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육아휴직 후 복직한 간호사의 상사부하교환관계가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of Nurses who Return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on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5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as perceived by nurses who returned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via job stres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adopt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40 nur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scores were 3.44±0.64 out of 5 for leader-member exchange, 3.45±0.59 out of 5 for job stress, and 2.82±0.80 out of 5 for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The leader-member exchang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job stress (r=-.31, p=.003) and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36, p<.001). The leader-member exchange had direct impacts on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β=-.26, p=.002) and indirect via job stress (β=.35, p<.001). Job str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Z=-3.00, p<.001).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job stress explained 41% of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a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ncrease the leader-member exchange.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as perceived by nurses who returned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via job stres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adopted and data w...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as perceived by nurses who returned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via job stres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adopt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40 nur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scores were 3.44±0.64 out of 5 for leader-member exchange, 3.45±0.59 out of 5 for job stress, and 2.82±0.80 out of 5 for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The leader-member exchang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job stress (r=-.31, p=.003) and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36, p<.001). The leader-member exchange had direct impacts on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β=-.26, p=.002) and indirect via job stress (β=.35, p<.001). Job str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Z=-3.00, p<.001).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job stress explained 41% of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a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ncrease the leader-member ex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육아휴직 후 직장으로 복직한 간호사가 직장가정갈등으로 인식한 상사부하교환관계의 영향을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단면연구설계가 적용되었고 140명의 간호사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3.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 ​​검정, 분산 분석, 피어슨 상관 및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상사부하교환관계의 경우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44±0.64,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45±0.59, 직장가정갈등은 5점 만점에 2.82±0.80점이었다. 상사부하교환은 직무스트레스 (r=-.31, p=.003) 및 직장가정갈등 (r=-.36, p <.001)과 음의 상관관계이었다. 상사부하교환관계는 직장가정갈등 (β=-.26, p=.002)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무스트레스(β=.35, p<.001)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는 상사부하교환관계와 직장가정갈등에 부분적인 매개 영향을 미쳤다 (Z=-3.00, p<.001). 상사부하교환관계 및 직무 스트레스는 직장가정갈등의 41%를 설명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상사부하교환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인적자원 관리 정책을 수립해야 함을 나타낸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육아휴직 후 직장으로 복직한 간호사가 직장가정갈등으로 인식한 상사부하교환관계의 영향을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단면연구설계가 적...

      목적: 본 연구는 육아휴직 후 직장으로 복직한 간호사가 직장가정갈등으로 인식한 상사부하교환관계의 영향을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단면연구설계가 적용되었고 140명의 간호사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3.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 ​​검정, 분산 분석, 피어슨 상관 및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상사부하교환관계의 경우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44±0.64,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45±0.59, 직장가정갈등은 5점 만점에 2.82±0.80점이었다. 상사부하교환은 직무스트레스 (r=-.31, p=.003) 및 직장가정갈등 (r=-.36, p <.001)과 음의 상관관계이었다. 상사부하교환관계는 직장가정갈등 (β=-.26, p=.002)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무스트레스(β=.35, p<.001)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는 상사부하교환관계와 직장가정갈등에 부분적인 매개 영향을 미쳤다 (Z=-3.00, p<.001). 상사부하교환관계 및 직무 스트레스는 직장가정갈등의 41%를 설명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상사부하교환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인적자원 관리 정책을 수립해야 함을 나타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숙, "일개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육아휴직 인식과 이용용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4 (24): 211-220, 2018

      2 강현임, "일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및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9 (19): 268-277, 2010

      3 정효주, "육아휴직 후 직장에 복귀한 간호사의 적응과정" 간호행정학회 22 (22): 33-45, 2016

      4 이향화, "수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이 일반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0 (20): 195-205, 2014

      5 민순,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LMX의 조절효과:A 대학병원 간호사 집단을 대상으로" 대한경영학회 24 (24): 3401-3421, 2011

