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소셜미디어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문헌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04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political participation, utilizing an analytic meta analysis of 49 independent studies published in major academic journals in Korea over the five year period 2010 to 2015. The method of meta analysis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political participation, utilizing an analytic meta analysis of 49 independent studies published in major academic journals in Korea over the five year period 2010 to 2015. The method of meta analysis is used to explain the size of effect between social media us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use of social media effects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lso, the pattern of social media use influences political participation related other variables. Especially, this results show that the credibility of social media and network homogeneity was medium effect.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meta-analytic review,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detai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소연,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형성하는 사회자본 유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91-232, 2012

      2 민정식, "트위터(Twitter) 이용과 정치 참여 : 트위터 이용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274-303, 2012

      3 나은영, "트위터 이용자의 온라인 자기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위협감소 요인과 이익기대 요인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7 (57): 124-148, 2013

      4 문원기, "정치정보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이 정치조직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적 소셜미디어 이용과 정치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8 (58): 145-172, 2014

      5 이재신, "정치정보 습득, 관여도, 정치적 불만과정치참여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53 (53): 183-205, 2009

      6 조정인, "정치적 아웃사이더들의 역습?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 활성화가 참여 불평등에 끼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1 (11): 39-66, 2012

      7 정일권, "정치적 소통과 SNS" 나남 107-132, 2012

      8 윤은주, "정치와 비-정치의 경계" 한국철학회 100 (100): 75-93, 2009

      9 김경희, "일상의 정치(politics of everyday life)를 통한 여성의 임파워먼트" 한국여성심리학회 9 (9): 163-179, 2004

      10 황용석, "인터넷 이용과 정치참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16대 총선 기간 동안 인터넷 정치사이트 이용을 중심으로" 45 (45): 421-456, 2001

      1 신소연,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형성하는 사회자본 유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91-232, 2012

      2 민정식, "트위터(Twitter) 이용과 정치 참여 : 트위터 이용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274-303, 2012

      3 나은영, "트위터 이용자의 온라인 자기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위협감소 요인과 이익기대 요인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7 (57): 124-148, 2013

      4 문원기, "정치정보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이 정치조직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적 소셜미디어 이용과 정치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8 (58): 145-172, 2014

      5 이재신, "정치정보 습득, 관여도, 정치적 불만과정치참여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53 (53): 183-205, 2009

      6 조정인, "정치적 아웃사이더들의 역습?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 활성화가 참여 불평등에 끼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1 (11): 39-66, 2012

      7 정일권, "정치적 소통과 SNS" 나남 107-132, 2012

      8 윤은주, "정치와 비-정치의 경계" 한국철학회 100 (100): 75-93, 2009

      9 김경희, "일상의 정치(politics of everyday life)를 통한 여성의 임파워먼트" 한국여성심리학회 9 (9): 163-179, 2004

      10 황용석, "인터넷 이용과 정치참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16대 총선 기간 동안 인터넷 정치사이트 이용을 중심으로" 45 (45): 421-456, 2001

      11 김성태, "웹(Web)기술 발전단계별 이용자의 정치참여 행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103-137, 2011

      12 이소영, "웹 2.0 시대 온라인 미디어의 정치적 역할 : 대학생 유권자의 정치행태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4 (24): 89-116, 2012

      13 류정호, "온라인자본과 정치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4 (54): 5-26, 2010

      14 박영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숙의, 그리고 정치참여" 극동문제연구소 28 (28): 61-92, 2012

      15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16 이원태,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SNS 이용과 정책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2012

      17 이수범,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이 유권자들의 정치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PR학회 16 (16): 78-111, 2012

      18 이병혜, "소셜미디어의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집단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0) : 319-353, 2013

      19 이상신, "소셜미디어와 숙의민주주의의 가능성"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4 (24): 169-220, 2015

      20 정승화, "소셜미디어 연구동향 분석: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21 (21): 87-124, 2014

      21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 간의 이용동기와 만족 비교"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5-32, 2013

      22 이동훈, "소셜 미디어 관련 온라인 선거 공론장 규제체계 비교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55 (55): 74-99, 2011

      23 윤성이,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과 민주주의 의식의 변화"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45-168, 2012

      24 조화순, "소셜 네트워크 시대의 정치참여와 민주주의의 미래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한정치학회 19 (19): 23-48, 2012

      25 송경재, "소셜 네트워크 세대의 정치참여" 극동문제연구소 27 (27): 57-88, 2011

      26 송경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는 참여적인가?: 미국의 정치참여 유형과 SNS" 극동문제연구소 30 (30): 59-94, 2014

      27 탁진영, "부정적 정치광고가 정치 체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분석을 이용한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5 (15): 73-98, 2004

      28 김유정, "미디어 영역에서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19 (19): 3-26, 2012

      29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30 서미옥,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안" 한국교육학회 49 (49): 1-23, 2011

      31 이준영, "메타분석" 대한내분비학회 23 (23): 361-378, 2008

      32 정희정, "대학생의 복지의식과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이 사회 및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7 (17): 153-172, 2012

      33 정낙원,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의 정치 참여 효과 메커니즘 분석: ‘친구들’을 통한 정보습득과 규범 인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73-294, 2013

      34 손영곤, "국내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35 손영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인지적 행동 모델의 유용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회 56 (56): 127-161, 2012

      36 Duval, S. J., "Trim and fill :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56 : 455-463, 2000

      37 Rosenthal, R., "The"file drawer problem"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86 : 638-641, 1979

      38 Easton, D., "The political system: An inquiry into the state of political science" Alfred Knopf 1953

      39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10-230, 2007

      40 Bouliannea, S., "Social media use and participation: A meta-analysis of current research" 18 (18): 524-538, 2015

      41 최정화, "SNS이용이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7) : 369-408, 2012

      42 이명진, "SNS에 관한 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쟁점" 한국정보화진흥원 19 (19): 3-20, 2012

      43 장덕현, "SNS를 활용한 정치 캠페인의 전략적 효과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4 (14): 113-132, 2013

      44 김은이, "SNS, 사회자본 네트워크 유형, 그리고 정치참여: SNS(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9 (39): 175-200, 2015

      45 김은이, "SNS(트위터・페이스북)가 시민・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한・미 비교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7) : 81-113, 2015

      46 김윤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KISDI STAT REPORT)"

      47 윤성이, "SNS 정치참여 연구 동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 (20): 3-19, 2013

      48 송효진, "SNS 정보서비스의 질, 정치 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 촉진" 한국정당학회 12 (12): 175-216, 2013

      49 박원준, "SNS 이용동기 수준에 따른 정보교류, 네트워크 밀도, 정보신뢰성, 유대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9 (9): 657-664, 2014

      50 이강, "SERVQUAL 모형의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서울행정학회 15 (15): 449-470, 2004

      51 Glass, G. V.,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5 : 3-8, 1976

      52 Milbrath, L. W., "Political participation" Rand McNally 1977

      53 Baym, N. K., "Personal connections in the digital age" Polity 2010

      54 Verba, S., "Participation in america" Harper & Row 1972

      55 Huntington, S. P., "No easy choice: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3" Harvard University Press 1976

      56 Rogers, E., "Methodology for meta-research" 1981

      57 Wallace, F. M., "Meta-analysis: Qual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Sage 1992

      58 Higgins, J.,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327 (327): 557-560, 2003

      59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2009

      60 Tapscott, Don., "Grown up digital: How the nex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McGraw-Hill 2008

      61 Norris, P., "Democratic phoenix: Reinventing political activ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2 Ester, P., "Debating civil society: On the fear for civic decline and hope for the internet alternative" 18 (18): 659-680,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7 2.11 2.77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