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치료 사례에서 나타난 생애주기별 신경성 폭식증의 진행단계와 가족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Life-Cycle Progressive Stages and Familial Factors of Bulimia Nervosa Observed in a Family Therapy C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04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성 폭식증을 가진 내담자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신경성 폭식증의 진행단계와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미친 가족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총 11회기 동안 내담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담축어록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주요개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생애주기별 신경성 폭식증의 진행단계는 영유아기 애착불안 형성단계, 아동기 자아의 억압에 따른 심리적 허기단계,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심리적 갈등의 증폭단계, 그리고 성인초기 부정적 감정해소를 위한 보상적 행위단계로 분석되었다. 또한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미친 가족요인의 특성으로는 만성적 부부갈등과 불안한 분위기, 정서적 미분화와 희생양 역할, 정서적 불안과 불만을 야기하는 모의 독단적 의사소통방식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신경성 폭식증이 생애주기에 따라 점진적인 진행단계를 거쳐 발생하므로 가족치료 과정에서 내담자가 생애주기 동안 경험한 유의미한 사건과 문제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신경성 폭식증의 발생요인에 대한 개인적 접근뿐만 아니라 가족체계적 접근의 필요성과 신경성 폭식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와 가족을 위한 임상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성 폭식증을 가진 내담자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신경성 폭식증의 진행단계와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미친 가족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성 폭식증을 가진 내담자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신경성 폭식증의 진행단계와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미친 가족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총 11회기 동안 내담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담축어록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주요개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생애주기별 신경성 폭식증의 진행단계는 영유아기 애착불안 형성단계, 아동기 자아의 억압에 따른 심리적 허기단계,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심리적 갈등의 증폭단계, 그리고 성인초기 부정적 감정해소를 위한 보상적 행위단계로 분석되었다. 또한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미친 가족요인의 특성으로는 만성적 부부갈등과 불안한 분위기, 정서적 미분화와 희생양 역할, 정서적 불안과 불만을 야기하는 모의 독단적 의사소통방식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신경성 폭식증이 생애주기에 따라 점진적인 진행단계를 거쳐 발생하므로 가족치료 과정에서 내담자가 생애주기 동안 경험한 유의미한 사건과 문제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신경성 폭식증의 발생요인에 대한 개인적 접근뿐만 아니라 가족체계적 접근의 필요성과 신경성 폭식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와 가족을 위한 임상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cycle progressive stages and the famili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client’s bulimia nervosa, based on a family therapy case study. The main concepts were derived by using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ocusing on the client’s and family’s counseling verbatim for a total of 11 sessions. The bulimia nervosa was found to undergo a certain stage throughout the life cycle: anxiety attachment stage in infancy, psychological emptiness stage due to self-suppression in childhood, stress and psychological conflict amplification stage in adolescence, and compensational behavior stage for relieving negative emotions in adulthood. In addition, the client’s bulimia nervosa was influenced by several familial factors such as chronic marital conflicts, unstable domestic atmosphere, undifferentiated emotion, role as a scapegoat, and lastly, the mother’s dogmatic communication pattern which caused anxiety and griev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meaningful events and problems experienced throughout the client’s life cycle and the family therapy process since bulimia nervosa gradually develops throughout each s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e need for family oriented approach as well as individual approach to bulimia nervosa and clinical interventions for clients and families suffering from these difficul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cycle progressive stages and the famili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client’s bulimia nervosa, based on a family therapy case study. The main concepts were derived by using qualitative analysis 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cycle progressive stages and the famili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client’s bulimia nervosa, based on a family therapy case study. The main concepts were derived by using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ocusing on the client’s and family’s counseling verbatim for a total of 11 sessions. The bulimia nervosa was found to undergo a certain stage throughout the life cycle: anxiety attachment stage in infancy, psychological emptiness stage due to self-suppression in childhood, stress and psychological conflict amplification stage in adolescence, and compensational behavior stage for relieving negative emotions in adulthood. In addition, the client’s bulimia nervosa was influenced by several familial factors such as chronic marital conflicts, unstable domestic atmosphere, undifferentiated emotion, role as a scapegoat, and lastly, the mother’s dogmatic communication pattern which caused anxiety and griev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meaningful events and problems experienced throughout the client’s life cycle and the family therapy process since bulimia nervosa gradually develops throughout each s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e need for family oriented approach as well as individual approach to bulimia nervosa and clinical interventions for clients and families suffering from these difficul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가족치료의 이론적 준거틀
      • 4. 연구방법
      • 5. 연구결과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가족치료의 이론적 준거틀
      • 4. 연구방법
      • 5. 연구결과
      • 6.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03

