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플롯(Plot)개념으로 접근한 전시 공간큐레이팅 - 국립민속박물관 ‘끈질긴 삶과 신명, 경상남도’특별전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Space Curating of Exhibition with the Concept of Plot -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s Special Exhibition of 'Persevering Life and Exhilaration, Gyeongsang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6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제 우리는 뮤지엄의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에 대해 논의할 시기다. 이를 위해 뮤지엄 디자인도 그 대상의 하나로 역할과 범위가 확장 될 필요가 있다. 이렇듯 개발과 발전의 필요성을 내재한 디자인 중 특히 전시공간 구축에서의 디자인방법론은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가진다. 전시에서 디자인은 메시지를 발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기획의 부수적 작업이 아닌 기획을 완성시키고 관람 경험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시공간구성 방법론의 하나로 플롯개념을 적용한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끈질긴 삶과 신명, 경상남도’전 사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대상 전시의 주요 콘텐츠와 전시시나리오를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공간화 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구조적 측면(‘장소의 재현과 해석’, ‘동선과 시퀀스’)과 구성적 측면(‘상징적 서사구조’, ‘은유적 연출’, ‘예측된 관람행동 적용’) 두 관점에서 대상 특별전의 플롯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전시는 자연문화, 물질문화, 정신문화 세 카테고리로 존을 구성하고 각각 낙동강변, 시장(장터), 오광대 놀이마당 이라는 구체적인 장소를 모티브로 관람객의 예측되는 행태를 가미한 공간이 구성되었다. ‘장소의 재현과 해석’, ‘동선과 시퀀스’, ‘상징적 서사구조’라는 플롯 개념을 적용, 전시에서 의도한 네러티브가 공간화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제 우리는 뮤지엄의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에 대해 논의할 시기다. 이를 위해 뮤지엄 디자인도 그 대상의 하나로 역할과 범위가 확장 될 필요가 있다. 이렇듯 개발과 발전의 필요성을...

      이제 우리는 뮤지엄의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에 대해 논의할 시기다. 이를 위해 뮤지엄 디자인도 그 대상의 하나로 역할과 범위가 확장 될 필요가 있다. 이렇듯 개발과 발전의 필요성을 내재한 디자인 중 특히 전시공간 구축에서의 디자인방법론은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가진다. 전시에서 디자인은 메시지를 발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기획의 부수적 작업이 아닌 기획을 완성시키고 관람 경험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시공간구성 방법론의 하나로 플롯개념을 적용한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끈질긴 삶과 신명, 경상남도’전 사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대상 전시의 주요 콘텐츠와 전시시나리오를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공간화 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구조적 측면(‘장소의 재현과 해석’, ‘동선과 시퀀스’)과 구성적 측면(‘상징적 서사구조’, ‘은유적 연출’, ‘예측된 관람행동 적용’) 두 관점에서 대상 특별전의 플롯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전시는 자연문화, 물질문화, 정신문화 세 카테고리로 존을 구성하고 각각 낙동강변, 시장(장터), 오광대 놀이마당 이라는 구체적인 장소를 모티브로 관람객의 예측되는 행태를 가미한 공간이 구성되었다. ‘장소의 재현과 해석’, ‘동선과 시퀀스’, ‘상징적 서사구조’라는 플롯 개념을 적용, 전시에서 의도한 네러티브가 공간화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 is the time for us to discuss qualitative growth, not quantitative growth of the museum. To this end, museum design also needs to expand its role and scope as one of its targets. Among the designs that embodied the need for development, the design methodology,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space, has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In the exhibition, design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sends messages, which serves to complete the planning and complete the viewing experience, not the incidental work of the planning.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xamples of exhibitions applying the concept of plots, and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s special exhibition 'Persevering Life and Exhilaration, Gyeongsangnamdo'. The progress of the study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cenario of the target exhibition and how it was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layout, movement lines, and structural metaphors were examined as plots that were spatialized through the exhibition results. The progress of the study looked at the main contents of the target exhibition and the exhibition scenario, and examined how it became spatialized. Next, the plots of the grand prize special exhibition were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the structural aspects ("re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location", the "direction and sequence") and the compositional aspects ("symbolic narrative structure", the " metaphorical p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of predicted viewing behavior"). The exhibition under research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natural culture, material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and each spac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specific place called Nakdonggang River, market (marketplace), and Ogwangdae Playground, which was based on the predicted behavior of visitors. By applying the plot concepts of "re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place," "movement and sequence," and "symbolic narrative structu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narrative intended for the exhibition was spatialized.
      번역하기

