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3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AI)은 국가와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AI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초·중등 대상의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SW·AI)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추세이다. 한국 역시 전 국민 대상 SW·AI 교육 환경 조성과 함께, 초·중등 학교급에서는 SW·AI 교육 강화를 위해 정보 교과목 강화 및 정보 융합 교육 장려 등을 정책으로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미래 역량 함양에 공통으로 필요한 교육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정보 교육 차원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에의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제이므로 정보 교육과정의 평가 영역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교과의 내용 및 평가 영역, 교육평가, 총론의 주요 특징 및 관련 교육과정 이론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관한 정보 교과 중심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중등 정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를 활용하여 평가 설계를 위한 절차와 교과 내용 분석 기준을 제시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백워드 설계는 총론에서의 교과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학습 내용 구조화,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절차와의 공통점 기반의 관계성, 심층적 이해를 위한 교과의 재구조화 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연구문제로서 첫째 정보 교과의 지식의 특징, 둘째 정보 교과 특징에 기반한 지식, 기능, 태도의 구조, 셋째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정보 교육 평가의 구성과 적용 절차를 제시했다.

      연구 절차는 탐색, 설계, 타당화, 결론 도출로 구성했다. 탐색 단계에서 연구문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문헌 연구를 위해 한국, 영국, 미국의 교육과정 및 관련 문서, 교육과정, 교육목표분류, 교육평가 관련 연구와 문서를 검토했다. 설계 단계에서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로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 정보 교과를 위한 지식·기능·태도 구조, 평가 방안과 적용 절차 등을 도출했다. 타당화 단계에서 설계 내용에 대한 이론적, 현장 적용성 관점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했다. 학계와 현장 전문가 16인을 대상으로 이질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방법과 심층 면담을 실행했고, 총 3차의 설문 과정을 거쳐 합의를 이루었다. 회차별 설문 내용의 분석 방법은 합의 도달 여부의 양적 평가 기준(표준 편차, 사분위수 범위, 적합 비율, 내용타당도 비율)을 검토하고, 서술 의견과 심층 면담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정보 교육 평가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기반의 설계 절차와 주안점을 제시했다. 둘째, 평가 설계에 필요한 교과 내용의 분석 기준(정보 교과 지식의 특성 및 지식 위계, 기능 분류, 태도 분류)을 제시했다. 셋째, 평가 유형과 세부 유형을 정리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식-기능 관계 및 태도 구조에 따른 적용 방안을 제시했다. 덧붙여 이해를 돕기 위한 통합 사례와 총괄 수행 과제를 포함했다.

      연구의 의의로서 첫째, 본 논문은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등 정보 교육에서 평가 설계 과정과 이를 위한 정보 교과 내용 분석의 기준을 제공했다. 둘째, 정보 교과의 평가에 대해 정보 교과의 구조와 내용의 특징 관점에서 접근했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을 현장 교육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정보 교과 중심의 자료를 제공했다. 넷째,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에서 정의적·심동적 영역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관련 내용을 보다 체계화하고 강화했다. 다섯째, 중등 정보 교육 연구에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을 짚어보고, 교과 내용 구조화를 위한 위계와 분류 체계에 정보 교과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용어와 표현을 사용했다. 여섯째, 정보 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의견의 차이는 전문가의 환경과 정보 격차 등에 의해 발생함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향후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 설계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이론 중심의 연구이므로, 이로 인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 대상의 실행 연구, 현장 적용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의 템플릿 발전, 학교급별·교과 영역별 사례 개발,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연수 개발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교과 내용으로서의 지식 자체에 대한 연구로서 교과 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보 교과의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과 구조 및 관계를 더욱 정교하게 규정하여 교수·학습 내용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기대하고, 교사들의 교수·학습·평가 설계에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정보 교육과 관련된 객관화된 평가와 정량화된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능력과 학습 결과를 적절하게 진단하고 측정하는 것은 개별 학습자에게 알맞은 정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제시한 향후 연구에 필요한 기간과 자원 등을 고려하여 개인과 공적 차원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AI)은 국가와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AI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초·중등 대...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AI)은 국가와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AI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초·중등 대상의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SW·AI)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추세이다. 한국 역시 전 국민 대상 SW·AI 교육 환경 조성과 함께, 초·중등 학교급에서는 SW·AI 교육 강화를 위해 정보 교과목 강화 및 정보 융합 교육 장려 등을 정책으로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미래 역량 함양에 공통으로 필요한 교육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정보 교육 차원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에의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제이므로 정보 교육과정의 평가 영역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교과의 내용 및 평가 영역, 교육평가, 총론의 주요 특징 및 관련 교육과정 이론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관한 정보 교과 중심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중등 정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를 활용하여 평가 설계를 위한 절차와 교과 내용 분석 기준을 제시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백워드 설계는 총론에서의 교과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학습 내용 구조화,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절차와의 공통점 기반의 관계성, 심층적 이해를 위한 교과의 재구조화 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연구문제로서 첫째 정보 교과의 지식의 특징, 둘째 정보 교과 특징에 기반한 지식, 기능, 태도의 구조, 셋째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정보 교육 평가의 구성과 적용 절차를 제시했다.

