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정묵, "후해유고"
2 송일현, "호은유고"
3 송제민, "해광집"
4 김성일, "학봉선생문집" 한국고전번역원 1851
5 나무송, "창주선생유고"
6 정암수, "창랑집"
7 이종범, "조선후기 同福 지방 晉陽 河氏家의 學問과 傳承" 호남사학회 (24) : 1-22, 2005
8 고경명, "제봉집" 한국고전번역원 1617
9 정지준, "적송유집"
10 고경명, "유서석록" 1631
1 송정묵, "후해유고"
2 송일현, "호은유고"
3 송제민, "해광집"
4 김성일, "학봉선생문집" 한국고전번역원 1851
5 나무송, "창주선생유고"
6 정암수, "창랑집"
7 이종범, "조선후기 同福 지방 晉陽 河氏家의 學問과 傳承" 호남사학회 (24) : 1-22, 2005
8 고경명, "제봉집" 한국고전번역원 1617
9 정지준, "적송유집"
10 고경명, "유서석록" 1631
11 고부천, "월봉집" 낭주인쇄사 1978
12 이행, "용재선생집" 한국고전번역원 1634
13 조정만, "오재집"
14 송병선, "연재선생문집" 한국고전번역원 1907
15 정약용, "여유당전서"
16 신경준, "여암유고" 한국고전번역원 1910
17 최산두, "신재선생실기(중간본)"
18 기우만, "송사선생문집" 한국고전번역원 1931
19 임억령, "석천집" 여강출판사 1989
20 송재학, "삼강집" 현대인쇄공업사 1992
21 김신중, "사시가의 강호인식"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 : 55-82, 1991
22 한장석, "미산선생문집" 한국고전번역원 1934
23 정창주, "만주집"
24 이하곤, "두타초" 경인문화사
25 최시옹, "동강유고"
26 남정중, "기봉집"
27 하윤구, "금사․병암유집" 경인문화사 1977
28 신익황, "극재선생문집" 한국고전번역원 1862
29 나무춘, "구화선생실기"
30 권수용, "광주 風詠亭의 문화사적 의의"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81-108, 2009
31 조한빈, "계음집"
32 권수용, "16세기 호남 무등산권 원림문화" 인문과학연구소 (55) : 357-398, 2008
33 이종범, "15세기 말∼16세기 중반 전라도 유배인의 활동과 교유양상" 호남사학회 (41) : 61-9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