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및 복합오염단지 주변 하천 퇴적물 조사를 위하여 16개 산업단지 및 1개 복합오염단지(조천·미호천 합류유역)를 선정하여 수질, 퇴적물, 토양, 부유사 조사를 하였다. 퇴적물 오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단지 및 복합오염단지 주변 하천 퇴적물 조사를 위하여 16개 산업단지 및 1개 복합오염단지(조천·미호천 합류유역)를 선정하여 수질, 퇴적물, 토양, 부유사 조사를 하였다. 퇴적물 오염...
산업단지 및 복합오염단지 주변 하천 퇴적물 조사를 위하여 16개 산업단지 및 1개 복합오염단지(조천·미호천 합류유역)를 선정하여 수질, 퇴적물, 토양, 부유사 조사를 하였다.
퇴적물 오염특성 파악을 위하여 고농도 지점 시료를 대상으로 퇴적물 및 공극수 분석, 퇴적물의 생물영향 조사 등 정밀조사를 실시 하였다.
국내의 수질 측정망과 토양 측정망 자료를 비교하여 조사 산단을 선정하고자 하였으나 수질과 토양의 간접지표로 퇴적물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기가 어려웠고 이에 따라 후보 산업단지의 퇴적물 오염도 조사를 진행 후, 오염정도에 따라 조사 산단을 선정하였다. 15개의 산업단지 조사와 금강유역 산업단지, 폐금속광산 복합 오염지역의 조사를 통하여 산업단지의 방류수 처리와 주변 환경 유형에 따라서 폐수 방류 지점에서 상승하였던 중금속, 미량유기원소등의 농도가 점진적인 감소를 보이지 않고, 유역면적이 큰 하천과 합류하며 급격하게 감소하거나, 다른 오염원의 영향을 받아 하류에서 다시 상승하는 등의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정확한 인근 환경에 따른 오염물의 이동 변화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향후 정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