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달성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역사적인 변천과정과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about Maintenance and Utilization of Dal-Seong - Focusing on historical transition and situational analysi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93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주요 도시는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가지고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 중 일부는 개화기와 일제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도시의 발전 방향이 전통...

      우리나라의 주요 도시는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가지고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 중 일부는 개화기와 일제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도시의 발전 방향이 전통적인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왜곡되어 발전되어 왔고 특히 60년대 이후부터는 경제적인 원리가 더 중요시 되어 도시의 역사적 환경은 그다지 중요하게 고려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대구는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경상도 지역의 문화·행정·정치의 중심지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오랜 역사 도시로 발전하여 왔고, 전쟁 속에서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피해가 크지 않아 적지 않은 역사적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구만이 가지는 역사적 도시로서의 독특한 개성을 찾아보기가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의 역사적 공간 중에 특히 달성은 선사시대부터 방어에 유리한 자연 구릉지를 바탕으로 토성이 축조된 이후 대구의 대표적 공간으로 자리잡아 왔다. 고려 중엽 서(徐)씨 세거지로 전환된 시기를 제외하고는 조선말 까지는 원래 초기 달성의 성립의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공간으로 사용, 즉 구릉지라는 환경적 입지조건을 실증적 입장에서 활요한 군사 방어적인 시설이나 행정 중심지로 이용되었다고 보여 진다.
      그리고 달성은 정유재란 시 내부의 감영 공간 소실과 읍성이 대구의 중추적인 시설로 부각되는 계기를 통하여 이후부터는 군사적 방어 시설이나 행정시설 등 실증적 입장을 고려한 공간에 대한 요구가 줄어들었다고 보이며 이전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상징적인 공간으로서 그 존재성을 약하게 이어졌다고 판단되어진다.
      이러한 상징적인 공간의 존재성은 일본헌병대가 주둔하면서 본래의 실증적인 공간으로 잠시 복귀다가 이후 공원과 신사가 들어오면서 표면적으로 상징적인 공간과 실증적인 공간을 동시에 수용하는 공간으로 근대 말까지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달성은 대구 도시 형성 과정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대구의 오랜 대표적 공간으로서 자리 잡고 있으나 이를 잘 보존·활용하고 있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대구 도시 속에서 존재하는 역사적인 공간에 대한 가치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물리적인 환경 개선의 어려움으로 적극적인 보존·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 할 수 있다.
      달성과 달성 주변지역의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바로 다행히 아직까지 달성을 보존 활용하기 위한 긍정적인 요소들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구를 정체성을 가지는 도시로 정비하기 위한 지방 자치단체나 시민단체의 관심과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이를 잘 활용하여 달성을 지난 시대의 역사적 산물로서의 공간 보존에 그칠 것이 아니라 현재 활용되고 있는 공원의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앞으로도 대구의 역사를 답을 수 있고 대구를 상징할 수 있는 역사적 공간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jor cities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ir own identific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of long history. However, some of these cities has gone under distorted development process not considering traditional direction while going through enligh...

      Major cities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ir own identific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of long history. However, some of these cities has gone under distorted development process not considering traditional direction while going through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age. Particularly, economical principles became to have more importance since 1960s, so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city started to go out of consideration.
      Daegu has been an important historical city operating its rule as a center of culture, administration, politics n Kyeong-sang do area from the era of the Three States to Chosun Dynasty. It also has relatively diverse historical places since their have not experienced severe damages despite the wars.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unique characteristics in Daegu as a historical city nowadays.
      Among these historical places in Daegu, Dal-se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ce based on mud castle on hill areas advantageous for defense since prehistoric age. Except for the times of being a residence of 'Seo‘ in Middle Goryeo, Dal-Seong was used as a place not so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stablishment purpose. It was used as a military defense or administrative facility utilizing environmental requirement of hill areas.
      And Dal-Seong was not required to have a practical position such as military defense or administrative facility after Jeong-yu Jaeran, just remained as a symbolic place based on former history.
