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돌봄의 연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의료・보건・복지 서비스의 이용과 연계 = The Use and Coordination of the Medical, Public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erms of Continuum of C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7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care as a key policy agenda, tailoring services to older people’s need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provision of services of the medical, public hea...

      Since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care as a key policy agenda, tailoring services to older people’s need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provision of services of the medical, public health, and social care has been adequate and, the services have been coordinated properly according to the needs of older people in terms of continuum of care. The study adopted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conducted a number of interviews.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limitations to meet the needs of older people owing to the inadequate tailoring services to their needs and the lack of coordination of adequate services for them. Specifically, a proper medical delivery system has not been established at the local level to prevent and manage chronic diseases. Home visiting services are provided mainly to the poor by public health centers. and home nursing services have been insufficient and there has been a chronic shortage of nursing staff in the public health sector. The low-skilled services such as house chores have been provided mainly and the amounts of benefits are inadequate to meet the needs of older people at the social welfare sector. Moreover, the coordination of services between and among the medical, public health, and social care sectors has been limited owing to the profit-seeking behavior of service providers, the fragmented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the lack of the coordinating role of govern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커뮤니티케어가 중요한 정책으로 시행되면서 노인의 욕구 변화에 따라 맞춤형으로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돌봄의 연속성 측면에서 의료・...

      커뮤니티케어가 중요한 정책으로 시행되면서 노인의 욕구 변화에 따라 맞춤형으로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돌봄의 연속성 측면에서 의료・보건・복지 영역의 서비스가 노인의 욕구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제공되고, 필요한 서비스의 연계가 이뤄지는 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소규모 면담을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료・보건・복지의 각 영역에서 노인의 욕구 변화에 따른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영역 간에 서비스의 적절한 연계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역은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하는 지역단위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다. 보건 영역은 보건소가 저소득층 중심의 방문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고, 재가에서 이용 가능한 간호서비스가 취약하고 만성적인 간호인력 부족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 영역은 저숙련의 가사수발 중심의 서비스 위주로 제공되고, 서비스 급여량이 적어서 노인의 욕구 충족에 한계가 있다. 이와 함께, 공급주체의 영리추구 경향, 분절화된 전달체계, 연계를 위한 정부의 미흡한 역할 등으로 인해 의료・보건・복지의 각 영역 내 및 영역 간에 서비스의 연계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호신, "한국 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정책적 함의와 일본 방문간호의 시사점"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403-411, 2015

      2 김홍수, "한국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서비스 니즈와 제공실태" 125-168, 2014

      3 이윤환, "초고령 사회와 보건의료대응" 225 : 2-3, 2015

      4 이규식, "지역사회중심의 통합서비스체계" 1-34, 2017

      5 김동진,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추진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246 : 6-21, 2017

      6 이윤경, "제 2차 장기요양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7 오의금, "재가간호서비스 제공자의 업무 수행 현황과 장애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5 (45): 742-751, 2015

      8 이진용, "일차의료 활성화를 위한 의료자원공급의 개편 방향" 10 (10): 32-37, 2012

      9 이진용, "의료전달체계의 분절화로 인한 사회안전망기능의 약화" 130-124, 2014

      10 김주경, "요양병원 관리 감독 강화 및 제도 개선" 국회입법조사처 2015

      1 유호신, "한국 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정책적 함의와 일본 방문간호의 시사점"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403-411, 2015

      2 김홍수, "한국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서비스 니즈와 제공실태" 125-168, 2014

      3 이윤환, "초고령 사회와 보건의료대응" 225 : 2-3, 2015

      4 이규식, "지역사회중심의 통합서비스체계" 1-34, 2017

      5 김동진,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추진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246 : 6-21, 2017

      6 이윤경, "제 2차 장기요양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7 오의금, "재가간호서비스 제공자의 업무 수행 현황과 장애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5 (45): 742-751, 2015