      6 이기현,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팀 구성원 직무스트레스 간 관계에 대한 다수준적 접근" 한국경영학회 45 (45): 687-710, 2016

      7 김성주, "대학병원 중간관리자의 감성적 리더십, 상사신뢰 및 상사-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0 (30): 1-33, 2015

      8 김유나,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및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 20 (20): 525-534, 2014

      9 조수진, "간호인력 구성 및 확보수준 결정 요인" 간호행정학회 20 (20): 10-21, 2014

      10 오재우,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및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69-481, 2013

      1 장경숙, "일개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육아휴직 인식과 이용용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4 (24): 211-220, 2018

      2 강현임, "일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및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9 (19): 268-277, 2010

      3 정효주, "육아휴직 후 직장에 복귀한 간호사의 적응과정" 간호행정학회 22 (22): 33-45, 2016

      4 이향화, "수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교환관계의 질이 일반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0 (20): 195-205, 2014

      5 민순,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LMX의 조절효과:A 대학병원 간호사 집단을 대상으로" 대한경영학회 24 (24): 3401-3421, 2011

      6 이기현,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팀 구성원 직무스트레스 간 관계에 대한 다수준적 접근" 한국경영학회 45 (45): 687-710, 2016

      7 김성주, "대학병원 중간관리자의 감성적 리더십, 상사신뢰 및 상사-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0 (30): 1-33, 2015

      8 김유나,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및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 20 (20): 525-534, 2014

      9 조수진, "간호인력 구성 및 확보수준 결정 요인" 간호행정학회 20 (20): 10-21, 2014

      10 오재우,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및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69-481, 2013

      11 나병진,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 22 (22): 260-269, 2016

      12 Jung YI, "The study on the effects of LMX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validity of hospitals for the elderly: focused on 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Kyung Hee University 2012

      13 Lee DY, "The relation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with marital satisfaction among dual-earner couples" Yonsei University 2003

      14 Lars G. Tummers, "The impac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on work-family interference and work-family facilitation" Emerald 43 (43): 573-591, 2014

      15 Ahn MK, "The effect of nurse's job stress on health practice behavior" Yonsei University 2003

      16 Mae Ja Kim,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14 (14): 28-37, 1984

      17 Uhl-Bien M,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 18" JAI Press 137-186, 2000

      18 George B. Graen, "Relationship-based approach to leadership: Developmen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of leadership over 25 years: Applying a multi-level multi-domain perspective" Elsevier BV 6 (6): 219-247, 1995

      19 Lee GJ, "Prevention of career interruption of nurses and activation of re-employment repor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 2015

      20 Sandy J. Wayn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40 (40): 82-111, 1997

      21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and Service Insurance, "Parental leave" Korea Employment Insurance

      22 Lee G, "Nurse career break survey and reemployment support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studies" Korean Nurses Association

      23 Satoris S. Culbertson, "Leader–Member Exchange and Work–Family Interactions: The Mediating Role of Self-Reported Challenge- and Hindrance-Related Stress" Informa UK Limited 144 (144): 15-36, 2009

      24 Laura L. Paglis, "Leadership self-efficacy and managers' motivation for leading change" Wiley 23 (23): 215-235, 2002

      25 Chester A. Schriesheim, "Leader-member exchange (LMX) research: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ory, measurement, and data-analytic practices" Elsevier BV 10 (10): 63-113, 1999

      26 David J. Henderson, "Leader--member exchange, differentiation, and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A multilevel examin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3 (93): 1208-1219, 2008

      27 Hong TH, "Feminist economics" Hanul Publishing 124-138, 2014

      28 Debra A. Major, "Coping with work-family conflict: A leader-member exchange perspect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6 (16): 126-138, 2011

      29 Dawn S. Carlson,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Elsevier BV 56 (56): 249-276, 2000

      30 강성례, "30대 기혼여성간호사의 노동과 소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여성연구원 29 (29): 41-7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98 2.98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6 2.96 4.5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