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합적인 시각에서 근대 종교지형을 분석하였다. 즉 한국 근대종교지형의 구조적 변동 및 그 결과로 나타난 근대 종교문화의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593896
-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적인 시각에서 근대 종교지형을 분석하였다. 즉 한국 근대종교지형의 구조적 변동 및 그 결과로 나타난 근대 종교문화의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는 종합적인 시각에서 근대 종교지형을 분석하였다. 즉 한국 근대종교지형의 구조적 변동 및 그 결과로 나타난 근대 종교문화의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religious terrain in modern Korea by synthesis view. It meaned that we studied changing of religious structure in religious terrain in modern Korea and modern religious culture.
In this study we analyzed religious terrain in modern Korea by synthesis view. It meaned that we studied changing of religious structure in religious terrain in modern Korea and modern religious culture.
국문 초록 (Abstract)
Ⅰ. 연구 개요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Ⅱ. 연구 진행 과정 1. 개인별 연구성과물 2. 심포지엄(학술발표회) 개최 3. 개항기 신문 자료 분...
Ⅰ. 연구 개요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Ⅱ. 연구 진행 과정
1. 개인별 연구성과물
2. 심포지엄(학술발표회) 개최
3. 개항기 신문 자료 분석
4. 현지 답사
5. web-site 운영
Ⅲ. 연구 수행 결과
1. 제1주제 : 한국 사회의 근대성 형성과 종교담론
1) 연구 개요
2) 대한제국기 ‘황실’ 만들기와 始祖墓 건립(이욱)
3) 대한제국기 명시력(明時曆)의 시간관(임현수)
4) 최남선의 신화론(하정현)
5) 천주교 선교사들의 일제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윤용복)
6) 이능화의 한국불교사 서술방법과 그 의의(송현주)
7) 이능화의 한국종교사학론 재검토와 역사종교학적 방법론 소고(김일권)
2. 제2주제 : 근대종교의 탄생
1) 연구 개요
2) 근대 한국 신종교의 민족 개념 Ⅱ(강돈구)
3) 근대 韓國禪의 부흥과 鏡虛(1846-1912) (강은애)
4) 근대 유교의 檀君 國祖論 연구(박미라)
5) 천도교 개신 초기의 교단개혁운동(고건호)
3. 제3주제 : 근대 종교지형의 형성
1) 연구 개요
2) 1920-30년대 신여성과 종교(김윤성)
3) 1934년 조선총독부의 「의례준칙」의 발령과 풍속교화 정책(주영하)
4) “종교”와 유교의 관계에 대한 담론 변화(임부연)
5) 한국 근대 개신교의 과학 담론(이진구)
6) 일제시기 한국 민간신앙 연구 담론 분석(이용범)
7) ‘종교와 근대성’ 연구의 성과와 과제(조현범)
Ⅳ. 총괄 평가
1. 연구성과의 독창성
1) 한국종교사의 시각
2) 종교에 대한 통합적 이해
3) 종교지형에 대한 연구
2. 연구성과 내용의 정합성
3. 연구 수행 과정 및 연구 결과
4. 연구 수행 결과의 활용
1) 학문적인 활용
2) 사회적인 활용
3) 인력 양성
4) 교육적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