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미지텔링으로 이콘을 바라보기  :  안드레이 류블료프의 『삼위일체』 이콘을 중심으로 = Considering Icon as Imagetelling: with Andrei Rybliyef's "Trinity" Ic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73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회공동체는 이콘(icon, 성상)을 전통적으로 신 존재 현현과 신 이해로 규정하였다. 그러므로 이콘을 바라보면 그곳에서 신 존재를 만나게 된다. 즉 이콘이미지를 바라보는 방식이 정해져 있어서 우리는 이콘 이미지가 말을 걸어와도 귀를 막고 듣지 않는 상황에 있다. 비잔틴 정교회는 이콘 이미지를 제작하는 방법까지 일일이 규정해 놓았고, 이콘 이미지를 읽어내는 해독법도 정해놓았다. 이콘내 인물이나 구도, 사물의 의미를 모두 정해 놓았다. 이것을 미술사에서는 도상학(iconography)라 부른다. 따라서 이콘을 바라보기 위해서 기독교나 신학 등 여러 전승이나 문헌을 충분히 조사하는 일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이콘 자체에 대해서는 깊게 고민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즉 '이미지'보다 '스토리'에 시선을 집중시킨다. 게다가 정교회 전통은 글이나 그림이나 어떠한 작품들도 그 저자를 밝히는 것에 대하여 꺼리고 있다. 이 때문에 작품을 쓴 저자나 제작한 장인들의 삶과 생각들은 송두리째 확인 할 길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다행스러운 것은 익명의 정교회 전통에서 벗어나 안드레이 룹르료프(Andrei Rybliyef)라는 작가의 이름이 남아있고, 이콘 이미지의 대표와 같은 그의 '삼위일체'(Trinity) 이콘을 스토리가 아닌 이미지로 바라볼 때, 이콘은 우리에게 새롭게 다가올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지금껏 이콘 이미지가 우리를 향해 외쳤던 것, 즉 우리가 듣지 않았던, 또는 들었지만 이야기하지 않았던 것을 살펴봄에 있다.
      번역하기

      교회공동체는 이콘(icon, 성상)을 전통적으로 신 존재 현현과 신 이해로 규정하였다. 그러므로 이콘을 바라보면 그곳에서 신 존재를 만나게 된다. 즉 이콘이미지를 바라보는 방식이 정해져 있...

      교회공동체는 이콘(icon, 성상)을 전통적으로 신 존재 현현과 신 이해로 규정하였다. 그러므로 이콘을 바라보면 그곳에서 신 존재를 만나게 된다. 즉 이콘이미지를 바라보는 방식이 정해져 있어서 우리는 이콘 이미지가 말을 걸어와도 귀를 막고 듣지 않는 상황에 있다. 비잔틴 정교회는 이콘 이미지를 제작하는 방법까지 일일이 규정해 놓았고, 이콘 이미지를 읽어내는 해독법도 정해놓았다. 이콘내 인물이나 구도, 사물의 의미를 모두 정해 놓았다. 이것을 미술사에서는 도상학(iconography)라 부른다. 따라서 이콘을 바라보기 위해서 기독교나 신학 등 여러 전승이나 문헌을 충분히 조사하는 일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이콘 자체에 대해서는 깊게 고민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즉 '이미지'보다 '스토리'에 시선을 집중시킨다. 게다가 정교회 전통은 글이나 그림이나 어떠한 작품들도 그 저자를 밝히는 것에 대하여 꺼리고 있다. 이 때문에 작품을 쓴 저자나 제작한 장인들의 삶과 생각들은 송두리째 확인 할 길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다행스러운 것은 익명의 정교회 전통에서 벗어나 안드레이 룹르료프(Andrei Rybliyef)라는 작가의 이름이 남아있고, 이콘 이미지의 대표와 같은 그의 '삼위일체'(Trinity) 이콘을 스토리가 아닌 이미지로 바라볼 때, 이콘은 우리에게 새롭게 다가올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지금껏 이콘 이미지가 우리를 향해 외쳤던 것, 즉 우리가 듣지 않았던, 또는 들었지만 이야기하지 않았던 것을 살펴봄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ally the Orthodox church defined icon as Theophany and understanding about being of God. So we can see god's being that place, where see over Icon. In other words, we have situation not listening because of fixed rules of icon appreciation, even though Icon-image speak to us. Bizantine Orthodox chuch made laws making icon-image in detail and also method appreciating icon-image without omisson. We call this iconography in art history. Therefore, if someone want to understand icon-image. they shall execute to inspect oral tradtion and documents of Christianity and its theology. We have tendency not considering deeply about icon-image itself. We concentrate its story than its image. Besides, Orthodox church has tradition not notice painter's name. We forgot the way to look into the lives and ideas of authors and craftsmen. Fortunately, beyond anonymous tradition of Orthodox, we know Andrei Rybliyef. If we look into his icon "Trinity" which is the best of icons as not story but image, Icons shall be encountered with us afresh. The Purpuse of this writing is to listen to that icon-image is shouting into us but till now we have stoped our own ears about that.
      번역하기

      Traditionally the Orthodox church defined icon as Theophany and understanding about being of God. So we can see god's being that place, where see over Icon. In other words, we have situation not listening because of fixed rules of icon appreciation, e...

      Traditionally the Orthodox church defined icon as Theophany and understanding about being of God. So we can see god's being that place, where see over Icon. In other words, we have situation not listening because of fixed rules of icon appreciation, even though Icon-image speak to us. Bizantine Orthodox chuch made laws making icon-image in detail and also method appreciating icon-image without omisson. We call this iconography in art history. Therefore, if someone want to understand icon-image. they shall execute to inspect oral tradtion and documents of Christianity and its theology. We have tendency not considering deeply about icon-image itself. We concentrate its story than its image. Besides, Orthodox church has tradition not notice painter's name. We forgot the way to look into the lives and ideas of authors and craftsmen. Fortunately, beyond anonymous tradition of Orthodox, we know Andrei Rybliyef. If we look into his icon "Trinity" which is the best of icons as not story but image, Icons shall be encountered with us afresh. The Purpuse of this writing is to listen to that icon-image is shouting into us but till now we have stoped our own ears about tha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머리: 이미지텔링으로서의 이콘에로 접근
      • 2. 이콘을 바라보는 전통적 견해와 그 해석: 이콘신학과 스토리텔링
      • 3. 안드레이 루블료프 삼위일체 이콘 이미지텔링: 동일성에서 차이성으로
      • 4. 끝머리: 스토리텔링에서 이미지텔링으로
      • 국문요약
      • 1. 들머리: 이미지텔링으로서의 이콘에로 접근
      • 2. 이콘을 바라보는 전통적 견해와 그 해석: 이콘신학과 스토리텔링
      • 3. 안드레이 루블료프 삼위일체 이콘 이미지텔링: 동일성에서 차이성으로
      • 4. 끝머리: 스토리텔링에서 이미지텔링으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