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론법제 연구의 최근 동향 = 2011∼2013년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62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론법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있는 이 연구는 현재 ‘누가’ 언론법을 주로 연구하고 있는가, 언론법 연구자들은 어떤 학문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가, 또 현재 어디에 소속돼, 어떤 신분을 유지하고 있는가 하는 점들을 살펴보고 있다. 또 이 연구는 언론법 연구자들은 언론법의 영역 중에서 주로 ‘어떤 주제’를 연구하고 있는가, 어떤 연구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가, 하는 점들을 규명하고 있다. 연구결과, 언론법 연구는 여전히 법학 기반의 언론법 학자들이 주도하고 있고 법학기반 학자들은 ‘저작재산권’, ‘개인정보보호’, ‘표현자유기본권’ 관련 주제를, 언론학 기반 학자들은 ‘미디어정책’, ‘표현자유기본권’, ‘심의자율규제’ 등의 주제를 주로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법학과 언론학의 경계가 여전히 높다는 점, 언론학과 법학 분야 모두 ‘언론법제 교육과 연구 시스템’ 개발 등에 소흘하다는 점 등을 지적하면서 ‘언론법적 쟁점’에 대한 상반된 관점의 연구 성과들이 ‘치열하게 대립하고 토론’되는 학술적 논의의 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 학술단체별로 연구쟁점에 대한 ‘기획과 실행’이 중요하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언론법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있는 이 연구는 현재 ‘누가’ 언론법을 주로 연구하고 있는가, 언론법 연구자들은 어떤 학문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가, 또 현재 어디에 소속돼, 어떤 신분...

      언론법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있는 이 연구는 현재 ‘누가’ 언론법을 주로 연구하고 있는가, 언론법 연구자들은 어떤 학문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가, 또 현재 어디에 소속돼, 어떤 신분을 유지하고 있는가 하는 점들을 살펴보고 있다. 또 이 연구는 언론법 연구자들은 언론법의 영역 중에서 주로 ‘어떤 주제’를 연구하고 있는가, 어떤 연구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가, 하는 점들을 규명하고 있다. 연구결과, 언론법 연구는 여전히 법학 기반의 언론법 학자들이 주도하고 있고 법학기반 학자들은 ‘저작재산권’, ‘개인정보보호’, ‘표현자유기본권’ 관련 주제를, 언론학 기반 학자들은 ‘미디어정책’, ‘표현자유기본권’, ‘심의자율규제’ 등의 주제를 주로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법학과 언론학의 경계가 여전히 높다는 점, 언론학과 법학 분야 모두 ‘언론법제 교육과 연구 시스템’ 개발 등에 소흘하다는 점 등을 지적하면서 ‘언론법적 쟁점’에 대한 상반된 관점의 연구 성과들이 ‘치열하게 대립하고 토론’되는 학술적 논의의 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 학술단체별로 연구쟁점에 대한 ‘기획과 실행’이 중요하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 of media law research through reviewing the research articles and suggest the implication to improve further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462 articles from 2011 to 2013 which published in the related journals was examined. It showed that about 12.6% of all the research articles in media and law journals were written about media law. It revealed that among a total of 97 research articles, legal specialists wrote 68.0% and media specialists 28.6%. While media specialists published 81.1% of their articles in the media-related journals, law specialists published 66.9% of their articles in law-related journals. It was found that media researchers frequently applied social scientific methods for the main analysis (43.8% of their articles), most law researchers highly depended on the conventional legal research methods (87.9% of their articles). While major research interests in media specialists were given to media policy and freedom of expression, the interests of law specialists were given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copyright. Conclusive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interdisciplinary endeavors between the media and law specialists should be made so as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media law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 of media law research through reviewing the research articles and suggest the implication to improve further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462 articles from 2011 to 2013 which published in the 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 of media law research through reviewing the research articles and suggest the implication to improve further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462 articles from 2011 to 2013 which published in the related journals was examined. It showed that about 12.6% of all the research articles in media and law journals were written about media law. It revealed that among a total of 97 research articles, legal specialists wrote 68.0% and media specialists 28.6%. While media specialists published 81.1% of their articles in the media-related journals, law specialists published 66.9% of their articles in law-related journals. It was found that media researchers frequently applied social scientific methods for the main analysis (43.8% of their articles), most law researchers highly depended on the conventional legal research methods (87.9% of their articles). While major research interests in media specialists were given to media policy and freedom of expression, the interests of law specialists were given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copyright. Conclusive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interdisciplinary endeavors between the media and law specialists should be made so as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media law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연구방법론
      • Ⅲ. 분석 결과 논의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연구방법론
      • Ⅲ. 분석 결과 논의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선, "표현자유의 확장 판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 이승선, "표현의 자유를 구속하는 열 가지 판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 이승선, "언론법제 연구의 현황과 특성" 한국언론학회 1 (1): 227-262, 2005

      4 이승선, "언론법제 연구의 최근 동향분석" (사)한국언론법학회 10 (10): 153-188, 2011

      5 이재진, "언론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사)한국언론법학회 7 (7): 105-133, 2008

      6 염규호, "미국대학의 언론법 교육현황" 18 (18): 17-26, 1998

      7 Gillmor, D.M., "Research methods in mass communication" Prentice-Hall 320-341, 1981

      1 이승선, "표현자유의 확장 판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 이승선, "표현의 자유를 구속하는 열 가지 판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 이승선, "언론법제 연구의 현황과 특성" 한국언론학회 1 (1): 227-262, 2005

      4 이승선, "언론법제 연구의 최근 동향분석" (사)한국언론법학회 10 (10): 153-188, 2011

      5 이재진, "언론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사)한국언론법학회 7 (7): 105-133, 2008

      6 염규호, "미국대학의 언론법 교육현황" 18 (18): 17-26, 1998

      7 Gillmor, D.M., "Research methods in mass communication" Prentice-Hall 320-341,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1 1.67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