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융모막성에 따른 쌍태아 체중 불일치의 주산기 예후 = Perinatal outcomes of birth weight discordance according to the chorioni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44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융모막성에 따라 쌍태아간 체중불일치와 주산기 예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2007년 동안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에서 분만한 쌍태아를 대상으로 후...

      목적: 본 연구는 융모막성에 따라 쌍태아간 체중불일치와 주산기 예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2007년 동안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에서 분만한 쌍태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체중불일치는 체중이 큰 신생아를 기준으로 20% 이상 차이가 있는 경우이며 체중일치는 20% 이하의 차이가 있는 경우로 정의하여 단일융 모막성 및 이중융모막성 쌍태아에서 체중불일치군과 체중일치군 간의 주산기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38명의 단일융모막성 쌍태아에서 34.2%는 체중불일치였고 66.8%는 체중일치를 보였으며 144명의 이중융모막성 쌍태아에서 9.9%의 체중불일치와 91.9%의 체중일치를 보였다. 단일융모막성 쌍태아의 체중불일치군과 체중일치군을 비교한 결과 자궁내태아사망, 쌍태아간 수혈증후군, 자궁내발육저하 및 신생아 저혈당증의 발생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중융모막성 쌍태아에서는 자궁내발육저하와 저혈당증의 발생이 체중불일치군에서 증가하였다. 기타 주산기 결과는 두 융모막성쌍태아의 각각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단일융모막성 쌍태아의 체중불일치는 태아 사망, 쌍태아간수혈증후군, 자궁내태아발육부전 및 신생아 저혈당의 발생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중융모막성 쌍태아의 체중 불일치는 자궁내태아발육부전 및 신생아 저혈당의 발생 가능성이 높지만, 불량한 주산기 결과를 단정적으로 예측하기에는 미흡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trapair birth weight discordance and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the chorionicity. Methods: Twin births in St. Vincent`s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for th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trapair birth weight discordance and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the chorionicity. Methods: Twin births in St. Vincent`s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for the period 2000~2007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Discordance was defined as an intertwin birth weight difference ≥20% and concordance was defined as weight difference <20% calculated from the larger newborn.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discordant and concordant pairs in monochorio-diamnionic and dichorionic twins. Results: Among 38 monochorionic twin births, 34.2% was discordant and 66.8% was concordant. Among 144 dichorionic twin birth, 9.9% was discordant and 91.9% was concordant. The incidences of intrauterine fetal death (FDIU), twin-to-twin transfusion syndrome (TTTS),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 and neonatal hypoglycemia of discordant group of monochorionic twins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cordant group of monochorionic twins. The incidences of IUGR and neonatal hypoglycemia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in the discordant group of dichorionic twins compared with concordant group of dichorionic twins. The others were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in the both chorionic twins. Conclusions: Birth weight discordance in monochorionicity seems to predict fetal death, TTTS, IUGR and newborn hypoglycemia. Birth weight discordance in dichorionicity does not seem to be good predictor of adverse perinatal outcomes except IUGR and neonatal hypoglycem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은, "출생시 쌍태아간의 체중 차이에 따른 예후 비교" 대한산부인과학회 46 (46): 1-1, 2003

      2 이희종, "출생 체중 불일치를 보이는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 대한산부인과학회 44 (44): 466-471, 2001

      3 Fick AL, "Unequal placental sharing and birth weight discordance in monochorionic diamniotic Twins" 195 : 178-183, 2006

      4 Eberle AM, "Placental pathology in discordant twins" 169 : 931-935, 1993

      5 Victoria A, "Perinatal outcome, placental pathology, and severity of discordance in monochorionic and dichorionic twins" 97 : 310-315, 2001

      6 Luo YM, "Perinatal outcome of discordant twin pregnancies" 40 : 449-452, 2005

      7 Cohen SB, "Outcome of twin pregnancies with extreme weight discordancy" 18 : 427-432, 2001

      8 Smiljan Severinski N, "Neonatal outcome in discordant utrophic twins: Twin growth" 86 : 16-21, 2004

      9 Appleton C, "Near term Twin pregnancy: Clinical relevance of weight discordance at birth" 35 : 62-66, 2007

      10 Sonntag J, "Morbidity and mortality of discordant twins up to 34 Weeks of gestational age" 155 : 224-229, 1996

      1 임지은, "출생시 쌍태아간의 체중 차이에 따른 예후 비교" 대한산부인과학회 46 (46): 1-1, 2003

      2 이희종, "출생 체중 불일치를 보이는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 대한산부인과학회 44 (44): 466-471, 2001

      3 Fick AL, "Unequal placental sharing and birth weight discordance in monochorionic diamniotic Twins" 195 : 178-183, 2006

      4 Eberle AM, "Placental pathology in discordant twins" 169 : 931-935, 1993

      5 Victoria A, "Perinatal outcome, placental pathology, and severity of discordance in monochorionic and dichorionic twins" 97 : 310-315, 2001

      6 Luo YM, "Perinatal outcome of discordant twin pregnancies" 40 : 449-452, 2005

      7 Cohen SB, "Outcome of twin pregnancies with extreme weight discordancy" 18 : 427-432, 2001

      8 Smiljan Severinski N, "Neonatal outcome in discordant utrophic twins: Twin growth" 86 : 16-21, 2004

      9 Appleton C, "Near term Twin pregnancy: Clinical relevance of weight discordance at birth" 35 : 62-66, 2007

      10 Sonntag J, "Morbidity and mortality of discordant twins up to 34 Weeks of gestational age" 155 : 224-229, 1996

      11 Amaru RC, "Is discordant growth in twin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dverse neonatal outcome?" 103 : 71-76, 2004

      12 Hack KE, "Increased peri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in monochorionic versus dichorionic twin pregnancies: Clinical implications of a large Dutch Cohort study" 115 : 58-67, 2008

      13 Wenstrom KD, "Frequency, distribution, and theoretical mechanisms of hematologic and weight Discordance in monochorionic Twins" 80 : 257-261, 1992

      14 Hong JS, "Fetal growth and neonatal mortality in Korea" 21 : 397-410, 2007

      15 Wen SW, "Fetal and neonatal mortality among twin gestations in a Canadian population: The effect of intrapair birthweight discordance" 22 : 279-286, 2005

      16 Kilic M, "Dose birth weight discordance in preterm twins affect neonatal outcome?" 26 : 268-272, 2006

      17 Bagchi S, "Birth Weight discordance in multiple gestations: Occurrence and outcomes" 26 : 291-296,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산부인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CI등재
      2010-06-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 대한산부인과학회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ocei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CI등재후보
      2005-03-22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4 0.04 0.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6 0.25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