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18세기《팔의기(八義記)》공연본 연구-『철백구(綴白구)』본 절자희(折子戱)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ected acts of "Ba-Yi-ji" in Zui-bai-qiu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철백구』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

      본고에서는 『철백구』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을 엮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절자희 공연의 규범이 확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재자가인극才子佳人劇이 절대적인 수적 우위를 보이던 명청 극목 가운데서 정淨과 말末, 외外, 생生 등 남성적인 배역이 골고루 등장하여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절자희 공연을 통해 다양한 각색의 연기가 균형적 발전을 보이게 된다. 『철백구』본《팔의기》는 곤곡으로 연창되는 판본이다. 명 중엽 이후 곤곡 연창의 전승이 규범화되면서 여러 텍스트들이 비교적 일치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당시 최대의 통행본이었던 『육십종곡』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해서, 다른 성강에 비해 규범화된 곤곡도 시기적으로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출본으로서 절자희 공연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철백구』본의 경우, 고른 배역 운용과 생동감 있는 대사와 지문, 그리고 축의 골계 연기가 장엄한 비극을 장엄하지만은 않은 놀이로의 연극으로 만들어가는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rphan of Zhao family(Zhaoshi-Guer)`is one of the famous Chinese drama constant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from Yuan Dynasty to Qing Dynasty. The plot of the play in the transmitting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much, but added new characters ...

      `The Orphan of Zhao family(Zhaoshi-Guer)`is one of the famous Chinese drama constant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from Yuan Dynasty to Qing Dynasty. The plot of the play in the transmitting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much, but added new characters or episodes. The Kunqu, one of the Chinese drama styles was characterized by graceful music and refined literature, being very popular among the gentr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Zhaoshi-Guer` play in `chuanqi` style of the `The Sixty Plays` collection, is called `Ba-yi-ji`, which was sung in Kunqu崑曲 stage. Because `The Sixty Plays` collection was widely read throughout the late Ming and Qing Dynasty, the `The Sixty Plays` version became the model of Kunqu lineage example and so it was in the case of "Ba-yi-ji". In the end of the Ming, new performing type of drama that is called as Zhe-zi-xi(折子戱) was appeared. Zhe-zi-xi refers to make only some pieces, not the whole. With the new form of performance appeared many of the selected texts of plays have come out including `Zui-bai-qiu`.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ices of two Kunqu version, `The Sixty Plays` and Zui-bai-qiu`, I tried to observe the charisteristics of the Ba-Yi-ji performance of Qing dynasty. The latter succeded the former, but more performance oriented, such as using lively and easy word with the acting direction intensified and comic charact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恩英, "희곡과 소설 속의 "趙氏孤兒" 故事" 한국중국소설학회 23 (23): 2006

      2 오수경, "명대 이후 南戱의 변천에 관한 연구" 26 : 1996

      3 문성재, "趙氏孤兒大報仇" (창간) : 1993

      4 吳 敢, "趙氏孤兒 劇目硏究與中國古代戱曲選本"

      5 이상우, "趙氏孤兒 고사의 변천 고찰" 2 : 1994

      6 曾永義, "詩歌與戱曲"

      7 吳 敢, "綴白裘 敍考"

      8 玩花主人, "綴白裘" 臺灣學生書局, 民國76 5 : 1987

      9 張 敬, "明淸傳奇導論"

      10 王安祈, "明代戱曲五論" 臺北大安出版社 1990

      1 李恩英, "희곡과 소설 속의 "趙氏孤兒" 故事" 한국중국소설학회 23 (23): 2006

      2 오수경, "명대 이후 南戱의 변천에 관한 연구" 26 : 1996

      3 문성재, "趙氏孤兒大報仇" (창간) : 1993

      4 吳 敢, "趙氏孤兒 劇目硏究與中國古代戱曲選本"

      5 이상우, "趙氏孤兒 고사의 변천 고찰" 2 : 1994

      6 曾永義, "詩歌與戱曲"

      7 吳 敢, "綴白裘 敍考"

      8 玩花主人, "綴白裘" 臺灣學生書局, 民國76 5 : 1987

      9 張 敬, "明淸傳奇導論"

      10 王安祈, "明代戱曲五論" 臺北大安出版社 1990

      11 廖 奔, "折子戱的出現"

      12 吳 敢, "從趙氏孤兒劇目演变看戱剧改編"

      13 王國維, "宋元戱曲考"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8

      14 兪爲民, "宋元南戱考論"

      15 오수경, "宋元南戱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16 "善本戱曲總刊" 臺灣學生書局, 民國76 2 : 1987

      17 오수경, "善本戱曲叢刊 解題" 5 : 1997

      18 兪爲民, "南戱文本形態的特徵及其演變" 28 : 2007

      19 黃竹三, "八義記, in:六十種曲評注" 吉林人民出版社 2001

      20 柳珍姬, "元雜劇 趙氏孤兒大報仇 與明傳奇 八義記 硏究" 臺灣師範大學 1994

      21 吳麗娜, "元明清 趙氏孤兒 劇的文化結構"

      22 景李虎, "元代南戱 趙氏孤兒記 的重要價値及版本源流"

      23 張 庚, "中國戱曲通史" 中國戱劇出版社 1992

      24 朱崇志, "中國古代戱曲選本硏究" 上海古籍出版社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Research of Performance Art 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7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