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영달, "한국 중학교 경제수업의 참여구조 변화에 대한 이해: 미시 기술적 연구를 중심으로" 29 : 193-225, 1999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3 이근호,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31-47, 2010
4 정영근, "일반고등학교 교육과정 컨설팅 사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5 박윤경,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 기제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35-59, 2004
6 홍후조,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정치학 - 제7차 교육과정 개정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치학회 7 (7): 112-133, 2000
7 조영달, "교육과정의 정치학-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결정의 참여구조" 31 : 295-317, 2000
8 김재춘, "교육과정의 정치학 - 분석 틀의 탐색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치학회 7 (7): 93-111, 2000
9 정영근, "교육과정 컨설팅 사례를 통해서 본 교육과정 실행의 정치학" 113-140, 2012
10 조재식,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229-252, 2002
1 조영달, "한국 중학교 경제수업의 참여구조 변화에 대한 이해: 미시 기술적 연구를 중심으로" 29 : 193-225, 1999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3 이근호,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31-47, 2010
4 정영근, "일반고등학교 교육과정 컨설팅 사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5 박윤경,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 기제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35-59, 2004
6 홍후조,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정치학 - 제7차 교육과정 개정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치학회 7 (7): 112-133, 2000
7 조영달, "교육과정의 정치학-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결정의 참여구조" 31 : 295-317, 2000
8 김재춘, "교육과정의 정치학 - 분석 틀의 탐색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치학회 7 (7): 93-111, 2000
9 정영근, "교육과정 컨설팅 사례를 통해서 본 교육과정 실행의 정치학" 113-140, 2012
10 조재식,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229-252, 2002
11 이경진,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57-80, 2005
12 민용성,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