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표면매립 보강된 FRP의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내화보강방안에 관한 연구 = Fire-Protection Method to Improve the Fire-Resistance Capacity of Near-Surface-Mounted Fiber Reinforced Polym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17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retrofit by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has been widely applied to building structure. However, the retrofit contribution of FRP may be disappeared under high temperature such as fire loading because of the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RP and epoxy. In this manner,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for improving fire resistant capacity of FRP retrofit system. Heat transitions of two types of fire proofing materials (board type and spray type) were verified by performing high temperature loading test and heat transfer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oard made of calcium silicate and alumino silicate had higher resistance on the heat transition than the sprayed finish. By using the analytical approach, it is possible to properly estimate the heat transfer of fire-proofing with board under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for fir-resistance design of reinforced FRP.
      번역하기

      Recently, retrofit by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has been widely applied to building structure. However, the retrofit contribution of FRP may be disappeared under high temperature such as fire loading because of the low glass transition temp...

      Recently, retrofit by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has been widely applied to building structure. However, the retrofit contribution of FRP may be disappeared under high temperature such as fire loading because of the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RP and epoxy. In this manner,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for improving fire resistant capacity of FRP retrofit system. Heat transitions of two types of fire proofing materials (board type and spray type) were verified by performing high temperature loading test and heat transfer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oard made of calcium silicate and alumino silicate had higher resistance on the heat transition than the sprayed finish. By using the analytical approach, it is possible to properly estimate the heat transfer of fire-proofing with board under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for fir-resistance design of reinforced FR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섬유보강 폴리머 (FRP)를 이용한 건물의 보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재 등에 의해서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FRP와 에폭시의 낮은 유리전이온도특성 때문에 이 보강방법은 보강효과를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FRP 보강시스템의 화재저항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이들 재료들의 내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과 열전도 해석을 실시하여 온도전달특성을 밝혔다. 연구를 통하여, 칼슘실리케이트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는 열 저항성능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내화재의 두께를 설계하기 위한 열전도 특성의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최근 섬유보강 폴리머 (FRP)를 이용한 건물의 보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재 등에 의해서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FRP와 에폭시의 낮은 유리전이온도특성 때문에 이 보강방법은 ...

      최근 섬유보강 폴리머 (FRP)를 이용한 건물의 보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재 등에 의해서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FRP와 에폭시의 낮은 유리전이온도특성 때문에 이 보강방법은 보강효과를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FRP 보강시스템의 화재저항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이들 재료들의 내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과 열전도 해석을 실시하여 온도전달특성을 밝혔다. 연구를 통하여, 칼슘실리케이트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는 열 저항성능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내화재의 두께를 설계하기 위한 열전도 특성의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수연, "콘크리트에 표면매입 보강된 탄소섬유 판의 온도에 따른 부착성능"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7 (17): 75-83, 2013

      2 연제영, "콘크리트내에 표면매입 보강된 FRP의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내화단열재 열저항성능 평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8 (18): 51-58, 2014

      3 이명호, "단열재로 보강된 탄소판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내화성능" 대한건축학회 27 (27): 141-148, 2011

      4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n, "Korea Building Code (KBC)" Ki-Moon-Dang 2016

      5 Yeon, Jae-Young, "Improvement of Fire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 Strengthened by FRP" Korea National University o Transportation 2014

      6 서수연, "Flexural Strength of RC Beam Strengthened by Partially De-bonded Near Surface-Mounted FRP Strip" 한국콘크리트학회 10 (10): 149-161, 2016

      7 Seo, Soo-Yeon, "Flexural Analysis of RC Beam Strengthened by Partially De-bonded NSM FRP Strip" 101 (101): 21-30, 2016

      8 Blontrock, H., "Fire testing of concrete slabs strengthened with fibre composite laminates" U : 547-, 2001

      9 Foster, S. K., "Fire survivability of externally bonded FRP strengthening system" 12 (12): 553-561, 2008

      10 서수연, "FRP 판으로 표면매입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보강성능"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6 (16): 18-26, 2012

      1 서수연, "콘크리트에 표면매입 보강된 탄소섬유 판의 온도에 따른 부착성능"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7 (17): 75-83, 2013

      2 연제영, "콘크리트내에 표면매입 보강된 FRP의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내화단열재 열저항성능 평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8 (18): 51-58, 2014

      3 이명호, "단열재로 보강된 탄소판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내화성능" 대한건축학회 27 (27): 141-148, 2011

      4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n, "Korea Building Code (KBC)" Ki-Moon-Dang 2016

      5 Yeon, Jae-Young, "Improvement of Fire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 Strengthened by FRP" Korea National University o Transportation 2014

      6 서수연, "Flexural Strength of RC Beam Strengthened by Partially De-bonded Near Surface-Mounted FRP Strip" 한국콘크리트학회 10 (10): 149-161, 2016

      7 Seo, Soo-Yeon, "Flexural Analysis of RC Beam Strengthened by Partially De-bonded NSM FRP Strip" 101 (101): 21-30, 2016

      8 Blontrock, H., "Fire testing of concrete slabs strengthened with fibre composite laminates" U : 547-, 2001

      9 Foster, S. K., "Fire survivability of externally bonded FRP strengthening system" 12 (12): 553-561, 2008

      10 서수연, "FRP 판으로 표면매입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보강성능"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6 (16): 18-26, 2012

      11 문도영, "FRP 보강근의 계면전단강도에 대한 임계온도와 노출시간의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25 (25): 45-51, 2013

      12 Midas IT, "FEA Manual Analysis & Algorithm Part : Algorithm" 2009

      13 Seo, Soo-Yeon, "Bond Strength of Near-Surface-Mounted FRP Plate for Retrofit of Concrete Structures" l95 : 719-727, 2013

      14 Palmieri, A., "Bond Behavior of NSM FRP Bars at Elevated Temperatures" 1-7,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