      연구 절차는 탐색, 설계, 타당화, 결론 도출로 구성했다. 탐색 단계에서 연구문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문헌 연구를 위해 한국, 영국, 미국의 교육과정 및 관련 문서, 교육과정, 교육목표분류, 교육평가 관련 연구와 문서를 검토했다. 설계 단계에서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로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 정보 교과를 위한 지식·기능·태도 구조, 평가 방안과 적용 절차 등을 도출했다. 타당화 단계에서 설계 내용에 대한 이론적, 현장 적용성 관점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했다. 학계와 현장 전문가 16인을 대상으로 이질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방법과 심층 면담을 실행했고, 총 3차의 설문 과정을 거쳐 합의를 이루었다. 회차별 설문 내용의 분석 방법은 합의 도달 여부의 양적 평가 기준(표준 편차, 사분위수 범위, 적합 비율, 내용타당도 비율)을 검토하고, 서술 의견과 심층 면담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정보 교육 평가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기반의 설계 절차와 주안점을 제시했다. 둘째, 평가 설계에 필요한 교과 내용의 분석 기준(정보 교과 지식의 특성 및 지식 위계, 기능 분류, 태도 분류)을 제시했다. 셋째, 평가 유형과 세부 유형을 정리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식-기능 관계 및 태도 구조에 따른 적용 방안을 제시했다. 덧붙여 이해를 돕기 위한 통합 사례와 총괄 수행 과제를 포함했다.