      2 문소현,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분노, 분노표현에 따른 섭식장애" 한국아동간호학회 15 (15): 127-135, 2009

      3 임소영, "폭식행동 경향이 있는 미혼 여성의 사회향성과 사회적 불안" 한국심리학회 27 (27): 569-587, 2008

      4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2015

      5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11

      6 이지영,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61-493, 2006

      7 백명은, "저학년 초등학생 (2, 3학년생)의 다이어트 관심도 및 실행 여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김하영, "완벽주의, 충동성, 섭식절제와 섭식행동의 연관성"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73-88, 2009

      9 손은정, "완벽주의, 자기비난, 자기의식, 신체불만족 및 신경성 폭식증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30 (30): 165-183, 2011

      10 이현지, "여고생의 정서조절곤란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증상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27-246, 2014

      1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03

      2 문소현, "학령기 후기 아동의 분노, 분노표현에 따른 섭식장애" 한국아동간호학회 15 (15): 127-135, 2009

      3 임소영, "폭식행동 경향이 있는 미혼 여성의 사회향성과 사회적 불안" 한국심리학회 27 (27): 569-587, 2008

      4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2015

      5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11

      6 이지영,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61-493, 2006

      7 백명은, "저학년 초등학생 (2, 3학년생)의 다이어트 관심도 및 실행 여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김하영, "완벽주의, 충동성, 섭식절제와 섭식행동의 연관성"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73-88, 2009

      9 손은정, "완벽주의, 자기비난, 자기의식, 신체불만족 및 신경성 폭식증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30 (30): 165-183, 2011

      10 이현지, "여고생의 정서조절곤란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증상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27-246, 2014

      11 이삼연, "신경성 폭식증 치료를 위한 심리치료접근법" 18 : 193-213, 2004

      12 김정안, "성인애착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과 감정표현불능성향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3 김율리, "섭식장애의 생물학적 및 정서적 병인기전에 대한 새로운 지견"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 (20): 74-79, 2013

      14 Fairburn, C. G., "섭식장애를 위한 강화: 인지행동치료" 하나의학사 2008

      15 안미경, "섭식장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적 요인 분석 : 남녀고교생 섭식장애 가족치료 사례연구를 통해" 18 : 45-76, 2012

      1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살찌는 것이 두렵다: 20대 섭식장애 여성, 남성의 9배"

      17 김인혜, "사회 문화적 영향, 신체불만족, 대처방식 및 이분법적 사고가 폭식행동과 절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33 (33): 315-339, 2014

      18 한영숙,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259-272, 2007

      19 김정내, "부모 및 또래애착과 대학생의 섭식장애행동과의 관계; 자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4 (14): 315-344, 2007

      20 김정택, "단기가족치료 : MRI 모델과 치료기법" 11 : 13-28, 1990

      21 이종원, "결혼초기 남녀의 부부갈등 관련변인 연구 : Bowen과 Satir 모델의 이론적 연계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2 김혜숙,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8

      23 諸錫鳳, "自我分化와 逆機能的 行動과의 關係 : Bowen의 家族體制理論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1989

      24 Lock, J., "Treatment Manual for Anorexia Nervosa: A Family-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001

      25 Ogden, J., "The Role of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Explaining Weight Concern" 28 (28): 78-83, 2000

      26 Silverstein, B, L., "The Role of the Mass Media in Promoting a Thin Standard of Bodily Attractiveness for Women" 14 (14): 519-532, 1986

      27 Felker, K. R., "The Relationship of Gender and Family Environment to Eating Disorder Risk in Adolescents" 29 (29): 821-834, 1994

      28 Rhodes, P., "The Maudsley Model of Family-Based Treatment for Anorexia Nervosa : A Qualitative Evaluation of Parent-to-Parent Consultation" 35 (35): 181-192, 2009

      29 Thompson, D. A., "The Heterogeneity of Bulimic Symptomatology : Cogni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 6 (6): 215-234, 1987