      8 이진용, "일차의료 활성화를 위한 의료자원공급의 개편 방향" 10 (10): 32-37, 2012

      9 이진용, "의료전달체계의 분절화로 인한 사회안전망기능의 약화" 130-124, 2014

      10 김주경, "요양병원 관리 감독 강화 및 제도 개선" 국회입법조사처 2015

      11 김은희, "요양병원 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따른 입원환자의 간호결과"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715-727, 2015

      12 전용호, "영국 케어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운영과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7) : 1-24, 2012

      13 우국희, "섬 지역 고령자의 장소경험과 의미: Aging in place는 가능한가?"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4) : 260-304, 2017

      14 통계청, "생명표. 1970-2015"

      15 김윤, "비급성기 의료제공체계의 구축 방향-의료체계의 지속성 보장을 위한 핵심과제" 7 (7): 3-5, 2013

      16 최권호, "보건사회복지 개념과 역할 재구성: 병원을 넘어"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9) : 368-403, 2015

      17 박세경, "돌봄보건의료 연합서비스(Joined-up Services)공급모형에 관한 전망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18 이승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82-290, 2012

      19 노길희, "농촌지역 노인 보건ㆍ복지서비스 연계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7) : 235-258, 2008

      20 선우덕,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전달체계의 평가 및 개선방안 : 재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1 선우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후 운영평가와 개선방향" 2017

      22 이윤경,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보호 현황과 저해요인 분석" 259 : 77-89, 2018

      23 선우덕,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운영성과 평가 및 제도모형 재설계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24 전용호,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치매노인과 요양보호사의 관계와 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생명문화연구소 43 : 129-171, 2017

      25 정경희, "노인장기요양보험 치매특별등급 도입에 따른 노인돌봄서비스 개편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6 강새봄,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권고군의 방문간호 이용과 의료이용의 관계" 한국보건행정학회 24 (24): 283-290, 2014

      27 손덕현, "노인장기요양보장 출범 10년 그리고 앞으로의 10년 대토론회" 2017

      28 이윤경,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장기요양제도 개편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9 권금주, "노인요양병원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가족 및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6) : 101-122, 2015

      30 정경희, "노인복지정책 진단과 발전 전략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31 선우덕, "노인돌봄(케어)서비스의 제공주체 간 역할정립과 연계체계 구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32 황도경, "노인 의료와 요양서비스 수요 분석 및 공급체계 다양화 연구 : 공급의 통합적 연계 체계 구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33 김주경, "노인 의료서비스 제공체계 현황과 과제"

      34 전용호, "노인 돌봄서비스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 인력과 공급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347-379, 2015

      35 선우덕, "노인 건강 및 장기요양정책의 현황과 과제" 239 : 34-48, 2016

      36 오유미, "기대수명 90.8세의 정책적 함의와 대응방향"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37 윤영호, "공공보건의료기관의 건강복지서비스 연계방안" 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 2014

      38 김남순,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 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39 이윤환, "고령사회 대응 보건의료와 장기요양 서비스의 통합적 제공"

      40 이상영, "건강증진서비스 전달체계 확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41 보건복지부, "‘재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사회 서비스 제공’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 본격 추진"

      42 WHO, "World Health Statistics 2016: Monitoring health for the SDGs"

      43 Hooyman, N. R.,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Ally & Bacon 2011

      44 Liebowitz, B., "Integra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in creating a continuum of care for the elderly" 10 : 11-17, 1970

      45 Genet, N., "Home care in Europe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11 (11): 1-14, 2011

      46 Eurodiaconia., "Guidelines on Homecare services"

      47 Kerber, K. J., "Continuum of care for maternal, newborn, and child birth from slogan to service delivery" 370 : 1358-1369, 2007

      48 Vasunilashorn, S., "Aging in Place: Evolution of a Research Topic Whose Time Has Come" 1-6, 2012

      49 정경희,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50 보건복지부, "2017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 총괄"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51 보건복지부, "2017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 방문건강관리"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52 보건복지부, "2017년 노인돌봄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17

      53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발간"

      54 국회입법조사처, "2017 국정감사 정책자료 Ⅲ" 국회입법조사처 2017

      5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 요양급여 적절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