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남철, "한국의 서울" 아르케 1999
2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上 한국전통민가의 원형연구" 열화당 1983
3 장보웅, "한국의 민가연구" 보진재출판사 1986
4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6
5 임석재,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북하우스 2005
6 윤재흥, "울타리와 우리의 교육인간학" 한국학술정보 2007
7 윤재흥, "우리 옛집 사람됨의 공간" 집문당 2004
8 이규호, "대화의 철학" 시공사
9 주남철, "韓國建築美" 일지사 1983
10 강영환, "韓國 傳統住居에 나타난 陰陽觀" 4 : 133-149, 1997
1 주남철, "한국의 서울" 아르케 1999
2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上 한국전통민가의 원형연구" 열화당 1983
3 장보웅, "한국의 민가연구" 보진재출판사 1986
4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6
5 임석재,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북하우스 2005
6 윤재흥, "울타리와 우리의 교육인간학" 한국학술정보 2007
7 윤재흥, "우리 옛집 사람됨의 공간" 집문당 2004
8 이규호, "대화의 철학" 시공사
9 주남철, "韓國建築美" 일지사 1983
10 강영환, "韓國 傳統住居에 나타난 陰陽觀" 4 : 133-149, 1997
11 Evans-Pritchard, E. E., "Theories of Primitive Religion, In 원시종교론" 탐구당 1980
12 Eliade, M.,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Nature of Religion, In 聖과 俗 - 종교의 본질" 학민사 1993
13 Bachelard, G., "The Poetics of Space" Beacon Press 1994
14 Hall, E. T., "The Hidden Dimension, In 숨겨진 차원" 정음사 1984
15 Kern, S., "The Culture of Time and Space, In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2004
16 Heidegger, M., "Sein und Zeit, In 존재와 시간" 까치글방 1998
17 Bollnow, O. F., "Pädagogik in anthropologischer Sicht, In 교육의 인간학" 문음사 1990
18 Sommer, R., "Personal Space, In 개인의 공간" 기문당 1996
19 Bollnow, O. F., "Mensch und Raum" 1984
20 Noberg-Schulz, C.,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Praeger Publishers 1975
21 Levinas, E., "Le Temps et L'autre, In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22 Bachelard, G., "La Poétique de Léspace, In 공간의 시학" 민음사 1990
23 Eliade,M, "Images and Symbols: Studies in Religious Symbolism, In 이미지와 상징: 주술적-종교적 상징체계에 관한 시론" 까치 1998
24 Rapoport, A., "House Form and Culture, In 주거형태와 문화" 열화당 1985
25 Habermas, J., "Erkenntnis und Interesse, In 인식과 관심" 고려원 1989
26 Heidegger, M., "Bauen, Wohnen, Denken. in Vortrage und Aufsätze" 139-156, 1954
27 Dubos, R., "A God Within, In 내재하는 신" 탐구당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