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글을 쓸 때 가장 어려워하는 것들 중의 하나가 띄어쓰기일 것이다. 또한 글을 쓰다가 띄어 써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망설인 경험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줄 안다. 그 원인은 띄어쓰기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00251
2007
-
KCI등재
학술저널
439-464(2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가 글을 쓸 때 가장 어려워하는 것들 중의 하나가 띄어쓰기일 것이다. 또한 글을 쓰다가 띄어 써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망설인 경험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줄 안다. 그 원인은 띄어쓰기의 ...
우리가 글을 쓸 때 가장 어려워하는 것들 중의 하나가 띄어쓰기일 것이다. 또한 글을 쓰다가 띄어 써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망설인 경험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줄 안다. 그 원인은 띄어쓰기의 기본 원리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탓도 있지만 자신들의 단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오늘날 대중 매체 등에서는 각기 다른 체계의 띄어쓰기로 국어 사용자의 식견을 어렵게 하는 폐단이 많아서 국어 사용자들에게 많은 악영향을 주고 있다.띄어쓰기는 한글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규정에 따르면 된다. 그러나 10개 항의 띄어쓰기 규정으로는 띄어쓰기에 관련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국어사전을 참고하여도 띄어쓰기가 온전하지 못한 경우가 있는데, 이는 국어사전 자체가 아직도 완벽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본고는 한글맞춤법 제5장에 관한 규정을 제1절 조사,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열거하는 말 등, 제3절 보조 용언,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용어 등과 그 밖의 것을 대상으로 띄어쓰기에 있어서 가장 많은 오류를 범하는 부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띄어쓰기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ive of the Ttui-eosseugi
The Effective of the Ttui-eosseugi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수, "현대국어문법론"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6
2 이주행, "현대국어 문법론"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2
3 김혜숙, "현대 국어의 대우법체계연구: 설문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동국대 대학원 1987
4 조영희, "한글맞춤법띄어쓰기 방법" 신아출판사 1992
5 안병희, "한글맞춤법의 역사" 국어연구소 13 : 1988
6 이희승, "한글맞춤법강의" 신구문화사 1994
7 박영준,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2000
8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7
9 문금현, "한국어 다의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어교육학회 (71) : 67-90, 2005
10 국립국어연구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연구원 1995
1 서정수, "현대국어문법론"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6
2 이주행, "현대국어 문법론"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2
3 김혜숙, "현대 국어의 대우법체계연구: 설문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동국대 대학원 1987
4 조영희, "한글맞춤법띄어쓰기 방법" 신아출판사 1992
5 안병희, "한글맞춤법의 역사" 국어연구소 13 : 1988
6 이희승, "한글맞춤법강의" 신구문화사 1994
7 박영준,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2000
8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7
9 문금현, "한국어 다의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어교육학회 (71) : 67-90, 2005
10 국립국어연구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연구원 1995
11 리의도, "표준어규정과 한글맞춤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서경대 국어국문학과 16 : 1994
12 김진식, "청원군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후부요소를 중심으로" 중원언어학회 4 : 2000
13 남영신, "우리말 맞춤법표준어사전" 한강문화사 1990
14 이은정, "어문 규정에 따라 정리한 띄어쓰기 용례 및 해설집" 백산출판사 1993
15 이성연, "신문광고 언어 텍스트의 텍스트성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71) : 455-482, 2005
16 서재원, "바로 쓰는 우리말 아름다운 우리말" 한길사 1992
17 박덕유, "문법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2005
18 김혜숙, "대학생 모듬의 말글살이 특성" 한국국어교육학회 53 : 1996
19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1
20 이광호, "국어정서법"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부 1994
21 이관규, "국어교육을 위한 국어문법론" 집문당 2005
22 강희숙, "국어 정서법의 이해" 역락 2003
23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1999
24 신창순, "국어 정서법 연구" 집문당 1992
25 김봉모, "국어 정서법" 세종출판사 1993
26 우형식, "국어 정서법" 부산외국어대 출판부 1997
27 손세모돌, "국어 보조용언에 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 1993
28 이상구, "구성주의적 독서교육 방안 탐색 -급진적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0) : 101-145, 2005
재 말레이시아 한국 학생들의 국어 학습 인식 조사- 말레이시아 한국인 학교(토요 학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 ![]() |
2013-12-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1.479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