      Now is the time for us to discuss qualitative growth, not quantitative growth of the museum. To this end, museum design also needs to expand its role and scope as one of its targets. Among the designs that embodied the need for development, the design...

      Now is the time for us to discuss qualitative growth, not quantitative growth of the museum. To this end, museum design also needs to expand its role and scope as one of its targets. Among the designs that embodied the need for development, the design methodology,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space, has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In the exhibition, design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sends messages, which serves to complete the planning and complete the viewing experience, not the incidental work of the planning.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xamples of exhibitions applying the concept of plots, and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s special exhibition 'Persevering Life and Exhilaration, Gyeongsangnamdo'. The progress of the study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cenario of the target exhibition and how it was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layout, movement lines, and structural metaphors were examined as plots that were spatialized through the exhibition results. The progress of the study looked at the main contents of the target exhibition and the exhibition scenario, and examined how it became spatialized. Next, the plots of the grand prize special exhibition were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the structural aspects ("re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location", the "direction and sequence") and the compositional aspects ("symbolic narrative structure", the " metaphorical p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of predicted viewing behavior"). The exhibition under research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natural culture, material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and each spac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specific place called Nakdonggang River, market (marketplace), and Ogwangdae Playground, which was based on the predicted behavior of visitors. By applying the plot concepts of "re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place," "movement and sequence," and "symbolic narrative structu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narrative intended for the exhibition was spatializ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금진, "플롯개념에 의한 건축공간의 연출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주택을 대상으로 분석-" 대한건축학회 20 (20): 155-162, 2004

      2 이경훈, "플롯개념에 의한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4 (14): 1998

      3 최미옥, "플롯(Plot) 개념을 적용한 전시공간 사례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선비, 그 이상과 실천’전 전시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55) : 3-10, 2016

      4 최미옥, "문화담론의 장으로서 뮤지엄 전시를 위한 공간큐레이팅-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의미를 함의하는 전시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3) : 15-22, 2018

      5 변찬복, "도시산책 모티브를 반영한 문학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도심의 공간서사를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8) : 83-102, 2017

      6 "네이버사전"

      7 "국립민속박물관"

      8 Crane, R. S., "The Concept of Plot and the Plot of Tom Jones, Critics and Criticism:Ancient and Modern" U of Chicago P 1957

      9 E. M. Forster, "Aspects of the Novel, Harmondsworth" Penguin Books Ltd 1966

      1 이금진, "플롯개념에 의한 건축공간의 연출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주택을 대상으로 분석-" 대한건축학회 20 (20): 155-162, 2004

      2 이경훈, "플롯개념에 의한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4 (14): 1998

      3 최미옥, "플롯(Plot) 개념을 적용한 전시공간 사례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선비, 그 이상과 실천’전 전시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55) : 3-10, 2016

      4 최미옥, "문화담론의 장으로서 뮤지엄 전시를 위한 공간큐레이팅-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의미를 함의하는 전시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3) : 15-22, 2018

      5 변찬복, "도시산책 모티브를 반영한 문학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도심의 공간서사를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8) : 83-102, 2017

      6 "네이버사전"

      7 "국립민속박물관"

      8 Crane, R. S., "The Concept of Plot and the Plot of Tom Jones, Critics and Criticism:Ancient and Modern" U of Chicago P 1957

      9 E. M. Forster, "Aspects of the Novel, Harmondsworth" Penguin Books Ltd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