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so-dihydroguaiaretic Acid from Machilus thunbergi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95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후박나무(녹나무과)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서식하는 상록 교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 부종, 복통, 복부 팽만 등의 질병 치료를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박나무 껍질을 메탄올에 추출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에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클로로포름 분획물로부터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1과 2의 구조는 ¹H-, <SUP>13</SUP>C-NMR과 참고 문헌 데이터에 의해 dibenzylbutane lignin 화합물인 macelignan (1)과 meso-dihydroguaiaretic acid (2)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2는 tyrosinase 저해 활성 중 monophenolase (IC50 = 10.2 μM)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경쟁적 저해제였으며 효소에 결합하는 화합물 2의 저해 상수(Ki 값)는 4.8 μM였다. 따라서 meso-dihydroguaiaretic acid (2)는 멜라닌 생합성과 관련된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한 잠재적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후박나무(녹나무과)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서식하는 상록 교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 부종, 복통, 복부 팽만 등의 질병 치료를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박나...

      후박나무(녹나무과)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서식하는 상록 교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 부종, 복통, 복부 팽만 등의 질병 치료를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박나무 껍질을 메탄올에 추출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에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클로로포름 분획물로부터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1과 2의 구조는 ¹H-, <SUP>13</SUP>C-NMR과 참고 문헌 데이터에 의해 dibenzylbutane lignin 화합물인 macelignan (1)과 meso-dihydroguaiaretic acid (2)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2는 tyrosinase 저해 활성 중 monophenolase (IC50 = 10.2 μM)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경쟁적 저해제였으며 효소에 결합하는 화합물 2의 저해 상수(Ki 값)는 4.8 μM였다. 따라서 meso-dihydroguaiaretic acid (2)는 멜라닌 생합성과 관련된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한 잠재적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chilus thunbergii (Lauraceae) is an evergreen tree cultivated in Korea and Japan. M. thunbergii has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China, and Japan to treat various diseases, including edema, abdominal pain, and abdominal distension. In this study, dried stem bark of M. thunbergii extracted in methanol and extract was partitioned into n-hexane, CHCl₃, and BuOH. The CHCl₃-soluble extracts chromatographed on silica gel column using a CHCl₃/acetone and n-hexane/EtOAc mixture to afford Compound 1 and 2. Two dibenzylbutane lignans, macelignan (1) and meso-dihydroguaiaretic acid (2), were isolated from the CHCl₃-soluble extract of M. thunbergii stem bark. The structures of 1 and 2 were determined by <SUP>1</SUP>H- and <SUP>13</SUP>C-NMR spectroscopic data analyses and a comparison with literature data.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isolated compounds was evaluated. Among these compounds, Compound 2 strongly inhibited the monophenolase (IC50=10.2 μM) activity of tyrosinase. A kinetic analysis showed that Compound 2 was a competitive inhibitor. The apparent inhibition constant (Ki) for Compound 2 binding to free enzyme was 4.8 μM.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meso-dihydroguaiaretic acid (2)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melanin biosynthesis-related skin diseases.
      번역하기

      Machilus thunbergii (Lauraceae) is an evergreen tree cultivated in Korea and Japan. M. thunbergii has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China, and Japan to treat various diseases, including edema, abdominal pain, and abdominal distens...

      Machilus thunbergii (Lauraceae) is an evergreen tree cultivated in Korea and Japan. M. thunbergii has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China, and Japan to treat various diseases, including edema, abdominal pain, and abdominal distension. In this study, dried stem bark of M. thunbergii extracted in methanol and extract was partitioned into n-hexane, CHCl₃, and BuOH. The CHCl₃-soluble extracts chromatographed on silica gel column using a CHCl₃/acetone and n-hexane/EtOAc mixture to afford Compound 1 and 2. Two dibenzylbutane lignans, macelignan (1) and meso-dihydroguaiaretic acid (2), were isolated from the CHCl₃-soluble extract of M. thunbergii stem bark. The structures of 1 and 2 were determined by <SUP>1</SUP>H- and <SUP>13</SUP>C-NMR spectroscopic data analyses and a comparison with literature data.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isolated compounds was evaluated. Among these compounds, Compound 2 strongly inhibited the monophenolase (IC50=10.2 μM) activity of tyrosinase. A kinetic analysis showed that Compound 2 was a competitive inhibitor. The apparent inhibition constant (Ki) for Compound 2 binding to free enzyme was 4.8 μM.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meso-dihydroguaiaretic acid (2)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melanin biosynthesis-related skin dise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and Discussion
      • References
      • 초록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and Discussion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