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는 학습의 질과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미래 핵심역량을 키우기 위한 학교교육의 변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학생평가 체제를 총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35422
2019
Korean
374
KCI등재
학술저널
173-198(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평가는 학습의 질과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미래 핵심역량을 키우기 위한 학교교육의 변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학생평가 체제를 총체...
평가는 학습의 질과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미래 핵심역량을 키우기 위한 학교교육의 변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학생평가 체제를 총체적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비교하여 국제 수준에서 한국의 평가체제 특징을 확인하고 학생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가 간 학생평가 비교를 위해 평가 거버넌스, 교사의 평가역량, 평가절차, 평가결과의 활용의 네 가지 범주로 구성된 분석틀을 수립하였으며, PISA 2015의 학교, 학생, 교사 설문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PISA 2015 참여국 수준을 고려할 때 한국의 학생평가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가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한국에서는 표준화검사를 강조하고 총괄적 목적으로 평가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학교의 평가 자율성은 참여국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교사의 평가역량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현직교사 평가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과 과학교사의 평가효능감 수준은 전체 참여국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평가절차에서 과학교사 간의 평가 관련 협력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교실수준에서 교사가 개발한 평가나 관찰 및 숙제보다는 표준화검사나 구술 중심의 평가유형 사용 비중이 높았으며, 성적 산출 시 성장이나 능력 참조준거의 활용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평가결과의 활용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학교들의 평가결과 활용도는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평가 체제 비교를 위한 분석틀의 각 측면에서 한국의 학생평가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 system around the world have been required changes to develop the students’ competencies. Specially student assessment is important in those changes a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and direction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
Education system around the world have been required changes to develop the students’ competencies. Specially student assessment is important in those changes a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and direction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mpare student assessment systems of the countries participating in PISA 2015 and to draw lessons from the results to improve student assessment system in Korea. For analyses, we used the analytical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assessment governance,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y, assessment procedure and use of assessment result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assessment system in Korea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assessment governance, Korean schools would tend to put more stress on the use of standardized tests while the degree of school assessment autonomy was the higher than average. Second,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was offered lower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science teachers’ assessment efficac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verage. Third, assessment cooperation among science teachers was higher than average. Also the proportion of latent profile using standardized test or oral test in the class was high in Korea. Fourth assessment results in Korea, the degree of use of assessment results for either formative or summative was the lower than in other countries. Finally, implications for to build better student assessment system in Korea a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정, "한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 내신평가체제 비교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77-100, 2019
2 김석우, "한·미 고등학교 간 수준별 교육과정 및 학생 평가에 관한 비교 연구" 안암교육학회 12 (12): 5-35, 2006
3 김순남, "학생평가 방법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정미경, "초·중등교육체제 개선 방안 연구-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 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김성훈,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학지사 2018
6 김천홍, "영국과 한국 교사의 학생평가 체제 비교 분석" 교육연구소 23 (23): 211-237, 2017
7 최상덕,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Ⅰ)" 한국교육개발원 2013
8 성태제, "교육평가의 기초" 학지사 2016
9 McMillan, J. H.,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교육과학사 2015
10 김난옥, "교사의 특성과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9-151, 2018
1 김유정, "한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 내신평가체제 비교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77-100, 2019
2 김석우, "한·미 고등학교 간 수준별 교육과정 및 학생 평가에 관한 비교 연구" 안암교육학회 12 (12): 5-35, 2006
3 김순남, "학생평가 방법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정미경, "초·중등교육체제 개선 방안 연구-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 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김성훈,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학지사 2018
6 김천홍, "영국과 한국 교사의 학생평가 체제 비교 분석" 교육연구소 23 (23): 211-237, 2017
7 최상덕,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Ⅰ)" 한국교육개발원 2013
8 성태제, "교육평가의 기초" 학지사 2016
9 McMillan, J. H.,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교육과학사 2015
10 김난옥, "교사의 특성과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9-151, 2018
11 임은영, "교사별 학생평가 실태 조사 및 현안 진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2 반재천,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05-130, 2018
13 신혜진, "과정 중심 평가 활용의 정책적 분석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교사의 수행평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35-162, 2017
14 박지현,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를 위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5 이태경, "공업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학습을 위한 평가실제와 학교의 학업낙관성과의 관계: 교사의 평가자율성, 평가효능감 및 평가태도의 매개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6 (66): 525-550, 2018
16 조수영, "고등학교 현장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수업-평가 연계의 현실화 방안"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255-281, 2017
17 McTighe, J., "Understanding by design : Handbook"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1999
18 정혜경, "UNESCO NEQMAP의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학생평가 운영 한국 사례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9 Istance, D., "The Nature of Learning:Using Research to Inspire Practice" OECD Publishing 317-388, 2010
20 OECD, "Synergies for better learning: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evaluation and assessment" OECD Publishing 2013
21 Tom, C., "School-Based Assessment Framework"
22 OECD, "PISA 2015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Science, Reading, Mathematic, Financial Litera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OECD Publishing 2017
23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7
24 Birenbaum, M., "International trends in the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 Implications of policy and practice" 13 (13): 117-140, 2015
25 Petras, H., "Handbook of Quantitative Criminology" Springer 69-100, 2010
26 OECD, "Formative Assessment: Improving Learning in Secondary Classrooms" OECD Publishing 2005
27 Nylund, K. L.,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14 (14): 535-569, 2007
28 ARG, "Assessment for learning: 10 principles"
29 Looney, J. W., "Assessment and Innovation in Education" OECD Publishing 2009
30 교육부, "2030 인재강국 실현을 위한 대한민국 미래교육 청사진-‘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시안 발표"
31 강태훈,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실 수업에서의 교육평가 개선 방향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70 : 255-277, 2017
3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물리와 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서술어에 대한 물리 교사와 역사 교사의 해석 비교 연구
일반고 직업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질적 연구: 산업정보학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