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구과학 고등학교 선택과목 재구조화:고체지구영역을 중심으로 = Reconstruction of Earth Science High School Selective Courses: Centered on the Solid Earth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0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velop selective courses in general high school earth science in preparation for revis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next curriculum. It is based on the reorganization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and selective courses into solid earth science, fluid earth science, and astrophysical earth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restructure the contents of solid earth science subjects based on their core concepts. To this en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US Next Generation Science Education Standard (NGSS) and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content system of solid earth science subjects was restructured based on text mining data on the achievement criteria of Earth Science I / Earth Science II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key concep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NGSS subjects. Also,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the core conceptual knowledge pyramid in the area of ​​solid earth science was constructed by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using the R program for key concepts and achievement criteria. In the area of ​​solid earth sciences, 'Earth System and Force Field', 'Earth History', 'Tectonics', and 'Earth Components' are among the six concepts at the center of the language network. After revising 'to' Earth ', we rearranged the unit and proposed the composition of contents for the next revis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a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velop selective courses in general high school earth science in preparation for revis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next curriculum. It is based on the reorganization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and selectiv...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velop selective courses in general high school earth science in preparation for revis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next curriculum. It is based on the reorganization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and selective courses into solid earth science, fluid earth science, and astrophysical earth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restructure the contents of solid earth science subjects based on their core concepts. To this en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US Next Generation Science Education Standard (NGSS) and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content system of solid earth science subjects was restructured based on text mining data on the achievement criteria of Earth Science I / Earth Science II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key concep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NGSS subjects. Also,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the core conceptual knowledge pyramid in the area of ​​solid earth science was constructed by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using the R program for key concepts and achievement criteria. In the area of ​​solid earth sciences, 'Earth System and Force Field', 'Earth History', 'Tectonics', and 'Earth Components' are among the six concepts at the center of the language network. After revising 'to' Earth ', we rearranged the unit and proposed the composition of contents for the next revis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a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및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일반계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선택과목을 고체, 유체, 천체 지구과학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전제로 우선적으로 고체 지구과학 과목의 내용을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조화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미국의 차세대과학교육표준(NGSS)과 2015개정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으며, 2015개정교육과정의 지구과학Ⅰ/지구과학Ⅱ과목의 성취기준을 텍스트 마이닝 한 자료를 근거로 고체 지구과학 과목의 내용체계를 재구조화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개념과 NGSS의 과목별 핵심 아이디어를 비교분석하였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핵심개념과 성취기준에 대하여 R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빅 아이디어와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개념의 관계를 고찰한 후 고체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핵심개념 지식 피라미드를 구성하였다. 고체 지구과학 영역에서는 언어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는 여섯 가지 개념 중 ‘지구계와 역장’, ‘지구의 역사’, ‘판구조론’, ‘지구 구성 물질’ 네 가지를 교과 내 핵심개념으로 배치하였으며, 이 중 ‘지구계와 역장’을 ‘지구계’로 수정한 후 단원을 재배열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내용구성(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구과학과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및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일반계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선택과목을 고체, 유체, 천체 지구과학으로 재구...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및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일반계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선택과목을 고체, 유체, 천체 지구과학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전제로 우선적으로 고체 지구과학 과목의 내용을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조화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미국의 차세대과학교육표준(NGSS)과 2015개정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으며, 2015개정교육과정의 지구과학Ⅰ/지구과학Ⅱ과목의 성취기준을 텍스트 마이닝 한 자료를 근거로 고체 지구과학 과목의 내용체계를 재구조화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개념과 NGSS의 과목별 핵심 아이디어를 비교분석하였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핵심개념과 성취기준에 대하여 R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빅 아이디어와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개념의 관계를 고찰한 후 고체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핵심개념 지식 피라미드를 구성하였다. 고체 지구과학 영역에서는 언어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는 여섯 가지 개념 중 ‘지구계와 역장’, ‘지구의 역사’, ‘판구조론’, ‘지구 구성 물질’ 네 가지를 교과 내 핵심개념으로 배치하였으며, 이 중 ‘지구계와 역장’을 ‘지구계’로 수정한 후 단원을 재배열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내용구성(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구과학과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건, "핵심 개념으로 비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융합과학」"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81-992, 2017

      2 구자억, "학점제 도입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형 과학 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 틀 설계"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4 김희백, "최근 과학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쟁점 및 향후 과제:2007년, 2009년 개정을 중심으로" 77 : 113-132, 2011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이광우,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7 이양락,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 26 (26): 759-770, 2005

      8 임수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2009 개정 생명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3 (43): 84-96, 2015

      9 최정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21-447, 2019

      10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 이경건, "핵심 개념으로 비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융합과학」"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81-992, 2017

      2 구자억, "학점제 도입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형 과학 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 틀 설계"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4 김희백, "최근 과학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쟁점 및 향후 과제:2007년, 2009년 개정을 중심으로" 77 : 113-132, 2011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이광우,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7 이양락,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 26 (26): 759-770, 2005

      8 임수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2009 개정 생명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3 (43): 84-96, 2015

      9 최정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21-447, 2019

      10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1 허경철, "교육과정에서 내용이란 요소의 의미" 3-22, 2006

      12 권점례,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수학, 과학,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3 김지현,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국제 비교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215-223, 2017

      14 이효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 달과 암석의 순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677-689, 2015

      15 이범홍,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6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17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18 강현석, "고교학점제 이해와 안착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8

      19 한혜정,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조 관련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53-81, 2019

      20 박형용, "개념 관계망 분석을 통한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생명 영역의 핵심 주제 및 연계성 분석" 서울대학교 2016

      21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ASCD 2005

      22 백영민, "R을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한울엠플러스 2017

      23 NGSS Lead State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4 Drake SM,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 National Academy Press 2012

      26 교육부, "2019년,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추진 동력을 강화하다"

      27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과학과 교육과정"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8 정혜승,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심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29-50, 2016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정책연구진 4차 합동 워크숍 자료집" 2015

      30 이경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한 ‘핵심 개념’의 의미 변화 과정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30, 2017

      31 임유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검토: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37-460, 2015

      32 하민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 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495-504, 2018

      33 이윤아,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지권) 영역에 대한 종적 연계성 분석과 미국 차세대과학기준과의 비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701-724, 2016

      34 신영옥, "2009 개정 고등학교‘과학’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599-161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신규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8 0.64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