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카라기난 분해효소 생산균의 분리, 동정, 및 효소생산 최적 조건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arrageenan Degrading Bacteria and Optimization of Enzyma Produ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양 동식물, 토양 등으로부터 분리한 카라기난 분해능이 확인되었던 80여 균중에서 환원당 생성능이 가장 높았던 strain no.43 균주를 최종 시험균주로 선택하여 이 균주의 최적 효소 생산 조...

      해양 동식물, 토양 등으로부터 분리한 카라기난 분해능이 확인되었던 80여 균중에서 환원당 생성능이 가장 높았던 strain no.43 균주를 최종 시험균주로 선택하여 이 균주의 최적 효소 생산 조건을 실험하였다. 질소원으로는 nutrient broth 0.7% 농도가 가장 적절한 조건이었고, 탄소원의 농도는 카라기난 0.2%가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NaCl 농도는 1.5%, pH, 온도는 각각 7.0, 30℃로 이 조건에서 96시간 배양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효소 생산 조건이었음이 확인되었다. 각종 생화학 실험을 통해 동정을 행한 결과 그람음성 간균으로 oxidase, catalase 생성의 호기성균, indole 비생성, proline, arginine, serine, citrate, lactate 이용성, gelatin 액화, glucose, fructose, maltose 비이용, mannitol 이용 등의 특성으로부터 Pseudomonas alcaligenes로 동정할 수 있었고 Pseudomonas alcaligenes JCL-43으로 명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80 strains which produce carrageenan degrading enzyme were isolated from soils, mud, seaweed, marine moluscus and echonodermata samples. Among them, one isolated strain, which showed the highest activity to produced carrageenan degrading enzyme, w...

      The 80 strains which produce carrageenan degrading enzyme were isolated from soils, mud, seaweed, marine moluscus and echonodermata samples. Among them, one isolated strain, which showed the highest activity to produced carrageenan degrading enzyme, was used for this study.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alcaligenes through its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est conditions for enzyme production were 0.7% nutrient broth and 0.2% carrageenan as nitrogen and carbon source, respectively. The optimal pH, NaCl, temperature and culture time for carrageenan degrading enzyme were 7.0, 1.5%, 30* and 96hrs, respective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