      The existence of this symbolic place became an originally practical place while Japanese military police was stationed. After the parks and shrines were built in the place, Dal-Seong became the location simultaneously accepting symbolic and practical concepts until the modern times.
      So Dal-Se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ce in Daegu for a long time after doing a major role in formation of Daegu city. But its maintenance and utilization is not so actively done.
      This is because we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value of historical place existing in Daegu while having difficulties in the active maintenance and utilization with the hardness of improvement in physical environment.
      We found that there is still a positive factors to maintain and utilize Dal-Seong after situational analysis and surveys of Dal-Seong and near units. Also, efforts and concerns of civic groups or local government have been started to make Daegu as a city with its own identity. Not only considering Dal-Seong with a spatial maintenance as a historical remains of old ages, we should develop it as a symbolic place of Daegu while satisfying functions of currently utilized pa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1
      • 1. 연구 배경 = 1
      •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3
      • 3. 연구 범위 및 방법 = 5
      • Ⅱ 달성의 역사적 고찰 = 7
      • Ⅰ서론 = 1
      • 1. 연구 배경 = 1
      •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3
      • 3. 연구 범위 및 방법 = 5
      • Ⅱ 달성의 역사적 고찰 = 7
      • 1. 대구 달성의 역사적 의의 = 7
      • 1) 달성의 성립 = 7
      • 2) 달성의 공간변화와 역사적 의의 = 10
      • 3) 조선 말 이후 공원화가 시작되기까지의 달성 = 13
      • 4) 신사 성립 후 달성의 변화과정 = 15
      • 2. 근대 이후 달성의 배치 변화 분석 = 17
      • 1) 1910년대 달성 내부 제시설물의 공간구성 = 18
      • 2) 1930년대 달성 내부 제시설물의 공간구성 = 22
      • 3) 1940부터 해방 전의 달성 내부 제시설물의 공간구성 = 26
      • 4) 해방 후 신사건물 철거 전까지의 달성 내부 제시설물의 공간구성 = 28
      • Ⅲ 역사공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 31
      • 1. 도시 속 역사공원 = 32
      • 1) 도시공원의 개념 = 33
      • 2) 도시공원의 종류 및 기능 = 35
      • 3) 역사 공원의 개념 및 유형 = 38
      • 2. 사적지 관련법 = 39
      • 1) 사적 문화재 지정기준 = 40
      • 2) 사적 지정 행정 절차 = 42
      • 3) 세제 우대 제도 = 43
      • 4) 기타 관련법 = 44
      • 3.역사공원 사례 = 45
      • 1) 청계천 = 45
      • 2) 풍납토성 = 50
      • 3) 브라이언트 파크 (Bryant Park) = 58
      • 4) 센트럴 파크 (Central Park) = 61
      • Ⅳ. 달성 주변 현황 분석 = 64
      • 1. 현황조사 분석 = 64
      • 1) 달성 주변 도로 변화 = 64
      • 2) 달성 주변 대지 이용 변화 = 67
      • 3) 현재 달성 주변 지역 주거지 분석 = 68
      • 4) 현재 달성 주변 지역 상업 및 주상복합 지역 분석 = 71
      • 5) 달성 주변 건물 재료 현황 분석 = 74
      • 6) 달성 주변 건물 층수 현황 분석 = 75
      • 2. 달성과 관련한 현지조사 및 설문조사 = 77
      • 1) 달성 이용자 수(數)에 대한 관찰조사 = 77
      • 2) 달성 이용자 설문조사 분석 = 81
      • 3) 달성 주변지역 주민 설문조사 분석 = 89
      • 4) 대구 시민 설문조사 분석 = 96
      • Ⅴ.달성 보존 활용 방향 제시 = 100
      • 1. 달성의 공간 이미지의 보존 활용 = 101
      • 2. 달성의 물리적 공간의 보존 활용 = 102
      • 1) 토성정비 = 102
      • 2) 달성 내부 정비 = 105
      • 3. 달성 주변환경 정비 = 108
      • Ⅵ.결론 = 111
      • 참고문헌 = 113
      • Abstract = 115
      • 부록 =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