      연구의 의의로서 첫째, 본 논문은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등 정보 교육에서 평가 설계 과정과 이를 위한 정보 교과 내용 분석의 기준을 제공했다. 둘째, 정보 교과의 평가에 대해 정보 교과의 구조와 내용의 특징 관점에서 접근했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을 현장 교육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정보 교과 중심의 자료를 제공했다. 넷째,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에서 정의적·심동적 영역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관련 내용을 보다 체계화하고 강화했다. 다섯째, 중등 정보 교육 연구에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을 짚어보고, 교과 내용 구조화를 위한 위계와 분류 체계에 정보 교과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용어와 표현을 사용했다. 여섯째, 정보 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의견의 차이는 전문가의 환경과 정보 격차 등에 의해 발생함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향후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 설계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이론 중심의 연구이므로, 이로 인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 대상의 실행 연구, 현장 적용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의 템플릿 발전, 학교급별·교과 영역별 사례 개발,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연수 개발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교과 내용으로서의 지식 자체에 대한 연구로서 교과 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보 교과의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과 구조 및 관계를 더욱 정교하게 규정하여 교수·학습 내용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기대하고, 교사들의 교수·학습·평가 설계에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정보 교육과 관련된 객관화된 평가와 정량화된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능력과 학습 결과를 적절하게 진단하고 측정하는 것은 개별 학습자에게 알맞은 정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제시한 향후 연구에 필요한 기간과 자원 등을 고려하여 개인과 공적 차원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widely recognized as the cornerstone of both busines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since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resulted in major economic and societal upheaval. Majo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systematically promoting soft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W·AI) education for K–12 as well as higher education to get ready for an AI–center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Korea, a SW·AI education environment for all ages is being established. Additionally, at the K-12 level, SW·AI education is strengthened through educational strategies including enhancing informatics subjects and classes that combine with content in informatic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valuation to measure learners’ academic progress more thoroughly in informatics subject-area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subject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the general guid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ssociated theories, as well as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to properly plan assessments based on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 for informatics-related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guidelines for planning assessments and criteria for analysis of subject content based on second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using backward design. Backward design has three implications in this study: structuring learning content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 sharing commonalities with problem-solving processes in informatics; and a restructuring strategy of subjects for the purpose of in-depth understanding.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 informatics in secondary school? Second, what is the structure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Third, what is the procedure for planning assessments in infor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teps of the research process were exploration, design, validation, and drawing of conclusions. In the design stag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knowledge, restructured structur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informatics, evaluation plan, and application procedure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s sources for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and documents on curriculum and related documents in Korea, the UK, and the US, curriculum theory, educational taxonomies, and educational evaluation were cited. In the validation stage, the accep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sign outcomes were confirmed from a theoretical and field applicability perspective. Delphi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were applied to a heterogeneous group of 16 experts, consisting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secondary informatics teachers, and consensus was built through three Delphi rounds. For consensus analysis, four quantitative discriminant criteria were looked at: standard deviation, interquartile range (IQR), agreement ratio,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hen all conditions are me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lphi's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as examined, and the comprehensive agreement conclusion was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uidelines and key ideas were proposed when designing an assessment plan for secondary informatic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econdary informatics subject for assessment were offered. In detail, it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knowledge hierarchy, and skill and attitude categorization in secondary informatics. Third, the types of assessment methods available for secondary informatics were integrat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m, the plan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knowledge-skill relationship structure and attitude structure was presented. Integrated scenarios and performance tasks were offered to aid with comprehensio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assessments plan and structural analysis of subject content for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Second, assessments for informatics were approached from a thorough viewpoint of the subject structure as per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features of the subject content. Third, the sources required to integrate the national curriculum into classroom instruction are offered, with an emphasis on informatics. Fourth, awareness of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was examined during assessments of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 related material was enhanced and better systematized. Fifth, the hierarchy and categoriz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ere described as terminology and expressions connected to informatics. Finally, it was established that experts' perspectives, perceptions, and opinions on the topic of informatics education vary depending on their unique circumstances and contexts, and further research to fill in the varied knowledge gaps among experts is recommended.

      Future research area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theory and method of assessment plan desig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mplates that are more appropriate for the field, compile case studies by academic level and content areas of the subject, and creat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Second,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covered in informatics educa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consistency and continuity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provide teachers with standards to use when they restructure the curriculum by more precisely defining the traits and structures of informatic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verifiable and quantified scales related to informatics education. Learning outcomes and abilities must be accurately diagnosed and measured to provide each student with the instruction they need. Finally, considering the time and resources required for each research topic, simultaneous efforts at the individual and public level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research areas mentioned above.


