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현재 창원시 중학교의 학력수준을 분석하고, 향후 창원시 중학교 학력수준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학교 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에 공개된 201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60270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3-162(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현재 창원시 중학교의 학력수준을 분석하고, 향후 창원시 중학교 학력수준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학교 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에 공개된 2013...
이 논문에서는 현재 창원시 중학교의 학력수준을 분석하고, 향후 창원시 중학교 학력수준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학교 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에 공개된 2013년도부터 2016년까지의 창원시 중학교 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이다. 분석결과, 첫째, 창원시 중학교의 학력수준은 인구 규모가 비슷한 광주, 대전, 울산광역시의 학력수준보다 높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원시내 중학교 간 학력 수준이 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원시 중학교의 학력 수준은 창원시 구(區)별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창원시 중학교 간 학력 차이는 공·사립별로, 단성(單性)학교와 남녀 공학 간에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이 논문에서는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낮은 학교들은 보통학력 이상 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이 높은 학교는 무엇보다도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level of the middle school academic achievement in Changwon City and explored the way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 school in Changwon City.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the results of National...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level of the middle school academic achievement in Changwon City and explored the way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 school in Changwon City.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the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2013 to 2016 which was released on the school's information website(www.schoolinfo.go.kr) First, the analysis foun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middle school in Changwon City was not higher than those of Gwangju, Daejeon, and Ulsan, where the population size is similar. Seco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schools in Changwon City differed by year. Thir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in Changwon City differed by district. Fourth, the educational achievement gap among middle schools in Changwon City existed by public and private school, as well as by male school, female school, and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The paper suggested that schools with low ratio of proficient and above achievement levels should look for ways to raise the percentage of proficient and above achievement levels, and schools with higher rates of below basic achievement should mak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명희,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온-오프라인 융합 학습활동을 통한 학습 효과 분석" 한국융합학회 9 (9): 85-90, 2018
2 성기선, "학교급별 도․농 간 학업성취도 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25-148, 2011
3 이창식, "청소년의 자존감, 공격성 및 폭력인식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29-36, 2016
4 장덕호, "지능정보사회에서 학교교육체제 혁신 방향과 과제 탐색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27-136, 2017
5 S. Y. Kim, "The school improvement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effective schools". The institute for secondary educa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6.17)" 2016
6 Dong-A Ilbo., "The classroom is full of hope"
7 JoongAng Ilbo., "The Leadership of Changing Schools"
8 S. Y. Kim., "Strategies for improv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angwo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District Education Support Agency, and Gyeongnam Shinmun (2014.12.23)" 2014
9 Y. H. Kim., "Sociology of Education" Educaion Science Press 2017
10 S. I. Kim., "Sociology of Education" Educaion Science Press 2015
1 신명희,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온-오프라인 융합 학습활동을 통한 학습 효과 분석" 한국융합학회 9 (9): 85-90, 2018
2 성기선, "학교급별 도․농 간 학업성취도 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25-148, 2011
3 이창식, "청소년의 자존감, 공격성 및 폭력인식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29-36, 2016
4 장덕호, "지능정보사회에서 학교교육체제 혁신 방향과 과제 탐색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27-136, 2017
5 S. Y. Kim, "The school improvement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effective schools". The institute for secondary educa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6.17)" 2016
6 Dong-A Ilbo., "The classroom is full of hope"
7 JoongAng Ilbo., "The Leadership of Changing Schools"
8 S. Y. Kim., "Strategies for improv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angwo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District Education Support Agency, and Gyeongnam Shinmun (2014.12.23)" 2014
9 Y. H. Kim., "Sociology of Education" Educaion Science Press 2017
10 S. I. Kim., "Sociology of Education" Educaion Science Press 2015
11 Y. K. Kim, "Reinventing Education" Future Management Institute 2001
12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13 N. S. Cho,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chool Educati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1
14 J. B. Kim, "Effective School, Effective Teacher" Educaion Science Press 1989
15 S. Y. Kim., "Building an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for School Innovation.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and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16 J. Y. Lee., "An Exploring the Effects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17 S. Y. Kim, "An Exploration of way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high schools in Changwon" Changwon City Development Institute 2016
18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 Analysis of the 2018 CSAT Results" Press Release 2017
19 J. Y. Eun, "An Analysi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of High-Performing Secondary Schoo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1
20 J. Y. Eun, "An Analysi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of High-Performing Elementary Schoo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
21 C. J. Lee, "An Analysi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current state of Korean School Educatio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01
소상공인 창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사업창업사관학교’를 중심으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환자안전 지식, 태도가 임상실습 시 환자안전 수행능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계산과학분야의 고성능컴퓨팅 교육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2-06-01 | 평가 | 등재학술지 취소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3-2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9 | 1.59 | 1.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5 | 1.34 | 1.61 | 0.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