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분 축조기법과 매장의례를 통해 본 소가야권 고분군 축조집단의 성격 - 대형 봉토분과 분구묘를 중심으로 - = Based on Ancient Tombs Construction Techniques and Burial rites, The Characteristic of Ancient Tombs in So-gay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35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ree ancient tombs in the So-gaya are the Jungchon-ri ancient tombs in Sancheong, Samga ancient tombs in Hapcheon, and Songhak- dong ancient tombs in Goseong.
      Jungchon ancient tombs were influenced by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Dae-gaya ancient tombs and relics such as the long sword with ring pommel.
      Ancient tomb construction techniques include soil-building techniques, circular burial stone marker, and soil-building materials.
      Later,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Samga ancient tombs and Goa-dong stone chamber were also influenced. It served as a link between Dae-gaya and So-gaya.
      Samga ancient tombs is a multi-bracket system that extends the lan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t is possible to have affected the lower tombs in Dae-gaya ancient tombs.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Ara-gaya ancient tombs, such as compartmental soil-building techniques and wooden structures, were influenced.
      Songhak-dong ancient tombs are the most strongly married places, including the structure of tombs, tomb layout, ditch enclosure, junction, twin tombs and horse harnesses.
      And clayblocks was used a lot in the construction of the clay.
      번역하기

      The three ancient tombs in the So-gaya are the Jungchon-ri ancient tombs in Sancheong, Samga ancient tombs in Hapcheon, and Songhak- dong ancient tombs in Goseong. Jungchon ancient tombs were influenced by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Dae-gaya ancien...

      The three ancient tombs in the So-gaya are the Jungchon-ri ancient tombs in Sancheong, Samga ancient tombs in Hapcheon, and Songhak- dong ancient tombs in Goseong.
      Jungchon ancient tombs were influenced by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Dae-gaya ancient tombs and relics such as the long sword with ring pommel.
      Ancient tomb construction techniques include soil-building techniques, circular burial stone marker, and soil-building materials.
      Later,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Samga ancient tombs and Goa-dong stone chamber were also influenced. It served as a link between Dae-gaya and So-gaya.
      Samga ancient tombs is a multi-bracket system that extends the lan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t is possible to have affected the lower tombs in Dae-gaya ancient tombs.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Ara-gaya ancient tombs, such as compartmental soil-building techniques and wooden structures, were influenced.
      Songhak-dong ancient tombs are the most strongly married places, including the structure of tombs, tomb layout, ditch enclosure, junction, twin tombs and horse harnesses.
      And clayblocks was used a lot in the construction of the cl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가야권의 3대 고분군인 산청 중촌리고분군, 합천 삼가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각각의 특징을 가지며 독특한 고분문화를 전개해 간다.
      산청 중촌리고분군은 목곽묘 단계에서 대가야계 위세품인 단봉문환두대도가 출토되고, 봉토분 축조단계에서는 제방상성토기법, 호석, 다량의 석재 성토재 등 가야권에서 가장 먼저 봉토분이 축조되는 대가야 고분 축조기법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삼가고분군 묘제와 봉토 축조, 대가야 석실 축조기법의 관련 아래 오랜 기간 고분군을 조영해왔으며, 남강 수계를 통한 대가야와 소가야의 가교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합천 삼가고분군은 소가야권 고분군 중 가장 오랜기간 가장 많은 봉토분이 축조된 고분군이다. 다곽식의 구조로 봉토를 되파서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하거나 수평․수직으로 증축하여 봉토를 확대해 나가는 독특한 축조방식을 이용하였다. 고분 배치의 매장규범은 송학동고분군과 내산리고분군에 영향을 주었고, 봉토 증축 방식은 합천 창리고분군과 대가야 최고 지배집단 묘역인 지산동고분군의 하위 고분 축조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봉토 축조기법에서는 대구획석축, 목가구구조 등 아라가야 고분 축조기법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가장 외래요소가 강한 곳으로 분구묘(통영 남평리 10호분), 배장묘 배치(삼가고분군), 잠형주구․1B호분 석실(왜), 표형분(신라), 마구․토기(대가야․왜․신라)의 영향이 확인된다. 축조기법의 특징으로는 점토블럭을 성토재와 구획재로 널리 사용하였으며 묘역정지 시 전면에 걸쳐 점질토를 깔거나 선대 무덤을 파괴하지 않고 봉토를 축조하는 매장풍습이 보인다.
      번역하기

      소가야권의 3대 고분군인 산청 중촌리고분군, 합천 삼가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각각의 특징을 가지며 독특한 고분문화를 전개해 간다. 산청 중촌리고분군은 목곽묘 단계에서 대가야...

