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생명과학 연구의 딜레마 상황에서 과학자라면 어떤 행동을 선택할 것인가 판단해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있었던 과학자들의 생명윤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88165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7-552(1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과학자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생명과학 연구의 딜레마 상황에서 과학자라면 어떤 행동을 선택할 것인가 판단해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있었던 과학자들의 생명윤리 ...
과학자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생명과학 연구의 딜레마 상황에서 과학자라면 어떤 행동을 선택할 것인가 판단해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있었던 과학자들의 생명윤리 위반 사건을 토대로 각색된 딜레마 상황을 세 가지 제시하고 이공계를 지망하는 과학영재 51명과 일반학생 55명의 행동 선택과 윤리적 판단력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와 이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상황 모두 영재학생의 윤리적 판단력 P점수(%) 평균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높았으나, 실험동물 관리 상황에서만 두 그룹 간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윤리적 판단력의 기반이 되는 윤리적 규범에 대한 지식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은 실험동물 선정과 인체유래물 연구의 딜레마 상황에서 윤리적 행동 선택 비율이 높았으나, 실험동물 관리의 딜레마 상황에서 영재학생은 일반학생과 달리 비윤리적 행동의 선택 비율이 높았다. 영재학생이 수혜자의 이득 때문에 과정의 비윤리를 정당화 하지 않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영재와 일반학생들이 딜레마 상황에서 가장 중요시한 질문은 주로 법과 질서 등을 중시하는 인습단계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법적 규정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윤리적 행동인가에 대해서도 고민하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넷째, 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인체유래물 연구 자료 수집의 딜레마 상황에 대한 윤리적 판단력 점수가 가장 낮았기 때문에 피험자에 대한 존중에 기반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ents aspiring to become scientists need to practice judging what action they will choose in the dilemmas of life science research from the point of view of a scientist. In this study, three dilemmas were presented based on violation of bioethics b...
Students aspiring to become scientists need to practice judging what action they will choose in the dilemmas of life science research from the point of view of a scientist. In this study, three dilemmas were presented based on violation of bioethics by scientists in South Korea; then, the behavioral choices and ethical judgments of 51 science-gifted students and 55 general students who aspire to jo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analysis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all three dilemmas, the average of the ethical judgment P score (%) of gifted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but only in the dilemma of managing laboratory animals, a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Bot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need to learn the knowledge of ethical norms that are the basis of ethical judgment. Second,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had a high rate of choosing ethical behavior in the dilemma of selecting laboratory animals and collecting data on human derived materials, but in the dilemma of managing laboratory animals, gifted students had a higher rate of choosing unethical behavior than general students. There is a need to educate gifted students so that they do not justify unethical behaviors on the pretext of beneficiaries. Third,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he ques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stage, which emphasized law and order, in a dilemma situation. It should be educated to not only understand legal regulations but also to think about whether it is ethical behavior. Fourth, since bot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ethical judgment for the dilemma of collecting data on human derived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on how to collect research data based on respect for subjec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강봉, "황우석 교수 연구원 난자채취과정에 관여"
2 이인재,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 윤리 교육" 9 (9): 19-32, 2008
3 추정완, "청소년을 위한 생명윤리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생명의료법연구소 2 (2): 257-273, 2008
4 김지혜, "중·고등학교에서 생명윤리 교육의 활용" 30 (30): 103-115, 2018
5 김환석, "제보자 보호와 연구기관의 책임" 9 (9): 2-18, 2008
6 김민선, "정보윤리판단력 측정을 위한 이슈 중심의 딜레마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13-24, 2012
7 김항인,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1) : 225-254, 2005
8 장동익, "연구 부정행위 발생 원인과 연구 부정행위 분류 - 연구윤리교육의 기초 놓기 -" 인문학연구원 (62) : 131-163, 2016
9 박진희, "실험실 문화와 암묵지" 85-95, 2008
10 맹광호,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 8 (8): 1-11, 2007
1 이강봉, "황우석 교수 연구원 난자채취과정에 관여"
2 이인재,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 윤리 교육" 9 (9): 19-32, 2008
3 추정완, "청소년을 위한 생명윤리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생명의료법연구소 2 (2): 257-273, 2008
4 김지혜, "중·고등학교에서 생명윤리 교육의 활용" 30 (30): 103-115, 2018
5 김환석, "제보자 보호와 연구기관의 책임" 9 (9): 2-18, 2008
6 김민선, "정보윤리판단력 측정을 위한 이슈 중심의 딜레마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13-24, 2012
7 김항인,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1) : 225-254, 2005
8 장동익, "연구 부정행위 발생 원인과 연구 부정행위 분류 - 연구윤리교육의 기초 놓기 -" 인문학연구원 (62) : 131-163, 2016
9 박진희, "실험실 문화와 암묵지" 85-95, 2008
10 맹광호,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 8 (8): 1-11, 2007
11 문시영, "생명윤리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하나의 자성적 제안" 한국생명윤리학회 10 (10): 13-24, 2009
12 성혜, "생명과학 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한국생명윤리학회 10 (10): 67-76, 2009
13 최병인, "생명과학 연구윤리" 지코사이언스. 2009
14 김희백, "생명 윤리 교육 활성화를 위한 범교과적 교육과정 구성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연구재단 2006
15 백지연,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모색 : 약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국생명윤리학회 18 (18): 15-34, 2017
16 박현주, "복제견 ‘메이’ 학대 미스터리...사육사 처벌, 이병천만 남았다"
17 이규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18 양재섭,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교육: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생명윤리학회 10 (10): 1-16, 2009
19 유미현,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도덕판단력 비교 및 중· 고등학교 과학 영재의 도덕판단력 발달 경향" 2 (2): 1-11, 2008
20 이지원, "과학 연구부정 묵인의 딜레마 상황에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윤리적 판단력 비교: 부당한 저자표시를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30 (30): 413-426, 2020
21 이민지, "‘그것이 알고싶다’ 서울대 이병천 교수, 복제견과 도사견의 비참한 현실(종합)"
22 Tirri, K., "The moral reasoning and scientific argumentation of gifted adolescents" 13 (13): 120-129, 2002
23 Bebeau, M. J., "The defining issues test and the four component model : contributions to professional education" 31 (31): 271-295, 2002
24 Rest, J., "Postconventional moral thinking: A New-Kohlbergian approach" Lawrence Erlbaum:London 1999
25 Derryberry, W. P., "Moral Judgement Developmental Differences Between Gifted Youth and College Students" 17 (17): 6-19, 2005
26 Narváez, D., "High achieving students and moral judgment" 16 (16): 268-279, 1993
27 Rest, J. R.,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John Wiley & Sons 556-629, 1983
28 Howard‐Hamilton, M. F., "An assessment of moral development in gifted adolescents" 17 (17): 57-59, 1994
29 이승선, "'제2의 황우석' 이병천 '불법 동물실험·학대 의혹' 파문"
30 이상은, "'그것이 알고싶다' 서울대 이병천교수 연구에 도사견 동원?…개농장주인 "노코멘트""
과학영재 이공계 여자 대학(원)생의 학교환경과 진로에 대한 인식
SW영재학급 학생들의 내·외적 학습동기에 따른 SW진로 성향 분석
‘소음 차단 물질 찾기’ 프로젝트 학습에서 Flow Chart 활용을 통한 초등영재학생의 실험설계 표상: 비대면 상황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7 | 1.47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9 | 1.961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