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장자철학의 체육적 함의 = Im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Zhaung Zi’s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29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장자철학의 체육적 함의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자’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체육적 함의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자철학에 나타난 이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자철학의 체육적 함의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자’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체육적 함의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자철학에 나타난 이상적 인간상은 遊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으로 지인, 신인, 진인이다. 장자철학을 통해서 체육이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은 지미지락의 체육과 승리, 기록, 결과를 초월하고 자유자재로 체육을 하는 사람이다. 장자의 체육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자유자재로 자연스럽게 잘노는 것을 지칭하는 遊에서 찾을 수 있다. 遊라는 것은 지극한 아름다움과 지극한 즐거움으로 표현되는 지미지락의 경지이다. 이러한 경지는 [잊고-즐김]이라고 할 수 있다. 승리, 기록, 결과를 [잊고-즐김]이 장자에서 찾을 수 있는 체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체육의 방법은 전일, 허심, 심재, 좌망 등의 인위적이지 않으며 자연과 조화로운 체육공부이다. 장자철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스승(교사)과 제자(학생)의 관계는 상호존중과 배려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체육교사는 학생(선수)에게 강요하지 않고 묻고, 스스로 자발적 학습(연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im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Zhaung Zi’s philosophy.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purpose, I analyzed the text of Zhaung Zi.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ed. Zhaung-Zi oriented ide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im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Zhaung Zi’s philosophy.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purpose, I analyzed the text of Zhaung Zi.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ed. Zhaung-Zi oriented ideal image of human beings who has attained the stage of play(遊). He is an acquaintance (至仁), a man of god(神人), a true man(眞人). The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in Zhuang-Zi is paly(遊) which play well naturally. ‘play is the gaming and play in which we can see the true face of the world and ourselves and can become on with the object in the world. Forget-enjoyment(至樂) of victory, records, and results are the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which can be found in Zhuang-Zi. The methods of physical education is the whole mind(專一), xixium(虛心), the feast of mind(心齋), forgetting everything(坐忘) etc. Physical education is to harmonious study with nature not artificially. The relation between teacher(coach) and student(player) is a relationship of mut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The teacher(player) have to find the potential ability of student and he can help student realize potential ability of th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재권, "老壯의 道와 몸 기술의 생성" 한국체육철학회 15 (15): 1-13, 2007

      2 박승현,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장자』 읽기" 한국중국학회 (64) : 461-479, 2011

      3 이학준, "장자의 허심과 스포츠 자세" 한국체육학회 46 (46): 25-32, 2007

      4 이학준, "장자의 지미지락과 스포츠의 지속적 성장" 한국체육학회 46 (46): 17-26, 2007

      5 이학준, "장자의 조화와 스포츠의 팀워크" 한국체육학회 47 (47): 87-95, 2008

      6 이동철, "장자: 고대 중국의 실존주의" 청계 1999

      7 김부찬, "장자(莊子)의 양생사상(養生思想)이 지닌 체육철학적 함의" 한국체육학회 45 (45): 21-28, 2006

      8 심의용, "장자 교양 강의" 돌베게 2011

      9 오강남, "장자" 현암사 1999

      10 조현규, "동양교육사상" 학지사 2009

      1 심재권, "老壯의 道와 몸 기술의 생성" 한국체육철학회 15 (15): 1-13, 2007

      2 박승현,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장자』 읽기" 한국중국학회 (64) : 461-479, 2011

      3 이학준, "장자의 허심과 스포츠 자세" 한국체육학회 46 (46): 25-32, 2007

      4 이학준, "장자의 지미지락과 스포츠의 지속적 성장" 한국체육학회 46 (46): 17-26, 2007

      5 이학준, "장자의 조화와 스포츠의 팀워크" 한국체육학회 47 (47): 87-95, 2008

      6 이동철, "장자: 고대 중국의 실존주의" 청계 1999

      7 김부찬, "장자(莊子)의 양생사상(養生思想)이 지닌 체육철학적 함의" 한국체육학회 45 (45): 21-28, 2006

      8 심의용, "장자 교양 강의" 돌베게 2011

      9 오강남, "장자" 현암사 1999

      10 조현규, "동양교육사상" 학지사 2009

      11 임병만, "도가의 체육사상과 양생술 연구" 원광대학교 출판부 2000

      12 조성균, "도가사상이 중국 전통체육 양생학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학회 45 (45): 1-12, 2006

      13 이강수, "노자와 장자 : 무위와 소요의 철학" 길 1997

      14 심재권, "莊子의 氣論과 스포츠 행위" 한국체육학회 47 (47): 29-38, 2008

      15 "莊子"

      16 Victor Mair, "Wandering on the way: Early Taoist Tales and Parables of Chuang Tzu" Bantam Books 1994

      17 Hans Lenk, "Epidemiological Issues in chines philosophy" Albany Suny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