      소가야권의 3대 고분군인 산청 중촌리고분군, 합천 삼가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각각의 특징을 가지며 독특한 고분문화를 전개해 간다.
      산청 중촌리고분군은 목곽묘 단계에서 대가야계 위세품인 단봉문환두대도가 출토되고, 봉토분 축조단계에서는 제방상성토기법, 호석, 다량의 석재 성토재 등 가야권에서 가장 먼저 봉토분이 축조되는 대가야 고분 축조기법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삼가고분군 묘제와 봉토 축조, 대가야 석실 축조기법의 관련 아래 오랜 기간 고분군을 조영해왔으며, 남강 수계를 통한 대가야와 소가야의 가교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합천 삼가고분군은 소가야권 고분군 중 가장 오랜기간 가장 많은 봉토분이 축조된 고분군이다. 다곽식의 구조로 봉토를 되파서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하거나 수평․수직으로 증축하여 봉토를 확대해 나가는 독특한 축조방식을 이용하였다. 고분 배치의 매장규범은 송학동고분군과 내산리고분군에 영향을 주었고, 봉토 증축 방식은 합천 창리고분군과 대가야 최고 지배집단 묘역인 지산동고분군의 하위 고분 축조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봉토 축조기법에서는 대구획석축, 목가구구조 등 아라가야 고분 축조기법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가장 외래요소가 강한 곳으로 분구묘(통영 남평리 10호분), 배장묘 배치(삼가고분군), 잠형주구․1B호분 석실(왜), 표형분(신라), 마구․토기(대가야․왜․신라)의 영향이 확인된다. 축조기법의 특징으로는 점토블럭을 성토재와 구획재로 널리 사용하였으며 묘역정지 시 전면에 걸쳐 점질토를 깔거나 선대 무덤을 파괴하지 않고 봉토를 축조하는 매장풍습이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보식, "蓮山洞 M3號墳" 釜山博物館 2014

      2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합천 삼가고분군(Ⅱ지구)" 2013

      3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합천 삼가고분군 정밀지표조사 학술연구용역" 2018

      4 이춘선, "합천 삼가고분군 Ⅳ" 동서문물연구원 2014

      5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합천 삼가고분군 24호분 문화재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9

      6 하승철, "외래계문물을 통해 본 고성 소가야의 대외교류" 2011

      7 하승철, "소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경상대학교 2015

      8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산청 중촌리고분군 2차" 2016

      9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산청 중촌리(산206-7) 태양광발전소부지 산청 중촌리고분군" 2019

      10 여창현, "부장유물로 본 4~6세기 합천 삼가고분군 축조집단의 특징과 변천" 영남고고학회 (87) : 109-149, 2020

      1 홍보식, "蓮山洞 M3號墳" 釜山博物館 2014

      2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합천 삼가고분군(Ⅱ지구)" 2013

      3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합천 삼가고분군 정밀지표조사 학술연구용역" 2018

      4 이춘선, "합천 삼가고분군 Ⅳ" 동서문물연구원 2014

      5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합천 삼가고분군 24호분 문화재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9

      6 하승철, "외래계문물을 통해 본 고성 소가야의 대외교류" 2011

      7 하승철, "소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경상대학교 2015

      8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산청 중촌리고분군 2차" 2016

      9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산청 중촌리(산206-7) 태양광발전소부지 산청 중촌리고분군" 2019

      10 여창현, "부장유물로 본 4~6세기 합천 삼가고분군 축조집단의 특징과 변천" 영남고고학회 (87) : 109-149, 2020

      11 조영현, "대가야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령군 대가야박물관·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2

      12 정인태, "대가야 고분 축조기법 검토"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5

      1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고령 지산동고분군 –518호분 발굴조사보고서" 2016

      14 계명대학교박물관, "고령 본관동고분군" 1995

      15 권오영, "고대 성토구조물의 성토방식과 재료에 대한 시론" (5) : 2011

      16 김규운, "고고자료로 본 5∼6세기 소가야의 변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17 박승규, "가야토기 양식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18 大東文化財硏究院, "高靈池山洞大加耶古墳群Ⅰ" 2020

      19 大東文化財硏究院, "高靈 池山洞 第73~75號墳(本文·圖板)" 2012

      20 東亞大學校博物館, "陜川倉里古墳群" 1987

      21 東亞大學校博物館, "陜川三嘉古墳群" 1982

      22 東西文物硏究院, "陜川 三嘉古墳群ⅠㆍⅡㆍⅢㆍⅣ" 2014

      23 申强浩, "陜川 三嘉 古墳群에 대한 硏究" 慶尙大學校 2018

      24 東西文物硏究院, "統營 藍坪里遺蹟 -통영 산양 스포츠파크 조성부지내 유적-" 2009

      25 新羅大學校博物館, "山淸 中村里 古墳群" 2004

      26 김지연, "小加耶樣式 土器의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7 여창현, "小加耶土器의 成立과 展開" 慶南大大學院 1997

      28 高靈郡, "大伽倻古墳發掘調査報告書" 1978

      29 東亞大學校博物館, "固城松鶴洞古墳群(本文·圖板)" 2005

      30 慶南大學校博物館, "固城 蓮塘里 古墳群" 1994

      31 國立晋州博物館, "固城 栗垈里 2號墳" 1990

      32 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固城 基月里 1號墳" 2013

      33 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固城 內山里古墳群Ⅲ" 2007

      34 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固城 內山里古墳群Ⅱ" 2005

      35 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固城 內山里古墳群Ⅰ" 2002

      36 류춘길, "咸安 道項里 六號墳"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08

      37 崔榮埈, "加耶 多槨式 古墳 硏究" 慶尙大學校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영문명 : The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56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