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and Implication of Student Evaluation in 2015 Science Curriculum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NA) Method: Focused on the Connection with Process Centered Evalu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5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in wordcloud and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in igraph package for 475 key words derived from total 134 sentences of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presented in 2015 scien...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in wordcloud and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in igraph package for 475 key words derived from total 134 sentences of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presented in 2015 science curriculum by utilizing Text Network Analysis(TNA) method, and reviewed for the connection with process-centere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all the key words, the evaluation in science curriculum centered on ‘process’, focusing on evaluating ‘reports, observation, result, attitude, and writing’ under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experiment, activity, survey, observation, exploration, data, discussion’, but no mention about essay-type evaluation.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by school level show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observation’, ‘experiment’ activity each, while high school focuses on the achievement level, and reports are main at higher school level.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between key words reveals that the evaluation of science curriculum is centered on ‘observation’, ‘process’, and emphasizes on the way of observation evaluation and report evaluation during student activities such as experiment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students have mastered learning or no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curriculum, scientific communication competency represents the highest centrality in science curriculum, whereas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re relatively marginalized. As a result of a review of the connection between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science curriculum evaluation, some characteristic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are relatively well described in science curriculum, such as curriculum-teaching and learning-evaluation linkag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tudent’s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ata collection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but the rest are poor or not at all.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makes a suggestion to introduce a diagnostic and prescribing program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observational evaluation rubric that is a key to process-centered evaluation, a suggestion to present specific and diverse evalu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evaluation elements, a suggestion to adopt essay-type evaluation and to adopt problem-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ike SSI and PBL for evaluating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curriculum in a balanced manner, a suggestion of a well-thought-out process and systematic skills for the new concepts introduced in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 suggestion to revise curriculum with a focus on the link between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particular one in order to establish a t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Text Network Analysis, TNA)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총 134문장의 핵심어 475개에 대하여 wordcloud의 핵심어 빈도 분석, igr...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Text Network Analysis, TNA)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총 134문장의 핵심어 475개에 대하여 wordcloud의 핵심어 빈도 분석, igraph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을 실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양상을 검토하였다. 전체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는 ‘과정’을 가장 중시하고, ‘실험, 활동, 조사, 관찰, 탐구, 자료, 토의’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보고서, 관찰, 결과물, 태도, 서술’ 평가를 강조하지만 논술형 평가는 언급하지 않았다. 학교 급 별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초·중등은 각각 ‘관찰’과 실험’ 활동의 평가에, 고등학교는 성취수준에 대한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고,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보고서 평가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간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는 ‘관찰’과 ‘과정’을 중심으로, 실험 등의 학생 활동 중에 관찰평가와 보고서 평가를 실시하고 학생의 학습도달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을 강조하고 있었다. 과학과 핵심역량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높은 중심성을 가지는 반면,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양상을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 학생의 다면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 평가,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 자료수집의 다원화에 관한 부분은 비교적 충실히 반영되어 있으나 나머지는 내용이 빈약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인 관찰평가의 질 향상을 위해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관찰평가 루브릭 진단 및 처방 프로그램 도입을, 평가요소에 따른 평가방법을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제시할 것을, 균형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 반영을 위하여 논술형 평가, SSI, PBL 등의 문제 중심 교수·학습법을 제시할 것을, 교육과정 개정에 도입되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충분한 숙고의 과정과 체계적 기술이 필요함을, 마지막으로 총론과 각론 사이의 유기적 관계 구축을 위하여 총론-각론 간 연계성에 초점을 두어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과정 중심 평가 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 ‘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3. Text Network Analysis(TNA)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연구 절차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의 핵심어 빈도 분석 가. 전체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나. 학교 급 별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의 핵심어 간 네트워크 구조 분석 가. 핵심어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나. 과학과 핵심역량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3.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와 과정 중심 평가의 연계 양상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과정 중심 평가 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 ‘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3. Text Network Analysis(TNA)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연구 절차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의 핵심어 빈도 분석 가. 전체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나. 학교 급 별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의 핵심어 간 네트워크 구조 분석 가. 핵심어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나. 과학과 핵심역량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3.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와 과정 중심 평가의 연계 양상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창, "한국 시・군・구의 네트워크 중심성 측정" 한국지도학회 18 (18): 141-165, 2018

      2 강현석, "한국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과제: Speculative Essay Inquiry"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69-101, 2016

      3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4 정진현, "초등 발명영재 판별을 위한 관찰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99-219, 2010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손정숙, "중등학교 실험·실습 수행평가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노태희,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평가 실태와 지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725-733, 2015

      8 권미진, "인성평가를 위한 자기평가, 교사관찰평가, 인성교육활동 내 관찰평가 비교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44) : 157-190, 2017

      9 김영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념과 성취 기준 추출 개념의 연계성 비교 연구 -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377-387, 2016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업과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 어떻게 할까요?"

      1 서영창, "한국 시・군・구의 네트워크 중심성 측정" 한국지도학회 18 (18): 141-165, 2018

      2 강현석, "한국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과제: Speculative Essay Inquiry"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69-101, 2016

      3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4 정진현, "초등 발명영재 판별을 위한 관찰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99-219, 2010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손정숙, "중등학교 실험·실습 수행평가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노태희,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평가 실태와 지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725-733, 2015

      8 권미진, "인성평가를 위한 자기평가, 교사관찰평가, 인성교육활동 내 관찰평가 비교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44) : 157-190, 2017

      9 김영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념과 성취 기준 추출 개념의 연계성 비교 연구 -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377-387, 2016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업과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 어떻게 할까요?"

      11 정덕호, "사회연결망법을 이용한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구조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4 (34): 81-92, 2013

      12 한관종,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 의미와 연결망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10 : 219-235, 2003

      13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02

      14 전재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법에 의한국내 STEAM 교육 연구물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5-84, 2018

      15 백순근, "교육평가의 개념에 대한 고찰-'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13 : 1-20, 2000

      16 교육부, "교과학습발달상황 평가 및 관리"

      17 박희경,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의 개선 과제: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85-208, 2016

      18 이연재, "관찰활동 수행평가를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기초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9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각론"

      20 김희경, "과학 실험 목적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254-264, 2003

      21 김정민,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39-859, 2018

      22 교육부,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초등" 2017

      23 임은영,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과 의미"

      24 박지현,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를 위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5 김석우, "고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53-73, 2007

      26 서정권, "고등학교 과학 과목의 수행평가 운영 실태 조사 : 실험·실습법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7 Ian Fellows, "wordcloud: word Clouds. R package version 2.6"

      28 Csardi, G., "The igraph software package for complex network research" 1695 (1695): 1-9, 2006

      29 Popping, R.,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Sage 2000

      30 황인표, "2015년 도덕과 교육과정의 체계와 내용에 대한 성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8) : 81-110, 2015

      31 전세경,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19-36, 2015

      32 서영진,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공통 교육과정 ‘국어’를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56) : 67-106, 2015

      33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관계성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49-771, 2016

      34 이광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각론간 연계 양상에 대한 반성적 논의: 국가교육과정 각론조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59-80, 2017

      35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내용 제시 방식 검토: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7 (17): 277-302, 2016

      36 김현경,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103-112, 2017

      37 하민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 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495-504,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