      30 Treasure, J., "The Assessment of the Family of People with Eating Disorders" 16 (16): 247-255, 2008

      31 Larson, B. J., "Relationship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to Eating Disorder Inventory Scores in Adolescent Girl" 91 (91): 1065-1067, 1991

      32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2013

      33 Reich, G., "Psychotherapie der Essstorungen" Thieme 51-67, 2001

      34 Minuchin, S., "Psychosomatic Families : Anorexia Nervosa in Contex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35 Grissette, N. I., "Perceived Social Support, Social Skills and Quality of Relationships in Bulimic Women" 60 (60): 293-299, 1992

      36 김정택, "Murray Bowen의 정신역동적 가족치료 모델" 13 : 33-46, 1992

      37 Kotler, L. A.,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Adolescent, and Adult Eating Disorders" 40 (40): 1434-1440, 2001

      38 Treasure, J., "Handbook of Eating Disorders" John Wiley and Sons 2003

      39 Schwartz, R. C., "Handbook for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Guilford Press 280-307, 1985

      40 Nichols, M. P.,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Allyn and Bacon 2012

      41 Bowen, M.,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Jason Aronson 1985

      42 Le Grange, D., "Family Therapy for Identical Twins with Anorexia Nervosa" 8 (8): 84-87, 2003

      43 Eisler, I., "Family Therapy for Anorexia Nervosa in Adolescents : The Results of a Controlled Comparison of Two Family Interventions" 41 (41): 727-736, 2000

      44 Kog, E., "Family Interaction in Eating Disorder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8 (8): 11-23, 1989

      45 Kerr, M. E.,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Norton 1988

      46 Laliberte, M., "Family Climates : Family Factors Specific to Disordered Eating and Bulimia Nervosa" 55 (55): 1021-1040, 1999

      47 Jacob, T., "Family Assessment, Rational Methods and Future Directions" Plenum 1988

      48 Tylka, T. L., "Examin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Among College Women" 51 (51): 314-328, 2004

      49 Robin, A. L., "Evidence-Based Psychotherap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Guilford Press 358-373, 2003

      50 Diebel-Braune, E., "Einige kritische ueberlegungen zum stand der psychoanalytischen bulimiel diskussion" 37 (37): 292-304, 1991

      51 Wagener, A. M., "Eating Disorders as Coping Mechanism" 24 (24): 203-212, 2010

      52 Lilenfeld, L. R., "Eating Disorders and Personality : A Methodological and Empirical Review" 26 (26): 299-320, 2006

      53 Treasure, J., "Eating Disorders" 375 (375): 583-593, 2010

      54 Dare, C., "Eating Disorder and Obesity: A Comprehensive Handbook" Guilford Press 314-319, 2002

      55 Wolff, G. E., "Differences in Daily Stress, Mood, Coping, and Eating Behavior in Binge Eating and Nonbinge Eating College Women" 25 (25): 205-216, 2000

      56 Massing, A., "Die Mehrgenerationen-Familientherapie" Vandenhoeck and Ruprecht 1994

      5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58 Fairburn, C. G.,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Eating Disorders : A Transdiagnostic Theory and Treatment" 41 (41): 509-528, 2003

      59 Polivy, J., "Causes of Eating Disorders" 53 : 187-213, 2002

      60 Katzman, M. A., "Bulimia and Binge Eating in College Women : A Comparison of Persona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52 (52): 423-428, 1984

      61 Wiederman, M., "Body Dissatisfaction, Bulimia, and Depression among Woman : The Mediating Role of Drive for Thinness" 27 : 90-95, 2000

      62 Armstrong, J., "Attachment and Separation Difficulties in Eating Disorders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8 (8): 141-155, 1989

      63 Russell, G. F., "An Evaluation of Family Therapy in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44 (44): 1047-1056, 1987

      64 Dallos, R., "ANT-Attachment Narrative Therapy : Narrative and Attachment Theory Approaches in Systemic Family Therapy with Eating Disorders" 12 (12): 43-72, 2001

      65 Holtom-Viesel, A.,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amily Functioning Across All Eating Disorder Diagnoses in Comparison to Control Families" 34 (34): 29-43, 2014

      66 Minuchin, S., "A Conceptual Model of Psychosomatic Illness in Children : Family Organization and Family Therapy" 32 (32): 1031-1038,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2-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ental Health & Social Work KCI등재
      2007-03-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 1.87 2.1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