      Keywords: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ssessments plan, informatics curriculum, national curriculum, backward design (understanding by design), curriculum restructuring.
      번역하기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widely recognized as the cornerstone of both busines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since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resulted in major economic and societal upheaval. Majo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systematic...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widely recognized as the cornerstone of both busines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since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resulted in major economic and societal upheaval. Majo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systematically promoting soft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W·AI) education for K–12 as well as higher education to get ready for an AI–center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Korea, a SW·AI education environment for all ages is being established. Additionally, at the K-12 level, SW·AI education is strengthened through educational strategies including enhancing informatics subjects and classes that combine with content in informatic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valuation to measure learners’ academic progress more thoroughly in informatics subject-area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subject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the general guid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ssociated theories, as well as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to properly plan assessments based on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 for informatics-related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guidelines for planning assessments and criteria for analysis of subject content based on second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using backward design. Backward design has three implications in this study: structuring learning content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 sharing commonalities with problem-solving processes in informatics; and a restructuring strategy of subjects for the purpose of in-depth understanding.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 informatics in secondary school? Second, what is the structure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Third, what is the procedure for planning assessments in infor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teps of the research process were exploration, design, validation, and drawing of conclusions. In the design stag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knowledge, restructured structur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informatics, evaluation plan, and application procedure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s sources for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and documents on curriculum and related documents in Korea, the UK, and the US, curriculum theory, educational taxonomies, and educational evaluation were cited. In the validation stage, the accep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sign outcomes were confirmed from a theoretical and field applicability perspective. Delphi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were applied to a heterogeneous group of 16 experts, consisting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secondary informatics teachers, and consensus was built through three Delphi rounds. For consensus analysis, four quantitative discriminant criteria were looked at: standard deviation, interquartile range (IQR), agreement ratio,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hen all conditions are me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lphi's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as examined, and the comprehensive agreement conclusion was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uidelines and key ideas were proposed when designing an assessment plan for secondary informatic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econdary informatics subject for assessment were offered. In detail, it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knowledge hierarchy, and skill and attitude categorization in secondary informatics. Third, the types of assessment methods available for secondary informatics were integrat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m, the plan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knowledge-skill relationship structure and attitude structure was presented. Integrated scenarios and performance tasks were offered to aid with comprehensio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assessments plan and structural analysis of subject content for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Second, assessments for informatics were approached from a thorough viewpoint of the subject structure as per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features of the subject content. Third, the sources required to integrate the national curriculum into classroom instruction are offered, with an emphasis on informatics. Fourth, awareness of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was examined during assessments of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 related material was enhanced and better systematized. Fifth, the hierarchy and categoriz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ere described as terminology and expressions connected to informatics. Finally, it was established that experts' perspectives, perceptions, and opinions on the topic of informatics education vary depending on their unique circumstances and contexts, and further research to fill in the varied knowledge gaps among experts is recommended.

      Future research area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theory and method of assessment plan desig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mplates that are more appropriate for the field, compile case studies by academic level and content areas of the subject, and creat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Second,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covered in informatics educa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consistency and continuity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provide teachers with standards to use when they restructure the curriculum by more precisely defining the traits and structures of informatic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verifiable and quantified scales related to informatics education. Learning outcomes and abilities must be accurately diagnosed and measured to provide each student with the instruction they need. Finally, considering the time and resources required for each research topic, simultaneous efforts at the individual and public level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research areas mentioned above.


      Keywords: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ssessments plan, informatics curriculum, national curriculum, backward design (understanding by design), curriculum restructur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관련 연구 6
      • 3. 연구문제 9
      • 4.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10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관련 연구 6
      • 3. 연구문제 9
      • 4.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10
      • II. 이론적 배경 11
      • 1. 교육과정 11
      • 1) 교육과정의 의미 11
      • 2) 이해중심 교육과정(백워드 설계)과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 14
      • 3) 교육 내용 구조화 17
      • 2. 교육목표분류 25
      • 1) 인지적 교육목표 25
      • 2) 정의적 교육목표 28
      • 3) 심동적 교육목표 30
      • 3. 교육평가 31
      • 1) 평가의 의미와 역할 31
      • 2) 평가의 유형 32
      • 3) 한국, 영국, 미국의 정보 관련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 영역 35
      • III. 연구 절차 및 방법, 연구 모형 41
      • 1. 연구 절차 및 방법 41
      • 1) 문헌 연구 43
      • 2) 델파이 방법 45
      • 3) 심층 면담 49
      • 2. 연구 모형 50
      • 1) 교육과정-교육목표-교육평가 50
      • 2) 교육목표 유형과 지식기능태도의 관계성 51
      • 3) 교과 내용의 이해를 중심으로 한 지식-기능-평가 관계 52
      • IV.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 설계 54
      • 1.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 도출 55
      • 2. 정보 교과를 위한 지식 구조의 시안 도출 59
      • 3. 정보 교과를 위한 기능 구조의 시안 도출 63
      • 4. 정보 교과를 위한 태도 구조의 시안 도출 66
      • 5. 지식-기능 관계 및 태도 구조 기반 평가 방안의 시안 도출 67
      • 6. 평가 방안 설계를 위한 적용 절차와 수준별 적용 내용 71
      • V.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의 타당화 73
      • 1. 1차 타당화 결과(델파이 방법, 심층 면담) 77
      • 1) 결과 분석 78
      • 2) 1차 수정안 도출 83
      • 2. 2차 타당화 결과(델파이 방법) 94
      • 1) 결과 분석 94
      • 2) 2차 수정안 도출 100
      • 3. 3차 타당화 결과(델파이 방법, 심층 면담) 109
      • 1) 결과 분석 109
      • 2) 3차 수정 결과 도출 113
      • VI.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의 연구 결과 114
      • 1. 평가 적용 절차와 주안점 114
      • 2. 평가 설계를 위한 정보 교과 학습 내용의 분석 기준 119
      • 1) 정보 교과 지식의 특성과 지식 위계 119
      • 2) 기능 분류 125
      • 3) 태도 분류 129
      • 3. 평가 방안 132
      • 1) 평가 유형 분류 132
      • 2) 지식-기능 관계에 따른 평가 방안 제시 135
      • 3) 태도 분류에 따른 평가 방안 제시 139
      • 4) 통합 사례 141
      • 5) 단원 총괄 수행 과제 사례 149
      • VII. 결론 151
      • 참고문헌 166
      • Abstract 171
      • 부록 174
      • [부록 1: 템플릿을 이용한 정보 교과 교육의 평가 설계 가이드] 174
      • [부록 2: 델파이 1차 조사지] 196
      • [부록 3: 델파이 2차 조사지] 204
      • [부록 4: 델파이 3차 조사지] 21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 교육부, 중학교 교육 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2-11 호), , 1992

