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이래에 한국어의 연구 주제 가운데에 가장 오랜 기간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문제 가운데 하나가 ‘-더-’의 이질성 문제이다. 논의의 초기부터 ‘-던’이 ‘-더-’와는 별개의 형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970년대 이래에 한국어의 연구 주제 가운데에 가장 오랜 기간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문제 가운데 하나가 ‘-더-’의 이질성 문제이다. 논의의 초기부터 ‘-던’이 ‘-더-’와는 별개의 형태...
1970년대 이래에 한국어의 연구 주제 가운데에 가장 오랜 기간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문제 가운데 하나가 ‘-더-’의 이질성 문제이다. 논의의 초기부터 ‘-던’이 ‘-더-’와는 별개의 형태소라는 주장과 ‘-던’은 ‘-더-’가 관형절에 나타난 형태이기 때문에 동일한 형태소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 왔고 최근에는 ‘-더-’가 포함된 연결형- ‘-었더라면’, ‘-더라도’, 그리고 ‘-었더라도’ 등-의 성격에도 관심이 확장되는 추세이다. 논쟁 중에 가장 주목받은 현상은 소위 주어제약과 몸소살핌제약이다. 하지만 어디에서도 이들 제약에 관해 설명적 타당성을 충족시키는 이론을 제시하지 못했다. 본고에서는‘-더-’를 증거성에서 비롯한 전제의미를 드러내는 표지로 파악하고, 전제의미 - 즉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직접적 관찰-는 담화 상황에서의 원점(origo)을 통해서 맥락에 추가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주장의 이론적 근거로 담화표상이론(DRT)의 조응적 전제 이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더-’에서 나타나는 제약들을 의미론의 연구 방법을 적용시켰을 때에 일관성 있게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970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discussions of Korean grammar is to explain the heterogeneity of ‘-te-’. Some researchers argued that ‘-ten’ originally came from ‘-te-’whereas others argued against it. ‘-esstelamyen’, ‘-te...
Since 1970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discussions of Korean grammar is to explain the heterogeneity of ‘-te-’. Some researchers argued that ‘-ten’ originally came from ‘-te-’whereas others argued against it. ‘-esstelamyen’, ‘-telato’, and ‘-esstelato’ were also paid attention to recently. Person effects and Direct observation are two crucial evidences for researchers. However, no theory satisfied the explanatory adequacy on the issue.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e-’ is a presupposition trigger and also evidential marker and that the origo and a perceived event is paired under real world. The proposal is based on anaphoric presupposition of DR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웅, "화시와 맥락 그리고 합성성의 원리에 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5 : 185-212, 2014
2 손혜옥, "현대 국어에서의 ‘-더-’의 범주적 위상 - 종결형 ‘-더라’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40 : 71-110, 2013
3 이재성,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2001
4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5 김진웅, "한국어 증거성의 체계: 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9 : 101-124, 2012
6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7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37
8 박재연, "연결어미와 양태 : 이유, 조건, 양보의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0 : 119-141, 2009
9 송재목, "안맺음씨끝 ‘-더-’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32 : 133-169, 1998
10 최동주, "선어말어미 { - 더 - } 의 통시적 변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9) : 375-409, 1996
1 김진웅, "화시와 맥락 그리고 합성성의 원리에 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5 : 185-212, 2014
2 손혜옥, "현대 국어에서의 ‘-더-’의 범주적 위상 - 종결형 ‘-더라’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40 : 71-110, 2013
3 이재성,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2001
4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5 김진웅, "한국어 증거성의 체계: 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9 : 101-124, 2012
6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7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37
8 박재연, "연결어미와 양태 : 이유, 조건, 양보의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0 : 119-141, 2009
9 송재목, "안맺음씨끝 ‘-더-’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32 : 133-169, 1998
10 최동주, "선어말어미 { - 더 - } 의 통시적 변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9) : 375-409, 1996
11 임홍빈, "선어말 -더-와 단절의 양상" 7 : 433-475, 1982
12 이희자, "사전식 텍스트 분석적 국어 어미의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3 함병호, "보조사 ‘도’ 통합형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동악어문학회 (60) : 107-147, 2013
14 임홍빈, "다시 -더-를 찾아서" 23 : 255-323, 1993
15 남기심, "국어문법의 시제에 관한 연구" 탑출판사 1978
16 이필영, "관형사형 어미 ‘-(았)던’의 의미에 대하여" 317-334, 2002
17 최정진, "‘었더라면, (었)더니’에 포함된 ‘-더-’의 정체성" 한국어의미학회 41 : 199-229, 2013
18 송재목, "‘-더니’와 ‘-었더니’: 선어말어미 ‘-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60) : 33-67, 2011
19 서정수, "‘(었)던’에 관하여" 서병국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1979
20 Kaplan, D, "Themes from Kaplan"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1 Heim, Irene, "The semantics of definite and indefinite Noun Phrase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82
22 Stalnaker, Robert, "Syntax and Semantics" Academic Press 315-322, 1978
23 Chung, Kyung-Sook, "Space in Tense: The Interaction of Tense, Aspect, Evidentiality and Speech Act in Korean" Simon Fraser University 2005
24 Stalnaker, Robert, "Semantics and Philosophy" New York University Press 197-213, 1974
25 Lyons, J, "Seman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26 Geach. P. T, "Reference and Generality" Cornell 1962
27 Karttunen, Lauri, "Presuppositions of Compound Sentences" 4 : 167-193, 1973
28 Stalnaker, Robert, "Presuppositions" 2 : 447-457, 1973
29 van der Sandt, Rob, "Presupposition projection as anaphora resolution" 9 : 333-377, 1992
30 Geurts, Bart, "Presupposition and Pronouns" Elsevier 1999
31 Beaver, David, "Presupposition and Assertion in Dynamic Semantics" CSLI Publications 2001
32 Levinson Stephen,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33 Heim, Irene, "On the projection problem for presuppositions" 114-125, 1983
34 Strawson, P.F, "On Referring" 59 : 320-344, 1950
35 Geurts, Bart, "Local satisfaction guaranteed: A presupposition theory and its problems" 19 : 259-294, 1996
36 김진웅, "Korean Evidentials in Discours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2
37 Kamp, Hans, "From Discourse to Logic"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3
38 Kadmon, N, "Formal Pragmatics" Blackwell 2001
39 Kamp, Hans, "Formal Methods in the Study of Language" Mathematical Centre Tracts 135 277-322, 1981
40 Waldie, J. Ryan, "Evidentiality in Nuu-chah-nulth"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2
41 Garrett, Edward John, "Evidentiality and Assertion in Tibetan" UCLA 2001
42 Schlenker, Philippe, "DRT with local contexts" 19 : 373-392, 2011
43 Stalnaker, Robert, "Context and Cont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44 왕문용, "-더-와 관형절" 78-90, 1986
문학텍스트의 인성교육적 활용 가능성 -교육연극적 방법론의 글쓰기 수업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민족계몽과 예술지상주의 사이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식민지 예술가의 표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2-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 ![]() |
2010-02-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7-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6-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9 | 1.042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