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화와 그에 대한 조선, 중국, 일본의 대응 과정은 동아시아 삼국이 전통적 동아시아 국제질서인 朝貢 체제에서 어떻게 서구 萬國公法 체제로 편입되었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405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화와 그에 대한 조선, 중국, 일본의 대응 과정은 동아시아 삼국이 전통적 동아시아 국제질서인 朝貢 체제에서 어떻게 서구 萬國公法 체제로 편입되었는...
19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화와 그에 대한 조선, 중국, 일본의 대응 과정은 동아시아 삼국이 전통적 동아시아 국제질서인 朝貢 체제에서 어떻게 서구 萬國公法 체제로 편입되었는가를 보여준다. 이 과정은 조선을 가운데 두고 중국과 일본 그리고 서구제국과의 관계 속에 응축되어 나타났다. 특히 1876년 조선의 문호개방 이후 1894년 갑오농민전쟁에 이르는 시기 조선에 외압을 가한 국가는 중국과 일본이었지만, 그 중에서도 1882년 임오군변 이후 중국의 정치적, 군사적 외압이 보다 조선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 질곡으로 작용했다. 청일전쟁 이전 시기와 달리 청일전쟁 이후 시기 한중관계사 연구 성과는 많지 않다. 따라서 청말 한중관계사의 전체적인 상을 그리는데 여백이 존재할 밖에 없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중관계사에서 이용된 자료를 획기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가 대만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에서 공개되었다. 본 연구팀이 주목한 「淸季駐韓使館檔案」은 陳樹棠이 總辦朝鮮商務委員으로 부임한 1882년부터 1943년까지 주한 중국 외교사절 관련 1차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특히 기존 한중관계사의 중국 측 자료에는 보이지 않는 소송·상무·조사보고·僑務 안건이 전체 안건의 37%를 차지하고 있어, 청말 한중관계의 실상을 역동적이고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이다. 본 연구팀의 조사에 의하면 현재 대만은 물론이고 중국, 그리고 국내에서도 이를 이용한 연구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본 당안이 가지고 있는 엄청난 가치에도 불구하고 당안의 이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배경에는 우선, 당안의 정리 작업이 최근에 이루어졌고, 당안에 대한 정보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이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淸季駐韓使館檔案」은 訴訟, 人事, 商務, 任內往來, 中韓交涉, 修建工程, 護照·執照, 僑務, 禁令, 各國交涉, 稅務, 輪船招商, 煙賭, 條約, 學務, 軍事, 鑛務, 租界, 開埠, 邊界, 漁業, 기타 등 모두 28개 항목, 총 1,792冊의 안건을 포함하고 있다. 각 冊은 안건의 중요도나 남아있는 자료의 양에 따라 적게는 5쪽, 많게는 200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당안의 전체 분량은 93,239쪽에 달한다. 그러나 당안의 분류 체계에 의하면, 실제로 안건 아래 여러 문건들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건들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당안의 분류 체계에 의거하여 3년간 안건별 해제를 작성할 것이다. 연차별 계획은 시대상황과 외교사절의 변천, 그리고 안건을 정리하는 시간적 숙련도를 고려하여 연차별로 분량을 늘리는 방식을 채택했다. 제1년차에는 청일전쟁 이전(1882〜1894), 제2년차는 청일전쟁 이후(1895-1910), 제3년차에는 1911-1943년까지의 檔案을 해제할 것이다. 구체적 방법으로 먼저 총론과 안건별 총론을 종합적으로 서술할 것이다. 다음으로, 안건별 해제를 통해 안건의 기본정보(시기, 수발자, 총분량, 간단한 내용 소개)를 제시해 주고, 각 문건에 대한 상세목록을 작성하며, 안건의 내용 및 의미를 작성할 것이다. 세미나를 통해 해제를 수정, 보완함으로써 전체적인 통일성을 기할 것이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해제를 통해 한중관계사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충함으로써 주한 중국 외교사절의 역사적 계보 및 역할 규명과 한중관계사 연구를 심화 확대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