      2. , 장원영, 이영준, 김경훈, 안상진, 최정원, 정웅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정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CRC 2016-2-14), , 2016

      3. (중학교)정보, 이용진, 이화정, 김승범, 김수환, 김현철, 서울: 천재교과서, , 2018

      4. (고등학교)정보, 이승현, 김현철, 김종혜, 박승유, 김길한, 서울: 천재교과서, , 2018

      5. 교육평가의 기초, 성태제, 서울: 학지사, , 2014

      6. (신)교육목표분류학, 김인식, 최호성, 강현석, 박영무, 이원희, Hauenstein, A. D., 최병옥, 박창언, 박찬혁, 서울: 교육과학사, , 2004

      7.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김석우, 김대현, 서울: 학지사, , 2011

      8. 교육과정 통합의 기초, 박영무, Drake, S., 허영식, 유제순, 파주: 교육과학사, , 2009

      9. 수행평가와 채점기준표 개발, 박정, 반재천, 김선, 대전: AMEC, , 2017

      10. 중등 정보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김한일, 고영민, 김대영,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4), 33-43, , 2016

      1. , 교육부, 중학교 교육 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2-11 호), , 1992

      2. , 장원영, 이영준, 김경훈, 안상진, 최정원, 정웅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정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CRC 2016-2-14), , 2016

      3. (중학교)정보, 이용진, 이화정, 김승범, 김수환, 김현철, 서울: 천재교과서, , 2018

      4. (고등학교)정보, 이승현, 김현철, 김종혜, 박승유, 김길한, 서울: 천재교과서, , 2018

      5. 교육평가의 기초, 성태제, 서울: 학지사, , 2014

      6. (신)교육목표분류학, 김인식, 최호성, 강현석, 박영무, 이원희, Hauenstein, A. D., 최병옥, 박창언, 박찬혁, 서울: 교육과학사, , 2004

      7.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김석우, 김대현, 서울: 학지사, , 2011

      8. 교육과정 통합의 기초, 박영무, Drake, S., 허영식, 유제순, 파주: 교육과학사, , 2009

      9. 수행평가와 채점기준표 개발, 박정, 반재천, 김선, 대전: AMEC, , 2017

      10. 중등 정보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김한일, 고영민, 김대영,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4), 33-43, , 2016

      1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중학교,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17

      12.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한문, 컴퓨터, 교육부, 환경(교육부 고시 제 1992-11 호), , 1992

