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論語"
2 이진수, "한국 양생사상 연구"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3 이동건, "퇴계 이황의 건강기공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41-155, 2008
4 이동건, "퇴계 이황의 6자결 기공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6 (16): 255-272, 2008
5 지동철, "태극권의 기원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4 (14): 61-77, 2006
6 김부찬, "체육철학의 관점에서 본『포박자』의 양생사상" 한국체육철학회 17 (17): 81-99, 2009
7 정병석, "유가의 인간완성과 신체의 수련: 유가의 성인관과 양생운동을 중심으로" 14 (14): 17-36, 2006
8 김용수, "웰빙과 도교 양생" 1 : 45-64, 2006
9 이남구, "양생에 관한 문헌적 고찰" 46-113, 1994
10 허일웅, "양생술(養生術)로서 태극권(太極拳)이 갖는 가치" 대한무도학회 64-71, 2000
1 "論語"
2 이진수, "한국 양생사상 연구"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3 이동건, "퇴계 이황의 건강기공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41-155, 2008
4 이동건, "퇴계 이황의 6자결 기공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6 (16): 255-272, 2008
5 지동철, "태극권의 기원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4 (14): 61-77, 2006
6 김부찬, "체육철학의 관점에서 본『포박자』의 양생사상" 한국체육철학회 17 (17): 81-99, 2009
7 정병석, "유가의 인간완성과 신체의 수련: 유가의 성인관과 양생운동을 중심으로" 14 (14): 17-36, 2006
8 김용수, "웰빙과 도교 양생" 1 : 45-64, 2006
9 이남구, "양생에 관한 문헌적 고찰" 46-113, 1994
10 허일웅, "양생술(養生術)로서 태극권(太極拳)이 갖는 가치" 대한무도학회 64-71, 2000
11 안용규, "순자(荀子)의 심신수양론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14 (14): 86-104, 2006
12 조성균, "무예의 터득과 체득 구조의 동양적 접근" 한국체육철학회 19 (19): 1-17, 2011
13 이영훈, "무도의 삼조수련 방법론으로서 풍류 도인법에 대한 해석"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14 허건식, "무도연구기초" 무지개사 2006
15 허건식, "동양무술의 문화적 해석" 3 (3): 31-44, 2001
16 조성균, "도가사상이 중국 전통체육 양생학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학회 45 (45): 1-12, 2006
17 한병기, "대성권의 창시자 왕향제(2)" 9 (9): 2001
18 안국현, "기공양생과 노인보건에 대한 고찰" 11 (11): 177-187, 2000
19 장재이, "근대이후 중국무술발달사 연구" 2 (2): 15-30, 2000
20 "권학연구"
21 大學. 陶弘景, "養性延命錄"
22 南懷瑾, "靜坐修道爲不老長生" 復旦大學校出版社 2002
23 김시연, "王陽明의 실천론과 萬物一體 사상을 기반으로 한 武道의 道德性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18 (18): 71-85, 2010
24 김부찬, "淮南子에 나타난 신체관과 양생사상"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03-216, 2007
25 郭志禹, "武術形神論" 人民體育出版社 2004
26 葛洪, "抱朴子"
27 邱丕相, "太極拳修身養生價値追論" 人民體育出版社 2004
28 莊子, "刻意"
29 劉占文, "中醫養生學" 上海中醫學出版社 2-, 1989
30 漆浩, "中國養生術 伸臂 - 醫術․巫術․氣工" 中國人民出版社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