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TOPIK) 어휘 분석 연구 = A Study on Vocabulary Analysi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0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 vocabularies from previous TOPIK tests and investigate the features appeared in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vocabulary and their implications and attempt to draw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TOPIK test needs to take...

      In this study, we analyze vocabularies from previous TOPIK tests and investigate the features appeared in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vocabulary and their implications and attempt to draw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TOPIK test needs to take the followings into further consideration. 1) It should more strictly implement evaluation goals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ficiency and appropriate vocabulary control considering testee’s academic pressure. 2) It should develop methods to deal effectively with repetitive appearances of the same vocabularies and themes while not turning to the introduction of new themes. 3) It needs to develop various types of questions to keep a balance in vocabulary amounts used in the areas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Second, we compare the differences in vocabulary amounts between the TOPIK test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find that the number of vocabulary in the TOPIK is much larger than the average number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Third, we examine the overlapping frequencies of vocabularies used in the TOPIK test and general corpus of texts (four genres) and their implications, and find that the overlapping frequency is very low because a wide range of topics and vocabularies are covered in the general corpus whereas the TOPIK test are very restricted in terms of topics and vocabula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및 절차
      • 4. 한국어능력시험 어휘의 분포 분석
      • 5. 교재 · 일반 말뭉치 어휘와의 분포 및 중복도 분석
      • 1. 서론
      •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및 절차
      • 4. 한국어능력시험 어휘의 분포 분석
      • 5. 교재 · 일반 말뭉치 어휘와의 분포 및 중복도 분석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왕규,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기준 개발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2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 부여 방식 및 평가문항 유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3 김유정, "한국어능력시험의 난이도 분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1-46, 2006

      4 양길석, "한국어능력시험의 구인타당도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187-212, 2012

      5 윤희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6 박석준, "한국어능력시험(TOPIK) ‘어휘문법’ 영역에 대한 논의" 한국문법교육학회 15 : 51-71, 2011

      7 이은희,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 제시된 텍스트 특성 연구" 한중인문학회 (44) : 447-468, 2014

      8 리-스미스 안젤라,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문법 영역의 문항 목록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26, 2011

      9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1

      10 김장식,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텍스트의 이독성 분석 연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6 (6): 1-24, 2012

      1 김왕규,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기준 개발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2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 부여 방식 및 평가문항 유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3 김유정, "한국어능력시험의 난이도 분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1-46, 2006

      4 양길석, "한국어능력시험의 구인타당도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187-212, 2012

      5 윤희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6 박석준, "한국어능력시험(TOPIK) ‘어휘문법’ 영역에 대한 논의" 한국문법교육학회 15 : 51-71, 2011

      7 이은희,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 제시된 텍스트 특성 연구" 한중인문학회 (44) : 447-468, 2014

      8 리-스미스 안젤라,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문법 영역의 문항 목록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26, 2011

      9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1

      10 김장식,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텍스트의 이독성 분석 연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6 (6): 1-24, 2012

      11 함정식,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설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25회∼제27회 중급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6) : 145-185, 2014

      12 양길석,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외국인과 국내 초등학생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9) : 319-343, 2014

      13 송지혜,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항 유형 및 주제 분석 : 한국어능력시험초급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4 조현용, "한국어능력시험 어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1 : 2000

      15 서수현,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 구인 타당도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1) : 337-361, 2013

      16 남명호, "한국어능력시험 등급 기준 조정 및 문제은행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17 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능력시험 등급 기준 조정 및 문제은행 구축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18 남명호, "한국어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19 전은주, "한국어 능력 시험 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제12회 일반 한국어(S-TOPIK)의 쓰기 듣기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1) : 129-165, 2008

      20 박지연, "한국어 능력 시험 읽기 영역 분석과 효율적인 읽기 교육 방안 :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3

      21 유해준, "한국어 능력 시험 문법 문항 유형 분석: TOPIK을 중심으로" 한국어정보학회 14 (14): 51-62, 2012

      22 강현화, "한국어 교재의 숙달도별 품사 분석 연구: 국내 교육기관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2 (22): 327-344, 2015

      23 강현화, "토픽 어휘 목록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2014

      24 이상린, "읽기 영역 오류문항 분석 - 제21회∼제22회 한국어능력시험 문항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207-227, 2011

      25 강현화, "국내 한국어교육기관 교재 어휘 분석 연구 1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1 : 37-6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2 1.751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