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주택보건안전등급시스템(HHSRS)의 운영실태 및실효성 분석을 통한 활용방안 연구- 프로그램 참여주체들을 중심으로 - = A Study of the Housing and Safety Rating System(HHSRS) in Korea by Analysis of its Operation Status and Effectiveness in the UK - Focusing on Main Actors in the HHSR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17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value Housing Health and Safety Rating System(HHSRS) of the UK in order to utilize it and to improve health and safety condition of poor propertie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conducted elite interviews with regard to HHSRS in the UK and reviewed the survey data obtained by CIEH in 2011 and private firms in 2015. The finding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the success of HHSRS in Korea will heavily rely on time and funding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professionals in diverse fields will be required to play a pivotal role of maintaining the quality of HHSRS. The general public also need to change their viewpoint regarding to properties fundamentally from the purpose of investment to the quality of living it provid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value Housing Health and Safety Rating System(HHSRS) of the UK in order to utilize it and to improve health and safety condition of poor propertie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conducted elite interviews with regard to HHSRS in t...

      This research aims to value Housing Health and Safety Rating System(HHSRS) of the UK in order to utilize it and to improve health and safety condition of poor propertie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conducted elite interviews with regard to HHSRS in the UK and reviewed the survey data obtained by CIEH in 2011 and private firms in 2015. The finding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the success of HHSRS in Korea will heavily rely on time and funding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professionals in diverse fields will be required to play a pivotal role of maintaining the quality of HHSRS. The general public also need to change their viewpoint regarding to properties fundamentally from the purpose of investment to the quality of living it provid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주택 보건 안전 등급 시스템의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사회으로 그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인터뷰와 함께 2차 설문자료를 사용하였고, 해당 설문자료는 영국 내 160에서 180개 지방정부의 응답을 바탕으로 했다. 그 결과, 한국사회로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자금의 투자, 시민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 전환, 그리고 각계 각층 전문가들과의 협업이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주택 보건 안전 등급 시스템의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사회으로 그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인터뷰와 함께 2차 설문자료를 사용...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주택 보건 안전 등급 시스템의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사회으로 그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인터뷰와 함께 2차 설문자료를 사용하였고, 해당 설문자료는 영국 내 160에서 180개 지방정부의 응답을 바탕으로 했다. 그 결과, 한국사회로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자금의 투자, 시민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 전환, 그리고 각계 각층 전문가들과의 협업이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연,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109-133, 2013

      2 이지혜, "영국 주거위생 및 안전평가체제(HHSRS)와 국내법·규정의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32 (32): 27-35, 2016

      3 지남석, "노후 주거지 재생을 위한 주민참여형 주거환경관리사업 추진방안 - 대전시를 대상으로 -" 국토지리학회 50 (50): 373-387, 2016

      4 Ha, S., "The way of improvement of numerical statistics for residence" 331 : 1-8, 2011

      5 Oh, D., "The development of Social housing policies in the UK" 393 : 111-117, 2014

      6 Karen Buck MP, "The challenge of tackling unsafe and unhealthy housing: Report of a survey of local authorities for Karen Buck MP" 2015

      7 Moon, H., "The Issues and Problems of Housing Improvement Policies" 7 (7): 113-119, 2016

      8 Stewart, J., "The Housing Health and Safety Rating System - a new method of assessing housing standards reviewed"

      9 Woodward, K, "Interview"

      10 Ormandy, D., "Interview"

      1 김승연,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109-133, 2013

      2 이지혜, "영국 주거위생 및 안전평가체제(HHSRS)와 국내법·규정의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32 (32): 27-35, 2016

      3 지남석, "노후 주거지 재생을 위한 주민참여형 주거환경관리사업 추진방안 - 대전시를 대상으로 -" 국토지리학회 50 (50): 373-387, 2016

      4 Ha, S., "The way of improvement of numerical statistics for residence" 331 : 1-8, 2011

      5 Oh, D., "The development of Social housing policies in the UK" 393 : 111-117, 2014

      6 Karen Buck MP, "The challenge of tackling unsafe and unhealthy housing: Report of a survey of local authorities for Karen Buck MP" 2015

      7 Moon, H., "The Issues and Problems of Housing Improvement Policies" 7 (7): 113-119, 2016

      8 Stewart, J., "The Housing Health and Safety Rating System - a new method of assessing housing standards reviewed"

      9 Woodward, K, "Interview"

      10 Ormandy, D., "Interview"

      11 Charted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Housing (Enforcement)Survey: Results and Commentary" 2011

      12 Moon, H., "Expansion of a group of recipients for the standard residence should be required"

      13 Vilhena, A., "Comparison of Methods Used in European Countries to Assess Buildings Condition" 2011

      14 Jin, M., "Comparative Analysis on National Housing Survey of Six Countries: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Korean Housing Survey" 3 (3): 225-240, 2012

      15 Oh, J., "An Analysis of Major Issues and the Public Policy Direction for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Focusing on Seoul" 33 (33): 209-21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