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통 주거에 나타난 한국인의 자연관과 그 교육적 의미 -텃제, 집짓기 재료의 선택과 가공을 중심으로- = The Korean view of nature reflected in traditional housing, and its educational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3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borrowing a site from the god of earth when building a traditional house is focused. It is characteristic to think of borrowing even though one builds his house in his own land. It shows the view of nature that one cannot have land and is thought as a part of nature. As it is a borrowed land, one should preserve it and use the least of natural materials to return them to its original state. When processing them, it is gradually done with due regard to possibility of returning them to their original state. Korean view of nature that can be described as borrowing, preservation, and returning is related to the thought that one makes harmonious space with nature and those who live in it live happy lives can become desirable beings. It admits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s and man, and reflects the principle that spaces educate man.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borrowing a site from the god of earth when building a traditional house is focused. It is characteristic to think of borrowing even though one builds his house in his own land. It shows the view of nature that one cannot have land an...

      In this article, borrowing a site from the god of earth when building a traditional house is focused. It is characteristic to think of borrowing even though one builds his house in his own land. It shows the view of nature that one cannot have land and is thought as a part of nature. As it is a borrowed land, one should preserve it and use the least of natural materials to return them to its original state. When processing them, it is gradually done with due regard to possibility of returning them to their original state. Korean view of nature that can be described as borrowing, preservation, and returning is related to the thought that one makes harmonious space with nature and those who live in it live happy lives can become desirable beings. It admits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s and man, and reflects the principle that spaces educate m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남철, "한국의 서울" 아르케 1999

      2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上 한국전통민가의 원형연구" 열화당 1983

      3 장보웅, "한국의 민가연구" 보진재출판사 1986

      4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6

      5 임석재,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북하우스 2005

      6 윤재흥, "울타리와 우리의 교육인간학" 한국학술정보 2007

      7 윤재흥, "우리 옛집 사람됨의 공간" 집문당 2004

      8 이규호, "대화의 철학" 시공사

      9 주남철, "韓國建築美" 일지사 1983

      10 강영환, "韓國 傳統住居에 나타난 陰陽觀" 4 : 133-149, 1997

      1 주남철, "한국의 서울" 아르케 1999

      2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上 한국전통민가의 원형연구" 열화당 1983

      3 장보웅, "한국의 민가연구" 보진재출판사 1986

      4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6

      5 임석재,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북하우스 2005

      6 윤재흥, "울타리와 우리의 교육인간학" 한국학술정보 2007

      7 윤재흥, "우리 옛집 사람됨의 공간" 집문당 2004

      8 이규호, "대화의 철학" 시공사

      9 주남철, "韓國建築美" 일지사 1983

      10 강영환, "韓國 傳統住居에 나타난 陰陽觀" 4 : 133-149, 1997

      11 Evans-Pritchard, E. E., "Theories of Primitive Religion, In 원시종교론" 탐구당 1980

      12 Eliade, M.,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Nature of Religion, In 聖과 俗 - 종교의 본질" 학민사 1993

      13 Bachelard, G., "The Poetics of Space" Beacon Press 1994

      14 Hall, E. T., "The Hidden Dimension, In 숨겨진 차원" 정음사 1984

      15 Kern, S., "The Culture of Time and Space, In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2004

      16 Heidegger, M., "Sein und Zeit, In 존재와 시간" 까치글방 1998

      17 Bollnow, O. F., "Pädagogik in anthropologischer Sicht, In 교육의 인간학" 문음사 1990

      18 Sommer, R., "Personal Space, In 개인의 공간" 기문당 1996

      19 Bollnow, O. F., "Mensch und Raum" 1984

      20 Noberg-Schulz, C.,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Praeger Publishers 1975

      21 Levinas, E., "Le Temps et L'autre, In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22 Bachelard, G., "La Poétique de Léspace, In 공간의 시학" 민음사 1990

      23 Eliade,M, "Images and Symbols: Studies in Religious Symbolism, In 이미지와 상징: 주술적-종교적 상징체계에 관한 시론" 까치 1998

      24 Rapoport, A., "House Form and Culture, In 주거형태와 문화" 열화당 1985

      25 Habermas, J., "Erkenntnis und Interesse, In 인식과 관심" 고려원 1989

      26 Heidegger, M., "Bauen, Wohnen, Denken. in Vortrage und Aufsätze" 139-156, 1954

      27 Dubos, R., "A God Within, In 내재하는 신" 탐구당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f Histor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1.21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