      13.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21

      14. 역량함양을위한 교육과정 설계 (개정판), 이경진, 온정덕, 김경자, 서울: 교육아카데미, , 2019

      15. (중학교 각 교과별)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박경미, 왕석순, 천경록, 조미혜, 백순근, 차우규, 이선경, 박선미, 장기범, 이춘식, 박소영, 진경애, 서울: 원미사, , 1999

      16. (예비 현직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부재율, 김재춘, 양길석, 소경희, 파주: 교육과학사, , 2010

      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김광규, 김미경, 정연준, 이인화, 박종임, 김유향, 노은희, 장근주, 성경희, 김인숙, 연구자료 ORM, 12-12, , 2017

      18.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구성체계 및 학습목표 분석, 강오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1), 1-9, , 2019

      19. 수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15-74 호 [별책 8]),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15

      20. 중학교 교육 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7-15 호 [별책 3]), 교육부, 서울: 교육부(문교부), , 1997

      21.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14

      22. K-12 학생 및 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고찰, 김현철, 김수환, 김성훈, 이민정,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4), 1-11, , 2020

      23. 그래스볼과 블룸의 정의적 영역 학습목표 모형 비판, 김경순, 造形敎育, 0(36), 61-84, , 2010

      24. 초 중등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용어 조사 및 표기 제안, 김현철, 장연주, 장시준, 김한성, 최승윤, 장준형, 이재호, 김정남, 정광훈, 대구: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 , 2021

      25.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능 및 서비스 분석, 김현배, 심재권, 김수환, 김갑수, 서정연, 박다솜, 김현철, 이정서, 박천수, 김종범, 김영식, 전수진, 이재호, 송석리, 김홍래, 김재현, 손원성, 김한일, 김성훈, 박선주,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2), 25-37, , 2021

      26. 블룸 분류 기반 초중등 프로그래밍교육의 평가 기준 탐색, 신수범,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5), 547-555, , 2017

      27. 교육목표분류학: 교육목표의 분류 및 평가의 실제. 1, 지적영역, 임의도, 신세호, 고종열, Bloom, B. S., 서울: 교육과학사, , 1984

      2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 2015-74 호 [별책 1]),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15

      2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 2020-225 호 [별책 1]),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20

      30. 교육목표분류학: 교육목표의 분류 및 평가의 실제. 2, 정의적영역, Masia, B. B., 임의도, Krathwohl, D. R., Bloom, B. S., 정범모, 서울: 교육과학사, , 1981

      31. 실과(기술 가정)/정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15

      32. 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활용과정모형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이병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107-126, , 2010

      33. 실과(기술 가정)/정보과 교육과 정(교육부 고시 제 2020-236 호 [별책 10]),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20

      34. 중학교 재량활동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7-15 호 [별책 16]), 교육부, 서울: 교육부, , 1997

      35.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부분 개정에 따른)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증보편, 교육부, [세종]: 교육부, , 2014

      36. 역량기반 교육목표 개발과 분석을 위한 Hauenstein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재조명, 임유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구, 17(21), 771-797, , 2017

      37.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 변천과 양상 분석 - 제 6 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윤혜진, 조정원, 敎員敎育, 37(1), 245-264, , 2021

      38.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교육부, 서울: 교육부, , 1999

      39. 정보과 수업 설계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이해와 교육목표분류학의 6 단계 비교 분석, 이원규, 김자미,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3), 25-35, , 2019

      40. Anderson 과 Fuller 의 교육목표 분류법을 이용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 목표 분석, 최현종,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19(9), 185-196, , 2014

      41. Anderson 의 교육목표분류법을 이용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 최현종,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1), 51-63, , 2014

      4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실과 기술의 세계 분야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고인규, 진의남, 實科敎育硏究, 23(1), 19-34, , 2017

      43. 한국, 미국, 영국 정보과 교육과정에의 연계성 비교 분석: 자료와 정보, 정보문화 영역 중심으로, 윤혜진, 조정원, 교육연구, 75(-), 91-117, , 2019

      44. 예비교사의 SW 교육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국내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이소율, 충청북도, , 2020

      45. 컴퓨터 교과 교육 2 : 2007 년 개정된 교육과정의 중학교 정보 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중학교를 중심으로, 최재혁, 홍지영, 정재열,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3(2), 77-82, ,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