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경건, "핵심 개념으로 비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융합과학」"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81-992, 2017
2 구자억, "학점제 도입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형 과학 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 틀 설계"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4 김희백, "최근 과학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쟁점 및 향후 과제:2007년, 2009년 개정을 중심으로" 77 : 113-132, 2011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이광우,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7 이양락,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 26 (26): 759-770, 2005
8 임수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2009 개정 생명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3 (43): 84-96, 2015
9 최정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21-447, 2019
10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 이경건, "핵심 개념으로 비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융합과학」"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81-992, 2017
2 구자억, "학점제 도입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형 과학 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 틀 설계"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4 김희백, "최근 과학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쟁점 및 향후 과제:2007년, 2009년 개정을 중심으로" 77 : 113-132, 2011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이광우,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7 이양락,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 26 (26): 759-770, 2005
8 임수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2009 개정 생명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3 (43): 84-96, 2015
9 최정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21-447, 2019
10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1 허경철, "교육과정에서 내용이란 요소의 의미" 3-22, 2006
12 권점례,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수학, 과학,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3 김지현,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국제 비교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215-223, 2017
14 이효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 달과 암석의 순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677-689, 2015
15 이범홍,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6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17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18 강현석, "고교학점제 이해와 안착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8
19 한혜정,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조 관련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53-81, 2019
20 박형용, "개념 관계망 분석을 통한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생명 영역의 핵심 주제 및 연계성 분석" 서울대학교 2016
21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ASCD 2005
22 백영민, "R을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한울엠플러스 2017
23 NGSS Lead State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4 Drake SM,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 National Academy Press 2012
26 교육부, "2019년,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추진 동력을 강화하다"
27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과학과 교육과정"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8 정혜승,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심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29-50, 2016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정책연구진 4차 합동 워크숍 자료집" 2015
30 이경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한 ‘핵심 개념’의 의미 변화 과정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30, 2017
31 임유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검토: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37-460, 2015
32 하민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 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495-504, 2018
33 이윤아,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지권) 영역에 대한 종적 연계성 분석과 미국 차세대과학기준과의 비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701-724, 2016
34 신영옥, "2009 개정 고등학교‘과학’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599-161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