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983년부터 현재까지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를 통해 발행된 『島嶼文化』의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그 전개과정 및 흐름을 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글이다. 이를 위해 『島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76985
2007
Korean
91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67-401(35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83년부터 현재까지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를 통해 발행된 『島嶼文化』의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그 전개과정 및 흐름을 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글이다. 이를 위해 『島嶼...
본고는 1983년부터 현재까지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를 통해 발행된 『島嶼文化』의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그 전개과정 및 흐름을 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글이다. 이를 위해 『島嶼文化』의 연구경향을 각각의 접근 방향성에 근거하여 3기의 간기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1983년의 창간호부터 이어져 온 조사연구에 대한 총체적 점검이 1990년 제7집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까닭에 대체로 이 시기까지를 『島嶼文化』연구가 발아되고 전개된 〈발아기〉의 이름으로 부를 수 있다고 봤다. 이 시기의 연구는 토대 연구적 경향이 농후하던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발아기의 토대연구를 이어받아 의미 찾기를 시도하던 성장기가 또 한 번의 갈무리되는 시점을 맞이하는데, 이것은 1998년 12월에 열린 제12회 심포지움이라고 보았다. ‘섬문화자원의 활용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를 통해 그간의 토대연구와 분석 혹은 방법론 모색이라는 연구경향에서 섬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로 문제의식이 옮겨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논의를 통해 『島嶼文化』는 다음 간기인 도약기로 접어들면서 ‘문화론적 활성화’라는 화두에 집중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1999년 중점연구소 진입을 거쳐 2000년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는 것으로 보았다. 도약기의 가장 큰 특징은 도서문화에 대한 활용 담론들이 크게 강화되기 시작하면서, 문화론적 활성화에 대한 논고와 해외연구 논고들이 확장되었다는 점이라고 하겠다.
세 번의 간기는 공교롭게도 8년을 주기로 새로운 연구경향을 보여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대개 서남해 도서 중심에서 동아시아 범주로 연구지역이 확대되어 나간 경향을 볼 수 있었으며, 연구 주제 또한 토대연구를 중심으로 한 기초학문연구 경향에서 분석과 활용, 연구방법론에 대한 천착, 나아가 문화콘텐츠시대의 글로별한 대응력을 강화해나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島嶼文化』의 도도한 연구경향의 이면에 흐르고 있는 신해양시대와 글로벌시대, 그리고 문화콘텐츠의 시대라는 맥락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반증해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4번째 간기를 시작한다고 말할 수 있는 2007년은, 거점연구소로의 진입 및 도서문화전문대학원 가시화 등 굵직한 변화들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도약기라는 전망을 부여 해 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도의 바다 세계와 진도 문화의 해양문화관광 자원화 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8 : 499-518, 2006
2 박종철, "자은도 중심지 면소재지 공간구조와 개발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1 : 77-108, 2003
3 김건수, "임자도의 고고유적"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1-16, 2004
4 "임자도 又峰 趙熙龍 적거지의 관광자원화 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101-126, 2004
5 "서남해역의 해양문화자원 활용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1 : 371-403, 2003
6 문병채, "생일도의 자연 및 인문자원의 관광자원화 연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2 : 301-323, 2003
7 나승만, "비금도 강강술래의 사회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9 : 387-411, 2001
8 "문화영역과 생활권 연구방법" 1996
9 강봉룡,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사반세기 도서문화연구소와 탐라문화연구소의 연구 성과와 전망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학술교류협정식 및 제1회 공동워크샵" 2006
10 "도서지역의 문화영역과 분포연구방법론 모색" 1995
1 "진도의 바다 세계와 진도 문화의 해양문화관광 자원화 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8 : 499-518, 2006
2 박종철, "자은도 중심지 면소재지 공간구조와 개발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1 : 77-108, 2003
3 김건수, "임자도의 고고유적"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1-16, 2004
4 "임자도 又峰 趙熙龍 적거지의 관광자원화 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101-126, 2004
5 "서남해역의 해양문화자원 활용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1 : 371-403, 2003
6 문병채, "생일도의 자연 및 인문자원의 관광자원화 연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2 : 301-323, 2003
7 나승만, "비금도 강강술래의 사회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9 : 387-411, 2001
8 "문화영역과 생활권 연구방법" 1996
9 강봉룡,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사반세기 도서문화연구소와 탐라문화연구소의 연구 성과와 전망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학술교류협정식 및 제1회 공동워크샵" 2006
10 "도서지역의 문화영역과 분포연구방법론 모색" 1995
11 홍석준, "도서지역의 관광개발과 지역문화 임자도의 사례"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423-457, 2004
12 조경만, "도서문화 민속분야 연구의 반성"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7 : 1990
13 오건화, "국내 해양관광 관련 연구진척에 대한 논평"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5 : 201-237, 2005
14 김 준, "관광 콘텐츠로서 어촌의 문화자원 연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8 : 347-378, 2006
15 "고지도와 문헌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 섬의 변화" 1997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의 음식 조리법에 대한 소고(小考)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6-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도서문화연구소 -> 도서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INSTITUTE OF ISL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5 | 0.87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