이러한 문학화된 신화의 성격을 에로스와 타나토스, 나르시스에서 “거울”의 테마를 통해, 그리고 악테옹에서 “시선”의 테마를 통해 다룬다. 마지막으로 문학 신화를 환상문학의 정수, 즉 드라귤라 신화를 브램 스토커, 앤 라이스 그리고 코폴라 등에서 살펴보며, 나아서 톨킨과 러브크레프트 속에서 발현되는 신화적 상상력을 고찰한다. 적용부분에서는 최근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문화현상과 관련하여 신화, 이미지, 환상예술 등에 관한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상상력을 통한 과학, 정치, 윤리, 교육의 현실적 적용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다. 나아가 상상력의 산물인 이미지와 관련하여 오늘날 이미지 문명 시대에서 노현되는 병폐들을 지적하고 비판함으로써 이미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균형 잡힌 수용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대 문학과 철학의 상상력 이론과 그 적용을 고찰한다. 첫째 부분으로 현대 철학, 특히 현상학, 해석학, 그리고 문화철학의 상상력이론이 다루어진다. 현상학 영역에서는 후설, ...

      본 연구는 현대 문학과 철학의 상상력 이론과 그 적용을 고찰한다. 첫째 부분으로 현대 철학, 특히 현상학, 해석학, 그리고 문화철학의 상상력이론이 다루어진다. 현상학 영역에서는 후설, 사르트르 그리고 메를로-퐁티 등의 현상학적 상상력을, 해석학 영역에서는 하이데거의 시적 상상력, 가다머의 다층적 이미지론과 리쾨르의 상징적 동화 및 해석학적 상상력을 고찰하고, 그리고 상상력, 상징과 기호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다룬 카시러의 상징적 상상력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나아가 상상력의 적용을 생태철학적 상상력의 철학적 의미에서 숙고한다. 둘째 부분으로 이미지·상상력의 부흥과 포스터모더니즘이 다루어진다. 여기서는 우선 구술, 문자, 이미지 그리고 상상력 사이의 관계를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론, 레지스 드브레의 언설계, 기록계, 비디오계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어서 포스트 모던 사상가들의 상상력을 자크 데리다의 해체론과 장 보드리야르의 시뮐라크르와 시뮐라시옹 개념 속에서 체계화하며, 이것들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과학, 윤리, 정치, 교육 분야 등에서 숙고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문화의 균형을 이미지의 위험 요소에 대한 지적과 진정한 상상력의 회복에 대한 진단 속에서 제시한다. 셋째 부분으로 신화와 자연철학 시대에 나타난 상상력의 현대적 조망이 다루어진다. 여기서는 우선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신화 속에서 신화적 세계관을 도출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신화적 세계에 대한 자연철학자들의 비판적 입장 속에, 특히 크세노파네스의 신화비판 속에 내재된 신화적 요소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토대 위에서 신화적 상상력의 복권이 신화와 자연철학, 그리고 신화와 현대 과학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탈신화화와 신화적 요소의 갈등과 공존현상에 대한 반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논의 속에서 신화적 상상력에 대한 현대적 조망의 관점들이 체계화된다. 넷째 부분으로 상상력과 환상예술이 다루어진다. 여기서는 우선 환상문학과 이분법적 상상력 사이의 긴밀한 내적 연관성이 그르노블 학파, 프로이트, 토도로프 등의 상상력이론을 통해서 체계화된다. 그리고 환상문학 속에서 주요 테마로 소묘되는 악의 편재성, 타자성, 내면화 등이 고찰되고, 이어서 19세기의 환상소설 속에서 유행하였던 비교주의, 신비주의, 그리고 점성학 등에 대해 빌리에 드 릴라당의 환상문학이 주제로 다루어진다. 다음으로 환상문학과 신화적 상상력 그리고 환상예술 사이의 관련성을 신화와 문학, 특히 앙드레 시가노스의 문학화된 신화와 문학 신화 속에서 고찰한다. 이러한 문학화된 신화의 성격을 에로스와 타나토스, 나르시스에서 “거울”의 테마를 통해, 그리고 악테옹에서 “시선”의 테마를 통해 다룬다. 마지막으로 문학 신화를 환상문학의 정수, 즉 드라귤라 신화를 브램 스토커, 앤 라이스 그리고 코폴라 등에서 살펴보며, 나아서 톨킨과 러브크레프트 속에서 발현되는 신화적 상상력을 고찰한다. 적용부분에서는 최근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문화현상과 관련하여 신화, 이미지, 환상예술 등에 관한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상상력을 통한 과학, 정치, 윤리, 교육의 현실적 적용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다. 나아가 상상력의 산물인 이미지와 관련하여 오늘날 이미지 문명 시대에서 노현되는 병폐들을 지적하고 비판함으로써 이미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균형 잡힌 수용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