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콜로니얼의 어떤 복잡한 월경적 연애에 관하여 = 구식민지와 구제국 그리고 기억-기록의 정치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전후 일본의 집합기억의 역학을 분석하고 이 장에서 구식민지였던 조선-남한이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었는지를 고찰한다. 문제적인 것은, 전후 일본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행위가 결코 식민지를 기억하는 행위는 아니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후 일본의 기억-기록의 장에서 드러나는 불균형과 구식민지를 향한 현실적, 상징적 처리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45년 이래 일본에서는 전쟁(패전)을 둘러싼 다양한 기억-기록물과 재현물이 지속적으로 재/생산, 재/구성되어 왔다. 반면 구식민지 조선에 대한 기억은 소거되었다. 그러나 당시 패전한 일본과 해방된 조선-남한이 서로에 대해 맺고 있던 관계를 보여주는 몇몇 자료들이 존재한다. 해방된 조선-남한에 대해서 일본은 연장된 식민주의나 공포와 같은,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태도를 취했다. 1945년 이후, 기존의 제국/식민지라는 계서제적 권력관계에서 벗어난 조선은 일본에 대해, 동등한 위상을 갖는 불투명한 ‘이웃’이 되었다. 이제는 ‘이웃’이 되어버린 타자로서의 조선은 일본의 자기의식을 계속 자극하는 존재가 된다. ‘인양서사’는 이와 같은 전후 일본의 복잡한 자기 구축의 맥락과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조선-남한과 일본의 경계를 넘나드는 ‘월경적 연애’의 상상이 갖는 의미론적 위상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일 양국에서 나온 월경적 연애의 서사들 즉 후지와라 데이의 『灰色の丘』, 이범선의 『검은해협』, 히노 게이조의 중단편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이와 더불어 『親和』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전후 일본의 집합기억의 역학을 분석하고 이 장에서 구식민지였던 조선-남한이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었는지를 고찰한다. 문제적인 것은, 전후 일본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행위가 ...

      이 논문은 전후 일본의 집합기억의 역학을 분석하고 이 장에서 구식민지였던 조선-남한이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었는지를 고찰한다. 문제적인 것은, 전후 일본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행위가 결코 식민지를 기억하는 행위는 아니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후 일본의 기억-기록의 장에서 드러나는 불균형과 구식민지를 향한 현실적, 상징적 처리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45년 이래 일본에서는 전쟁(패전)을 둘러싼 다양한 기억-기록물과 재현물이 지속적으로 재/생산, 재/구성되어 왔다. 반면 구식민지 조선에 대한 기억은 소거되었다. 그러나 당시 패전한 일본과 해방된 조선-남한이 서로에 대해 맺고 있던 관계를 보여주는 몇몇 자료들이 존재한다. 해방된 조선-남한에 대해서 일본은 연장된 식민주의나 공포와 같은,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태도를 취했다. 1945년 이후, 기존의 제국/식민지라는 계서제적 권력관계에서 벗어난 조선은 일본에 대해, 동등한 위상을 갖는 불투명한 ‘이웃’이 되었다. 이제는 ‘이웃’이 되어버린 타자로서의 조선은 일본의 자기의식을 계속 자극하는 존재가 된다. ‘인양서사’는 이와 같은 전후 일본의 복잡한 자기 구축의 맥락과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조선-남한과 일본의 경계를 넘나드는 ‘월경적 연애’의 상상이 갖는 의미론적 위상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일 양국에서 나온 월경적 연애의 서사들 즉 후지와라 데이의 『灰色の丘』, 이범선의 『검은해협』, 히노 게이조의 중단편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이와 더불어 『親和』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memories of postwar Japan and the position of the old colony Korea at terms of postcolonial Japanese memories-field. It is problematic that the memories of the war don’t mean the memories of the colonies which Empire Japan had occupied. Therefore,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unevenness of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way of treatment of past colonies like Korea in postwar Japan. Since 1945, various kinds of memories or representations concerning (defeated) war had been continuously (re)produced and (re)constructed, while those of old colony Korea have been erased in postwar Japan. But there are some materials which describe realistic and symbol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Toward liberated Korea, postwar Japan has contradictory attitudes such as extended colonialism and fear for the others. Liberated Korea which got out of empire/colony hierarchy became equal but obscure ‘neighbor’, that is to say the other who stimulates self-consciousness of defeated Japan. The narratives of Japanese refugees(hikiagesha) show the context and process of complicated self-construction in postwar Japan. Especially, this paper probes the location and meaning of imagination regarding ‘transnational love’ between postwar Japan and Korea, focusing on the novels and essays written in 1950s~1970s. For this work, I analyze Hujiwara Tei(藤原てい)’s 『灰色の丘』, Lee Beomseon’s Geomeun Haehyeop(Black Strait), Hino Keizo’s novels and articles of monthly magazine 『親和』.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memories of postwar Japan and the position of the old colony Korea at terms of postcolonial Japanese memories-field. It is problematic that the memories of the war don’t mean the memories of the col...

      This paper analyzes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memories of postwar Japan and the position of the old colony Korea at terms of postcolonial Japanese memories-field. It is problematic that the memories of the war don’t mean the memories of the colonies which Empire Japan had occupied. Therefore,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unevenness of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way of treatment of past colonies like Korea in postwar Japan. Since 1945, various kinds of memories or representations concerning (defeated) war had been continuously (re)produced and (re)constructed, while those of old colony Korea have been erased in postwar Japan. But there are some materials which describe realistic and symbol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Toward liberated Korea, postwar Japan has contradictory attitudes such as extended colonialism and fear for the others. Liberated Korea which got out of empire/colony hierarchy became equal but obscure ‘neighbor’, that is to say the other who stimulates self-consciousness of defeated Japan. The narratives of Japanese refugees(hikiagesha) show the context and process of complicated self-construction in postwar Japan. Especially, this paper probes the location and meaning of imagination regarding ‘transnational love’ between postwar Japan and Korea, focusing on the novels and essays written in 1950s~1970s. For this work, I analyze Hujiwara Tei(藤原てい)’s 『灰色の丘』, Lee Beomseon’s Geomeun Haehyeop(Black Strait), Hino Keizo’s novels and articles of monthly magazine 『親和』.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전쟁 혹은 식민지, 그 기억-기록의 창고를 찾아
      • Ⅱ. 해방과 패전 그리고 ‘이웃’이 된다는 것
      • Ⅲ. 월경적 연애의 상상과 그 변용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전쟁 혹은 식민지, 그 기억-기록의 창고를 찾아
      • Ⅱ. 해방과 패전 그리고 ‘이웃’이 된다는 것
      • Ⅲ. 월경적 연애의 상상과 그 변용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